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기계족]][[분류:유희왕/OCG/싱크로 소환]]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상급 싱크로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SR(유희왕))] ||<-3> {{{#!wiki style="text-shadow: 0 0 10px #E5EEE8;color:#CF5973;font-size:15pt" '''[ruby(HSR, ruby=하이스피드로이드)] 찬바라이더'''}}} || ||<|7> [[파일:앜파 찬바라이더.jpg|width=100%]] || || '''등장 시리즈''' || [[유희왕 ARC-V|ARC-V]] || || '''사용 캐릭터''' || [[유고(유희왕)|유고]] || || '''첫 수록 ''' || [[부스터 스페셜]] [[하이스피드 라이더스]] || || '''서포트''' || [[싱크로 소환|싱크로]] || || '''소속 테마군''' || [[SR(유희왕)|[ruby(SR,ruby=스피드로이드)]]], [[로이드(유희왕)|로이드]] || || '''재정'''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px]] [[https://www.db.yugioh-card.com/yugiohdb/faq_search.action?ope=4&cid=12055&request_locale=ja|OCG DB Q&A]] || ||<-3> {{{#E5EEE8 약동감 넘치는 그 검극의 영혼. 나와라, 레벨 5! '''{{{#!htmlHSR 찬바라이더!}}}'''[br]その躍動感溢れる、剣劇の魂。出でよ、レベル5! '''{{{#!htmlHSRチャンバライダー!}}}'''}}} || [목차] == 원작 == [[파일:찬바라이더 앜파카드.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싱크로=, 한글판명칭=HSR(하이스피드로이드) 찬바라이더, 일어판명칭=HSR(ハイスピードロイド)チャンバライダー, 영어판명칭=Hi-Speedroid Chanbara, 레벨=5, 속성=바람, 종족=기계족, 공격력=2000, 수비력=1000,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이 카드는 1번의 배틀 페이즈 중에 2회 공격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할 데미지 스텝 개시시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100 올린다.)] 유희왕 ARC-V 55화에서 유고가 [[듀얼 체이서 227]]과 듀얼할 때 등장. 그러나 [[고요우 프레데터]]에게 전투 파괴된 이후 듀얼 체이서의 필드 위에 특수 소환된다. 듀얼 체이서는 찬바라이더의 더블어택 효과로 원턴 킬을 노리지만, 유고가 함정 카드 [[SR(유희왕)#다이스 롤 배틀|다이스 롤 배틀]]로 [[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을 특수 소환하여 오히려 찬바라이더의 효과가 강제 효과임을 이용당해 오히려 클리어윙의 공격력을 높여 역관광당한다. == OCG == [[파일:HSRチャンバライダ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싱크로=, 한글판명칭=HSR(하이스피드로이드) 찬바라이더, 일어판명칭=HSR(ハイスピードロイド)チャンバライダー, 영어판명칭=Hi-Speedroid Chanbara, 레벨=5, 속성=바람, 종족=기계족, 공격력=2000, 수비력=1000,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자신은 "HSR(하이스피드로이드) 찬바라이더"를 1턴에 1번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는 1번의 배틀 페이즈 중에 2회 공격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할 데미지 스텝 개시시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200 올린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제외되어 있는 자신의 "스피드로이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에 넣는다.)] [[부스터 스페셜]] [[하이스피드 라이더즈]]에서 [[시크릿 레어]]로 첫 등장하였다. ①의 효과는 원작처럼 [[2회 공격(유희왕)|더블어택]]을 할 수 있는 [[지속효과]]. 싱크로 몬스터 중에서 완전한 더블어택 효과를 가지는 몬스터는 이 카드, [[B·F#B·F-항마궁의 하마|B·F-항마궁의 하마]], [[화이트 아우라#화이트 아우라 웨일|화이트 아우라 웨일]], [[마건#마건변귀-트랜스풀미네|마건변귀-트랜스풀미네]]밖에 없는 효과. 이들 중에선 가장 쉽고 범용적으로 쓸 수 있다.[* 트랜스풀미네와 웨일은 소재제한이 있고, 하마는 싱크로 몬스터를 소재로 해야 더블어택을 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전투를 실행할 데미지 스탭 개시시에 공격력을 200 올리는 [[유발효과]]. 원작보다 100 상향되었다. ①의 효과와 연계되기 때문에 첫 타부터 2200에서 시작, 자기 턴에 더블어택을 성공하기만 해도 공격력이 2400이 된다. 레벨 5 싱크로 치고는 좋은 돌파력을 갖추는 셈으로, 상대 필드를 비워 두었다면 소환하여 4600 데미지를 입힐 수 있다. ③의 효과는 묘지로 보내지면 제외되어 있는 스피드로이드를 패로 꺼낼 수 있는 [[유발효과]]. 싱크로 소재로 보내지든, 링크 소재로 보내지든 발동한다. SR 몬스터들 중에서는 묘지에서 제외함으로써 효과를 발휘하는 몬스터들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재활용하기에 유용하다. SR 덱에선 [[SR(유희왕)#HSR-GOM 건|HSR-GOM 건]]과의 조합으로 제외하기 위해 채용하는 것이 정석이다. 일단 HSR-GOM 건이 제외하기 가장 좋은 몬스터의 레벨이 5인데, 또 다른 레벨 5 싱크로 몬스터인 마하고이타는 전개 과정에서 써야 되므로 찬바라이더를 쓰는 것이다. 그리고, 가끔씩 [[SR(유희왕)#SR 카르터보|SR 카르터보]]와의 조합으로 피니셔를 담당하기도 한다. 굳이 SR 덱이 아니더라도, 돌파력과 쉬운 소환조건이 합쳐져 싱크로를 쓰는 덱이면 용병으로 꽤나 많이 불려가는 편이다. 모티브는 일본의 사무라이/닌자물을 이르는 [[찬바라]]. 이 용어가 고착화되어, 현재는 단순한 칼싸움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 모습답게 모양도 검 모양이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 Live 2D가 적용된 연출이 적용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부스터 스페셜|부스터 SP]] [[하이스피드 라이더스]] || SPHR-KR010 || [[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 -질풍의 듀얼리스트 편- || DP25-KR016 || [[노멀]] || 한국 || || || [[부스터 스페셜|ブースターSP]] -[[하이스피드 라이더스|ハイスピード・ライダーズ]]- || SPHR-JP010 || [[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Special Pack 20th Anniversary Edition Vol.3 || 18SP-JP306 || [[노멀]][br][[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デュエリストパック]] -疾風のデュエリスト編- || DP25-JP016 || [[노멀]] || 일본 || || || [[하이스피드 라이더스|High-Speed Riders]] || HSRD-EN010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Shadows in Valhalla || SHVA-EN051 || [[슈퍼 레어]] || 미국 || || || [[듀얼리스트 팩|Legendary Duelists]]: Synchro Storm || LED8-EN017 || [[노멀]] || 미국 ||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SR(유희왕), version=557, paragraph=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