[[분류: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의 수록곡]][[분류:리듬 게임의 플레이 가능한 시스템 음악]][[분류:유비트(모바일판)의 수록곡]] [목차] [[파일:attachment/HAPPY limelight/happylimelight.png]] == 설명 == ||이 곡은, 들은 순간에 "라임라이트"를 이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게임 내에서 쓰인 효과음이나 BGM을 많이 따와서 제작하였습니다. (이 점을) 의식하시고 잘 들어 보시면, "이 소리는 MODE SELECT 연출에서 쓰인 소리다!" "어, 이건 결정 효과음으로 쓰인 소리네!" 같은, 새로운 발견을 하실 수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부디 색다른 청취법으로 즐겨 주세요! 이 곡을 들으실 때,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를 플레이하고 싶은 기분이 드시기를~♪ - [[Qrispy Joybox]], OST 수록 코멘트|| [include(틀:리플렉 비트 시리즈의 시스템 악곡)] ||||||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해금요소#s-3.1|LIME UP 시스템]] || ||||||<#E7FFEA><:>'''limelight 6'''|| ||||||<:>6 글래스|| ||||||<:>'''HAPPY limelight'''|| ||||||<:>▼|| ||||||<#E7FFEA><:>'''limelight 7'''|| ||<:>7-1 글래스||<:>7-2 글래스||<:>7-3 글래스|| ||<:>[[IMAGE-MATERIAL- ]]||<:>[[魚氷に上り 耀よひて]]||<:>[[Mr.フリーダム]]|| |||||||||||||| [[리플렉 비트 시리즈|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 || [[BPM]] |||||||||||| 난이도 || ||<|2> 135 || {{{#green BASIC}}} || {{{#orange MEDIUM}}} || {{{#red HARD}}} || {{{#Magenta White Hard}}} || || {{{#green 2}}} || {{{#orange 7}}} || {{{#red 10}}} || {{{#Magenta 12}}} || || 스킬 레이트 || {{{#green 7}}} || {{{#orange 29}}} || {{{#red 45}}} || {{{#Magenta 57}}} || || 오브젝트 || {{{#green 68}}} || {{{#orange 233}}} || {{{#red 293}}} || {{{#Magenta 510}}} || || MAX COMBO || {{{#green 94}}} || {{{#orange 344}}} || {{{#red 466}}} || {{{#Magenta 642}}} || || JUST REFLEC || {{{#green 0}}} || {{{#orange 9}}} || {{{#red 11}}} || {{{#Magenta 15}}} || || 수록버전 ||||||||<#82eb5a>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 || || [[리플렉 비트 플러스|Rb+]] 수록 팩 |||||||| MUSIC PACK 20 || ||||||||||<#ffffff>{{{#green BASIC}}} : 오브젝트 3 증가 (리플레시아)[br]{{{#red HARD}}} : 난이도 1 증가 (콜레트 Spring)[br]{{{#Magenta White Hard}}} : 보면 추가 (리플레시아) || 작곡은 [[Qrispy Joybox]], 보컬은 [[타츠미 메구미]].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의 테마곡으로, 실제 오프닝으로 쓰인건 맨 앞부분. 해당곡을 어레인지해서 라임라이트 기본 선곡 BGM으로 나오기도 했다. 가사도 그렇고 자켓 그림이나 곡의 컨셉과 라임라이트 자체의 컨셉도 부합하는 곡인데다 타이틀곡이기 때문에 OST에서도 첫번째 트랙이지만, 왠지 처음 해금되는 [[limelight world]] 때문에 2번째 테마송이라고 착각하는 사람이 많았다. 이러한 테마곡의 컨셉은 [[groovin']]이 이어가게 된다. [youtube(7RsWA9S_9MI)] 하드 난이도 영상 하드는 앞부분의 [[트릴]], 7치고는 쉽지 않은 롱 오브젝트 패턴 등 때문에 난이도는 7치고는 꽤 어려운 편이였으나 [[리플렉 비트 콜레트]]의 스프링 시즌에서 하드 난이도가 8로 상향되었다. 베이직은 하드와 비교해서 크게 다른 점이 없는 롱 오브젝트 패턴과 적은 오브젝트 수 때문에 스코어링이 힘들 수 있다. [youtube(4ivetqTFXjg)] 화이트하드 난이도 영상 == 가사 == Hello darling You're always on my mind I never leave you alone The music made us happy with the limelight Our new world just came along そう, あの時 ぼくは in daydream 소-, 아노토키 보쿠와 in daydream 그래, 그때 나는 in daydream 出会いの 刺激で wake me up 데아이노 시게키데 wake me up  만남의 자극으로 wake me up 目覚めた 메자메타 눈을 떴어 突然に light up  토즈젠니 light up 돌연히 light up キミの 瞳  smile 키미노 히토미 smile 너의 눈동자가 smile リズムにのって dance  리즈무니놋테 dance 리듬을 타고 dance はじく  play that tune with me 하지쿠 play that tune with me 연주하는 play that tune with me ドキドキ  とまらないほど 도키도키 토마라나이호도 두근두근 멈출 수 없을 만큼 キミと 感じあえる new world 키미토 칸지아에루 new world 너와 느끼는 new world Come on, Let me take you to the limelight I'll make you happy again 夢の外 見てごらん ほら 유메노소토 미테고란 호라 어서 꿈의 바깥쪽을 봐봐 世界は きっと forever 세카이와 킷토 forever 세계는 분명 forever The world we live in has got bigger The light's getting lighter いまさあ ふりそそいで limelight 이마사- 후리소소이데 limelight 지금에서야 쏟아지는 limelight I know our new world will last fore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