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4VEN ~천국에 어서오세요~''' [[파일:external/p.eagate.573.jp/201702_sv_03.jpg]] [include(틀:사운드 볼텍스/역대 KAC 결승곡)] [include(틀:사운드 볼텍스/20레벨)] [목차] == 개요 == ||'''{{{#FFFFFF 별에게 빌자, 바람을 우러르자, 꿈을 이야기하자, 용기가 없는 나 자신은, 육지의 저편에 놔 두고 왔어!}}}'''|| ||'''{{{#3279AD 「――꿈이라면 꿀 거야! 왜냐면 천국은 여기에 있으니까!」}}}'''|| [[사운드 볼텍스]] 시리즈의 수록곡으로, 작곡가는 [[freaky freak]]과 [[Ganymede]] kamome mix, 과자 시리즈를 비롯 수많은 곡을 제공해온 [[kamome sano]]. 이 곡에서는 カモメサノエレクトリックオーケストラ(카모메 사노 일렉트릭 오케스트라) 명의를 사용했다. 곡명은 평범하게 '헤븐'으로 읽는다. 제목에 걸맞게 밝고 활기찬 엔딩곡 풍의 음악으로, 작곡가의 음악색이 잘 드러난 높은 퀄리티로 호평받는다. 다만 고난이도를 노리고 BPM만 끌어올린듯한 느낌이 든다는 비판적인 의견도 상당히 있으며, 특히 곡의 후반에서 그런 느낌을 받는 사람들이 꽤 많다. == [[사운드 볼텍스]] ==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 [[The 6th KAC]] 오리지널 곡 컨테스트의 두 최우수 당선곡 중 하나이다.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5>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난이도 || NOVICE || ADVANCED || EXHAUST || MAXIMUM || || 자켓 || [[파일:HE4VEN_NOV.jpg|width=150]] || [[파일:HE4VEN_ADV.jpg|width=150]] || [[파일:HE4VEN_EXH.jpg|width=150]] || [[파일:HE4VEN_MXM.jpg|width=150]] || || 레벨 || 07 || '''15''' || 17 || '''20''' || || 체인 수 || 0664 || 1259 || 1712 || 2257 || || 일러스트 담당 || 輝けるカモメ号[br]キャプテン☆ノア $ CP蒼弐[* 빛나는 갈매기 호 캡틴 ☆ 노아 $ CP 蒼弐] || ”夢なら見るよ!”[br]キャプテン☆ニア $ CP蒼弐[* "꿈이라면 꿀 거야!" 캡틴 ☆ 니아 $ CP 蒼弐] || "電子の海にだって楽園はあるんだ!"[br]キャプテン☆ニア&ノア $ CP蒼弐[* "전자 바다에도 낙원은 있어!" 캡틴 ☆ 니아 & 노아 $ CP 蒼弐] || "嵐を超え…天国へようこそ!!"[br]キャプテン☆ニア&ノア $ CP蒼弐[* "폭풍을 넘어서 ... 천국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캡틴 ☆ 니아 & 노아 $ CP 蒼弐] ||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4> [[PHQUASE]] utopia || || 수록 시기 ||<-4> {{{#0099ff,#0098ff IV 06(2017. 02. 17.) }}} || || [[BPM]] ||<-4> 256 || * [[스킬 애널라이저|SKILL ANALYZER]] 수록 * NOVICE : Skill Level 2(2019.2.28~2019.6.19) * MAXIMUM : Skill Level ∞(2017.2.17 ~ 2017.4.27, 2019.6.19~2019.8.9) [include(틀:사운드 볼텍스/The 6th KAC 당선곡 해금 순서)] 자켓 일러스트 담당 캐릭터는 [[아오니사이]]가 그린 니아 & 노아. KAC 콘테스트 최우수 당선곡 자켓에, 사운드 볼텍스의 세 마스코트 캐릭터 [[볼테나이저 맥시마]], [[레이시스(사운드 볼텍스)|레이시스]], [[사운드 볼텍스/캐릭터#그레이스|그레이스]]가 아닌 다른 캐릭터가 사용된 것은 처음이다. 전용 트랙 배경을 사용. 바다 형태의 트랙 배경에 초기 상태에서는 범선이 등장하나, [[Lachryma《Re:Queen’M》|지난 회 최우수 당선곡]]과 마찬가지로 ADV 이상에서는 곡 중반 이후 자켓의 니아 & 노아가 등장한다. EXH 이상에서는 곡의 중후반부터 트랙 레인이 사라지는 연출 역시 사용되었다. KAC 당시에는 범선이 사라지고 그 자리에 니아와 노아가 등장했으나, 실제 수록 시점에는 중앙의 범선을 유지한 채로 양 옆 하단에 니아와 노아가 등장하는 연출로 교체되었다. 이펙터는 역대 최우수 당선곡들의 패턴을 제작한 [[PHQUASE]]. ADV 패턴은 최초로 15레벨을 달성했다. 구 난이도 체계 기준으로 환산해도 14레벨로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각 버전 일러스트 담당자 명의의 첫 줄을 이어서 써 놓으면 다음과 같은 글귀가 완성된다. >{{{#purple,#ff7ffe 빛나는 갈매기[* 작곡가 '''kamome''' sano와 갈매기를 뜻하는 단어 카모메(鴎 (かもめ))를 이용한 말장난.] 호.}}} >{{{#orange,#ffa500 "꿈이라면 꿀 거야!"}}} >{{{#red,#ff0000 "전자 바다에도 낙원은 있어!"}}} >{{{#696969,#969696 "폭풍을 넘어서... 천국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여담으로 The 10th KAC 시점으로 KAC 오리지널 곡 콘테스트 최우수상 수상 곡들 중 유일하게 일본어가 들어간 곡이다.[* [[FIN4LE 〜終止線の彼方へ〜]]와 [[いまきみに]]는 콘테스트 곡이 아니므로 제외.] === 채보 상세 === [youtube(azAtlGw4JQA, width=405, height=720)] MXM 패턴 손배치 포함 '''PUC''' 영상 MXM 패턴은 공개 시점 기준 3번째, 수록 시점 기준 2번째 20레벨 패턴이다. 같은 날 등장한 [[스킬 애널라이저]] 폭룡천 코스의 보스곡으로 들어갔다. MXM 패턴의 성향은 빠른 BPM과 초견살이 맞물려 나온 고난도의 패턴이다. 클리어하려면 19레벨을 클리어할 정도의 처리력도 필요하지만 패턴을 숙지하지 않으면 당황하거나 눈 깜짝할 새에 놓쳐버리는 패턴이 꽤 많아 이 부분들을 미리 숙지하는 것이 좋다. 초반과 후반에 나오는 복잡하게 꼬인 8비트(BPM 128 기준 16비트) BT-FX 복합 패턴에서 게이지를 크게 잃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하며, 탈선하기 쉬운 노브 패턴도 난이도를 올리는 요소이다. 클리어 레이트는 [[Lachryma《Re:Queen’M》]]보다 높은 편이며, 순수 처리력을 요구하는 Lachryma《Re:Queen’M》보다는 요구하는 처리력이 낮고 초견살 패턴으로 무장했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보인다. 대체로 개인차를 배제하면 클리어 난이도는 20레벨 중에서는 가장 할 만한 채보라는 것이 중론. 실제로 20레벨 입문곡으로 많이 추천되는 편이다. 스코어링 난이도는 고BPM 틱 보정으로 인해 체인 수가 적어져 클리어 난이도보다는 조금 높은 편. MXM 패턴의 첫 PUC는 업데이트 '''다음 날'''인 2월 18일 새벽에 나왔다. 달성자는 [[The 6th KAC]] 사운드 볼텍스 우승자인 GGD이다.([[https://twitter.com/GGD_desu/status/832630055171809281|#]], [[https://twitter.com/GGD_desu/status/832735210206662656|85번 시도한 끝에 PUC를 이루어냈다고 한다(85회 시도, 83회 클리어, 5회 UC, 1회 PUC).]]) [youtube(O0MDL5Rn6mU, width=405, height=720)] EXH 손배치 포함 PERFECT 영상 EXH는 MXM에서 살을 적당히 덜어낸 패턴. 덜어냈다고 해도 빠른 BPM때문에 결코 만만한 난이도는 아니며 17레벨에서 중상~상위를 점하고 있다. 그러나 다단계 해금 마지막곡이고, MXM을 하는 사람들도 해금을 위해 한두판은 하게 되므로 17레벨 중 클리어레이트가 상당히 높은 편. EXH 난이도를 통해 다단계 해금을 하는 경우 앞선 곡인 [[Fin.ArcDeaR]]가 18레벨인 것의 영향도 크다. [youtube(gOwD0PFAogs, width=405, height=720)] ADV 손배치 포함 PERFECT 영상 ADV는 수록 시점 최초의 ADV 15레벨. 지금까지 나왔던 EXH/번외패턴 15레벨 패턴에 비하면 그럭저럭 할만한 편으로 나왔지만 그래도 15레벨 첫클리어 후보로 고를 만한 곡은 아니라는 평이 주를 이룬다. === 당선자 코멘트 === ||지금 보고 있는 이 세계가 「그곳」일지도 모르잖아요?|| [[분류: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의 수록곡]][[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