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HYBE)] [include(틀:HYBE)] [include(틀:HYBE의 경영진)] [목차] [clearfix] == 개요 == [[HYBE]](구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의 경영관련 사항이 서술된 문서. == 경영 실적 == * 2016년 매출은 '''360억 원, 영업이익은 110억 원'''으로 알려졌는데, 이 정도 매출액은 3대 기획사 및 몇몇 중견 상장엔터사를 빼고 가장 큰 규모이기도 하다.[[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1702090100018900001148&svccode=00&page=1&sort=thebell_check_time|#참고링크]] [[방탄소년단]]이 대부분의 매출을 올렸을거라 예측한다면 사실상 상당한 성장 수치를 기록한 셈이다. * 2017년 빅히트 매출은 무려 '''924억 원, 영업이익도 325억 원''', 당기순이익은 246억 원을 기록하여 2017년에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에선 3대 기획사마저 추월했다. 빅히트의 매출액은 2016년보다 162%나 증가한 것이고 영업이익은 214%, 당기순이익도 무려 173%가 증가했는데 이런 3대 기획사마저 추월한 빅히트의 놀라운 실적의 이유는 [[방탄소년단]]이 2017년에 단일 앨범으로선 2000년대 초반 이후 처음으로 밀리언 셀러를 기록하고 여기에 월드 투어의 성공과 그외 모든 부문에서 매출이 급증한 덕택이다.[[http://v.entertain.media.daum.net/v/20180322101050897|#참고링크]] 빅히트가 상장할 경우, 예상되는 시가 총액은 1조 6천억원 정도로 국내 3대 기획사 모두 뛰어넘었다. * 2018년 '''매출액 2,142억 원, 영업이익 641억 원, 당기순이익 502억 원'''을 기록해 창사 이래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 132%, 영업이익 97%, 당기순이익 105%가 증가한 수치'''이며 예상한 것과 엇비슷하다.[[https://entertain.naver.com/read?oid=609&aid=0000077766|#]] *{{{+1 '''기업 상장 이후(현 HYBE)'''}}} *{{{+1 '''2020년'''}}} * 2020년도 4'''분기 매출은 3,12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7% 상승해 발표일 기준 동기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 2020년도 연간 실적발표에서 발표한 바에 따르면 2020년 '''연간 매출은 7,963억 원'''으로 전년 대비 36% 상승해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1 '''2021년'''}}} * 2021년도 1'''분기 매출은 1,78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 상승해 발표일 기준 동기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 2021년도 2'''분기 매출은 2,78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9.2% 상승해 발표일 기준 동기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 2021년도 3'''분기 매출은 3,41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9.5% 상승해 발표일 기준 동기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 2021년도 4'''분기 매출은 4,59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 상승해 발표일 기준 동기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 2021년도 '''연간 매출은 1조 2,577억 원'''으로 전년 대비 58% 상승해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하이브 '''창립 이래 최초로 연매출이 1조를 돌파(1조 2,577억원)'''하였다. 이는 국내 엔터사 기준으로도 최초이다. *{{{+1 '''2022년'''}}} * 2022년도 1'''분기 매출은 2,85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9.8% 상승해 발표일 기준 동기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 2022년도 2'''분기 매출은 5,12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3.8% 상승해 발표일 기준 동기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 2022년도 3'''분기 매출은 4,45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6% 상승해 발표일 기준 동기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 2022년도 4'''분기 매출은 5,35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9% 상승해 발표일 기준 동기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 2022년도 '''연간 매출은 1조 7,780억 원'''으로 전년 대비 41.6% 상승해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멀티 레이블 체제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동시다발적인 활동으로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액을 경신했다. *{{{+1 '''2023년'''}}} * 2023년도 1'''분기 매출은 4,10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1% 상승해 발표일 기준 동기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 2023년도 2'''분기 매출은 6,21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2% 상승해 발표일 기준 동기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하이브 '''창립 이래 최초로 반기 매출이 1조를 돌파(1조 316억원)'''하였다. 3대 대형 엔터사의 2022년 연매출보다 높은 수치로 이는 국내 엔터사 기준으로도 최초이다. * 2023년도 2'''분기 매출은 6,21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2% 상승해 발표일 기준 동기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하이브 '''창립 이래 최초로 반기 매출이 1조를 돌파(1조 316억원)'''하였다. 3대 대형 엔터사의 2022년 연매출보다 높은 수치로 이는 국내 엔터사 기준으로도 최초이다. * 2023년도 3분기 매출은 11월 2일 발표 예정이다. == 자산 == *2023년 4월 10일 관계기관에 따르면 공정위는 하이브의 대기업집단 지정을 위한 검토 작업을 진행했고,[[https://www.newspim.com/news/view/20230410000329|#]] 자산 총액 4조 8100억으로 기준치인 5조에 미치지 못해 지정되지 않았다.[[https://www.joongang.co.kr/amparticle/25157850|#]] SM엔터테인먼트 인수를 그대로 진행했으면 지정되었을 수 있으나 중도 포기하면서 공정자산은 4조 8100억원에 그쳤다. *2023년 상반기 기준 HYBE의 공정자산은 5조 3722억원으로 집계되어 공시대상기업집단 기준을 충족한 상태이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896796?sid=101|#]] 하이브가 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등록된다면 엔터사로는 최초이다. == 투자 및 인수 == === [[하이브 레이블]] === *{{{+1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 *2020년 5월 [[세븐틴]] 등이 소속되어 있는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를 산하 레이블로 인수'''했으며, 임원진들은 그대로 유임하고 독립적인 형태로 운영될 것이라고 한다. 하이브(당시 빅히트 엔터테인먼트)는 '''플레디스 지분 85%'''를 인수'했다. 한 대표와 솔라시아 지분은 각각 10%, 5%로 낮아졌다. 지분 매각가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증권가에서는 하이브가 지분 인수에 약 2000억원을 쓴 것으로 관측한다. *{{{+1 '''[[쏘스뮤직]]''' }}} *2019년 7월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의 소속사인 '''[[쏘스뮤직]]을 산하 레이블로 인수'''했다. 쏘스뮤직의 기존 임원진들은 그대로 유임하고 독립적인 형태로 운영될 것이라 밝혔다.[[http://isplus.liv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23538270&ctg=15&tm=i_b|기사]] 방시혁은 "육성 철학이 비슷하다"며 인수 배경을 설명했다.[[http://news1.kr/articles/?3682195|기사]] *{{{+1 '''[[빌리프랩]]''' }}} *2018년 9월 [[CJ ENM]]과 합작(자본금 70억: HYBE가 34억 원 출자, CJ ENM이 36억 원 출자)해 [[빌리프랩]]을 설립했다. *2023년 9월 [[CJ ENM]]과 설립한 합작회사 '''[[빌리프랩]]에 1,500억원가량을 투자해 지분 전량을 인수, HYBE 산하 자회사로 편입'''시켰다. *{{{+1 '''[[KOZ 엔터테인먼트]]''' }}} *2020년 9월 증권신고서 제출일 기준 현재 국내 중소 레이블 지분 인수를 위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했고, [[지코]]가 설립한 기획사인 '''[[KOZ 엔터테인먼트]]를 인수'''하여 [[빅히트 레이블]]로 편입했다. *{{{+1 '''[[하이브 유니버설]]''' }}} *[[HYBE]]와 [[유니버설 뮤직 그룹]]산하 레이블인 [[게펜 레코드]]와 협력하여 세운 회사이다. [[HYBE]]가 지분 51%를 보유한 자회사이며, 2023년 9월 1일 미국 현지화 걸그룹 멤버들을 뽑는 [[The Debut: Dream Academy]]가 방영될 예정이다. *{{{+1 '''[[이타카 홀딩스]]''' }}} *2021년 4월 '''10억 5000만 달러로 [[저스틴 비버]], [[아리아나 그란데]] 등이 소속된 [[이타카 홀딩스]]를 인수했다.''' 이타카 홀딩스의 설립자 [[스쿠터 브라운]]은 [[하이브 아메리카]] CEO를 맡게 되며 HYBE 이사가 되었다. *{{{+1 '''[[빅 머신 레이블 그룹]]''' }}} *2021년 4월 10억 5000만 달러로 [[저스틴 비버]], [[아리아나 그란데]] 등이 소속된 [[이타카 홀딩스]]를 인수하면서 자회사인 '''[[빅 머신 레이블 그룹]]이 [[HYBE LABELS]]에 편입'''되었다. *{{{+1 '''[[QC미디어 홀딩스]]''' }}} *2023년 2월 3,140억 원을 투자해 [[Quavo]], [[Lil Yachty]] 등이 소속되어 있는 '''[[Quality Control Music]]을 인수'''했다. *HYBE는 [[쏘스뮤직]](20%),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10%), [[KOZ엔터테인먼트]](25%), [[ADOR]](20%)의 잔여지분을 인수할 수 있는 콜옵션계약이 계약되어있음 === 게임 및 [[하이브 IM]] === * 2019년 8월 음악게임 전문회사 '''[[Superb]]를 인수'''했다, [[http://news1.kr/articles/?3698121|기사]] 방시혁은 "게임이 우리의 주력분야인 음악과 강력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산업이라고 생각한다. 이번 인수가 양사는 물론 빅히트가 확장해 갈 멀티 레이블들에게 긍정적 가치와 가능성을 가져다 줄 것이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 2022년 9월 15일, 마코빌이 개발 중인 게임 ''''프로젝트 OZ'''' 와 ''''프로젝트 B''''의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했다. * 2023년 3월 게임사 플린트에 100억 원을 투자, 지분 3%를 확보했다. 2022년 11월 [[HYBE IM]]에서 플린트가 개발 중인 게임 [[별이 되어라2: 베다의 기사들]]의 퍼블리싱 계약 또한 체결한 바 있는데, 더 나아가 적극적으로 게임 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 2023년 8월 게임사 아쿠아 트리에 300억원을 투자, 아쿠아 트리가 개발 중인 MMORPG 게임 '''프로젝트 A''' ^^코드네임^^의 글로벌 배급권을 확보했다. 입찰에 참여한 [[넥슨]], [[텐센트]] 등 10곳이 넘는 국내외 기업을 제치고 판권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https://news.mtn.co.kr/news-detail/2023082917455782060|#]] === 기타 투자 및 인수 === *{{{+2 '''자회사''' }}} *{{{+1 '''[[수퍼톤]]''' }}} *2021년 1월 AI 오디오 기업 [[수퍼톤]]에 40억 원을 투자, 18.2%의 지분을 취득했다. *2023년 1월 450억 원을 투자해 총 56.1%의 지분을 확보, '''[[수퍼톤]]을 인수'''했다. 이후 수퍼톤의 기술을 활용하여 [[HYBE IM]], [[빅히트 뮤직]] 등과 협업하기도 했다. 수퍼톤의 AI 오디오 기술을 기반으로 생성한 목소리는 노래나 연기에 활용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구현이 가능한 단계에까지 이른 상태다. [[카지노(드라마)|카지노]] 등 여러 콘텐츠 목소리 인공지능 디에이징 작업에도 참여한 바 있다. *{{{+2 '''관계기업''' }}} *{{{+1 '''[[SM엔터테인먼트]]''' }}} *2023년 2월 4,228억 원을 투자해 [[aespa]], [[NCT]] 등이 소속되어 있는 [[SM엔터테인먼트]] 창업주 [[이수만]]의 지분 14.8%를 인수했다. 그러나 [[카카오엔터테인먼트]] - [[카카오(기업)|카카오]] 본사의 참여로 인수를 포기해 현재는 8.81% 지분을 보유한 대주주로 남아 있다. *{{{+1 '''[[YG PLUS]]''' }}} *2021년 1월 [[YG PLUS]]의 구주와 신주에 총 700억 원을 투자, 자회사 [[WEVERSE COMPANY|위버스컴퍼니]](당시 비엔엑스)와 합쳐 총 17.92%의 지분을 확보했다. HYBE 아티스트들은 YG PLUS를 통해 음반을 발매하며, YG 아티스트들은 [[Weverse]]에 입점하는 등 음반, 음원 유통, 지식재산권, 플랫폼 등 여러 분야에서 협업 관계에 있다. *2023년 8월 [[YG PLUS]]의 자회사이자 친환경 인쇄전문기업인 [[FOREST FACTORY]]에 투자를 진행했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9TGEK0UT8|#]] 투자규모는 밝혀지지 않았다. *{{{+2 '''협력기업''' }}} *{{{+1 '''[[네이버]]''' }}} *2021년 초 [[네이버]]는 [[위버스]]를 운영하는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 비엔액스(현 [[위버스컴퍼니]])에 3548억원을 투자하고 49% 지분을 확보했다. 비엔엑스는 투자받은 자금으로 네이버의 [[브이라이브]] 사업을 약 2000억원에 양수, 두 서비스를 통합할 예정이었다. 비엔엑스 사명은 ‘위버스컴퍼니’로 바뀌고, 네이버에서 브이라이브를 개발하던 인력들은 위버스컴퍼니로 이동해 2022년 통합 서비스를 내놓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빅히트는 네이버의 개발자와 선진적인 개발 인프라를 내재화할 수 있게 됐다. *{{{+2 '''기타 투자'''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814002173|하이브 반기보고서(2023.08.14)]] XII. 상세표 - 3. 타법인출자 현황(상세) 참고. *2021년 11월 2일, 주식회사 해시드벤처스에 12억 원을 투자했다. 해시드벤쳐스는 블록체인 전문 투자사이다. [[네이버]], [[크래프톤]], [[SK]], [[LG]], [[컴투스]], [[무신사]] 등이 함께 출자했다. *2021년 11월 22일, 주식회사 자이언트스텝에 57억 원을 투자했다. 자이언트스텝은 메타버스 기술 개발사이다. *2022년 2월 8일, 람다256 주식회사에 100억 원을 투자했다. 람다256 주식회사는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사이다. [[YG엔터테인먼트]]도 투자에 참여했다. *2022년 12월 8일, 주식회사 [[이너버즈]]에 15억 원을 투자했다. 이너버즈는 고성능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휴먼 영상 등을 연구개발하는 기업이다. *2023년 6월 5일, 주식회사 미니레코드에 투자했다. 미니레코드는 친환경 음반 스타트업이다. 투자규모는 밝혀지지 않았다. *2023년 6월 9일, 주식회사 위블링에 투자했다. 위블링은 국내 최대 규모의 POD 생산 설비와 차별화된 서비스 플랫폼 기술력 등을 기반으로 하는 맞춤형 프린팅 기업이다. 투자규모는 밝혀지지 않았다. [[YG PLUS]], [[JYP엔터테인먼트]], [[YG PLUS#s-3.3|YG인베스트먼트]] 등도 투자했다. == 게임 사업 == *2021년 2월 4일, [[Superb]]가 현재 HYBE IM이 유통 중인 게임 '''[[Rhythm Hive]]'''를 출시했다. *2022년 6월 29일, 게임 '''[[인더섬 with BTS]]'''를 출시했다. *2022년 9월 15일, 마코빌이 개발 중인 게임 ''''프로젝트 OZ'''' 와 ''''프로젝트 B''''의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했다. *2022년 11월 19일, HYBE가 본격적인 [[https://newsis.com/view/?id=NISX20221119_0002092714&cID=13008&pID=13100|게임 사업 진출]]을 위해 게임 개발사 플린트에 투자를 단행, 플린트가 개발 중인 게임 '''[[별이 되어라2: 베다의 기사들]]'''의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박지원 대표는 "게임 사업을 발전시켜 나가면서 지분투자 및 [[인수합병]](M&A)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고, [[방시혁]] 의장은 "게임 사업 전반 가치사슬을 확장해 나가면서 엔터사업 가치 또한 제고할 것이며, 음악 사업을 일궈낸 혁신 못지 않은 성과를 내고 게임 사업까지 잘하는 회사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2023년 3월 28일, 아이돌 기반의 수집형 모바일 RPG, 내부 게임 프로젝트로 ''''프로젝트I''''의 개발을 진행 중이다.[[https://m.gamevu.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586|#]] 다양한 게임 개발 직군을 채용 중에 있으며 게임은 유니티 엔진을 기반으로 개발된다. *2021년 2월 4일, [[Superb]]가 현재 HYBE IM이 유통 중인 게임 '''[[Rhythm Hive]]'''를 출시했다. *2022년 6월 29일, 게임 '''[[인더섬 with BTS]]'''를 출시했다. *2022년 9월 15일, 마코빌이 개발 중인 게임 ''''프로젝트 OZ'''' 와 ''''프로젝트 B''''의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했다. *2022년 11월 19일, 플린트가 개발 중인 게임 '''[[별이 되어라2: 베다의 기사들]]'''의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2023년 3월 28일, 아이돌 기반의 수집형 모바일 RPG, 내부 게임 프로젝트로 ''''프로젝트I''''의 개발을 진행 중이다.[[https://m.gamevu.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586|#]] 다양한 게임 개발 직군을 채용 중에 있으며 게임은 유니티 엔진을 기반으로 개발된다. *2023년 8월 게임사 아쿠아 트리에 300억원을 투자, 아쿠아 트리가 개발 중인 MMORPG 게임 '''프로젝트 A''' ^^코드네임^^의 글로벌 배급권을 확보했다. 입찰에 참여한 [[넥슨]], [[텐센트]] 등 10곳이 넘는 국내외 기업을 제치고 판권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https://news.mtn.co.kr/news-detail/2023082917455782060|#]] HYBE에서 게임사업에 진출하려고 하는 주된 이유는 사업 다각화, 기업 성장과 안정을 위해서이다. 기업 경영 측면에서 게임 산업이 음악 산업보다 훨씬 더 거대하고 안정적인 시장이다.[[https://raiseyourskillz.com/ko/gaming-industry-vs-other-entertainment-industries-2021/|#]] 그러므로 장기적인 기업 성장 및 포트폴리오 안정화 측면에서 사업을 다각화시켜야 하고 게임 사업에 진출하는 것이다. == 관광·부동산 사업 == [[방탄소년단]]의 리얼리티 프로그램 [[인더숲 시리즈]]을 진행한 [[강원도]] [[평창군]] 촬영지를 사들여 이곳을 투어 이벤트 장소로 활용하면서 향후 [[숙박]]시설 운영 등의 [[관광]] 장소로 [[https://paxnetnews.com/articles/81073|활용할 예정]]이다. ==# [[기업공개]] 및 주식 #== [[2020년]] [[5월 28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하고 [[기업공개]](IPO) 절차에 착수했다. 빅히트 측에서는 [[2019년]] 잠시 [[미국]] [[나스닥]]시장 상장도 검토했으나, 최종적으로 한국 증시 상장으로 결정했다. 상장 주관사는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JP모건 체이스]] 3곳이다. [[2020년]] [[8월 7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의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11800048|기사]] [[2020년]] [[8월 7일]]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연예 기획사]] 중 [[코스피]]시장에 정식으로 정문 상장한 기업은 존재하지 않았다. [[iHQ]] 등은 전부 [[우회상장]]했다. [[코스닥]]시장에는 [[SM엔터테인먼트]], [[와이지엔터테인먼트]] 등 여러 연예 기획사들이 정문 상장했으나 코스피시장에는 기획사 정문 상장이 전무했던 것. 빅히트는 코스닥을 거치지 않고[* 코스닥 출범 이전과 출범 초기에는 코스닥을 거치지 않고 코스피에 바로 상장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지금은 코스닥을 거쳤다가 코스피로 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는 코스피 상장예비심사에 비해 쉽기 때문.] 코스피에 바로 정문 상장한 첫 한국 연예 기획사가 되었다. 빅히트의 예정 종목 코드는 352820이다. [[2020년]] 공모주 청약 건 중 최대의 청약증거금을 쓸어담은 기업은 [[6월]] [[SK바이오팜]]의 IPO로, 청약증거금을 '''30조 9,900억 원'''을 쓸어담았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4430042|기사]] 청약증거금 2위와 3위는 [[제일모직]]과 [[삼성생명]]이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8&aid=0004672759|기사]] 한편, [[2020년]] [[9월 2일]] 마감한 [[카카오게임즈]]의 최종 청약경쟁률은 1,524.85:1로 마감했다. 카카오게임즈 공모주 청약증거금은 '''58조 5,543억 원'''을 기록했다. [[2020년]] [[6월]] 세웠던 [[SK바이오팜]]의 30조 9,900억 원 기록을 2배 가까이 경신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00902150051002|기사]] 왜 청약증거금을 거론하냐면, 빅히트 엔터테인먼트는 [[2020년]] [[한국거래소]] IPO 추진 회사 중 '''가장 큰 회사'''이기 때문[* [[호반건설]]과 [[현대오일뱅크]]가 [[2020년]] 최대 IPO로 거론됐으나 둘 다 [[코로나19]] 때문에 회사가 맛이 가버렸다. 상장은 [[2021년]] 이후로 연기된 상태. 빅히트는 2020년 연초 한국 IPO 3등으로 거론된 회사이다.]이다. SK바이오팜이나 카카오게임즈보다 빅히트가 더 큰 IPO로 간주되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빅히트는 [[방탄소년단]]의 세계적 인기까지 있는 만큼, 빅히트 공모주 청약 때 SK바이오팜의 31조원, 카카오게임즈의 '''58조 5,000억 원'''을 넘어서 '''청약증거금 기록을 새로 쓸 수 있을 지''' 주목되고 있다. 특히 빅히트가 SK바이오팜, 카카오게임즈의 기록을 깬다면 몇년에 한 번씩 나온 청약증거금 기록 경신 소식이 '''[[2020년]]에는 한 해에 3번 기록이 갈리는 기록'''도 남길 것이다. 카카오게임즈가 대박을 치면서 다음 IPO 대어인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의 성적도 주목받고 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11856003|기사]] 빅히트 상장을 앞두고 [[방탄소년단]]이 [[빌보드]] 싱글 HOT 100차트 '''1위'''를 찍으면서, 빅히트 상장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11850571|기사]] [[2020년]] [[9월 2일]] 빅히트 측에서 [[금융감독원]]에서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 공모 규모는 7,350억에서 최대 9,800억까지이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11854950|기사]] 공모가 밴드 상단에서 공모가가 확정될 경우, [[방탄소년단]] 멤버들은 '''수십억 대의 주식부호가 된다'''.[* 기존에는 수백억대의 주식부호가 된다고 기술되어 있으나 수백억은 쉽지 않아보인다. 증여받은 주식이 밴드 최고가에서 상장된다면 약 93억원이지만 이경우 예상되는 증여세는 약 48억원으로 차액은 약 45억원이다. [[http://www.newspim.com/news/view/20200904000168|기사]] ] [[2020년]] [[8월 3일]] [[방시혁]] 빅히트 대표가 방탄소년단 멤버들한테 일종의 [[보너스]] 형태로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의 [[자사주]]를 증여'''했기 때문이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1&sid2=258&oid=001&aid=0011856400|기사]] 빅히트의 증권신고서에서, 빅히트 사업의 잠재 리스크 기업으로 꼽은 곳은 타 [[연예 기획사]]나 [[음반]]사가 아닌 [[네이버(기업)|네이버]]와 [[카카오(기업)|카카오]]이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05689|기사]] 이후 [[2020년]] [[9월]] 24~25일 수요예측을 거쳐서 공모주 [[청약]]을 한다. 그리고 [[2020년]] [[10월]] 경 [[코스피]]시장에 상장(데뷔)하게 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409365|기사]] 공모주 청약 시 청약증거금 100조 원 전망이 나오고 있다. [[http://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223147|기사]] 만약 실제로 100조 원이 몰리면 경쟁률은 1038:1을 기록하게 되고, 1억 원을 청약증거금으로 넣어둬야 약 1.4주를 받을 수 있게 된다.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0100536826|#]] [[2020년]] [[9월 25일]]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이 마감됐다. 반응이 매우 좋았으며, 공모가 밴드 상단인 135,000원에서 실제 공모가가 확정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경쟁률은 1117:1로 전망되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421&aid=0004895217|기사1]]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8&aid=0004746345|기사2]] [[2020년]] [[9월 28일]] 수요예측 결과 공모가를 밴드 최상단인 135,000원에 확정했다. 공모 규모는 9,625억 원이 됐으며 일반투자자 청약 물량은 20%이다.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00928000122|증권신고서]] 2020년 10월 5일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키움증권]] 4개 증권사에서 공모주 청약을 시작했다. 일반 투자자 대상 공모 총액은 1,925억 원인데, 첫날에 청약증거금 8.6조원이 모이면서 경쟁률 89.60:1을 기록했다. [[SK바이오팜]], [[카카오게임즈]] 기업공개의 학습효과가 나타났다는 평이 나오는데, 과거 카카오게임즈 IPO 때 경쟁률이 너무 높아 청약증거금이 많이 필요하다 보니 첫날 경쟁률이 SK바이오팜보다는 높았지만 카카오게임즈보다는 떨어졌다.[* 첫날 기준으로 SK바이오팜은 61.93:1, 카카오게임즈는 427.45: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다만 공모가가 높아 증거금 규모는 비슷할 거라는 전망도 있다. 한편 이번 기업공개는 70대 노인들도 청약에 나섰고, 아미들 사이에서도 화제가 되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01005071753002|#]] 2020년 10월 6일 공모주 청약이 마무리되었다. 청약증거금으로 '''58조 4,236억 원'''이 몰리면서 [[SK바이오팜]](약 31조원)보다는 높았지만 [[카카오게임즈]](58조 5,543억 원)보다는 근소한 차이로 낮았다. 최종 경쟁률은 '''606.97:1'''로 집계되었다. 1억 원을 넣으면 2주를 받을 수 있는 수준이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887544|#]] 레버리지 효과를 이용해 1만원으로 1주를 받은 사례도 있다.[[http://news.bizwatch.co.kr/article/finance/2020/10/07/0006|기사]] 이후 10월 8일에 공모주가 배정되고, 10월 15일 [[코스피]] 시장에 정식으로 상장되었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108/0002901539|방시혁 대표의 상장기념사]] [[파일:2020101501011328300122121.jpg]] [[2020년]] [[10월 15일]] 개최된 빅히트의 상장기념식. 상장 이틀째인 17일 22%가 하락하며 초반 시작이 좋지 않은 편이며, 절반 하락으로 달려가고 있는 추세다. 19일 월요일이 되자마자 고점대비 40%넘는 하락세를 보이며 18만원대로 떨어졌다. 너무 주목받는 상장주, 엔터주는 조심하라는 격언을 한번 더 증명하며 개미들의 또 다른 묘비로 남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11월 중반 기준 한때 14만원까지 내려갔지만 살짝 반등해서 16만원대를 안정적으로 유지 중이다. 12월 기준으로 18만원대까지 올라왔다. 한편 이 폭락으로 인해 손해를 입은 개미 주주들 중에서 '손해를 입었으니 주식을 환불해 달라'라고 주장하거나 공모가의 결정 과정과 기준을 밝혀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이 등장하기도 했다. [[https://www.mk.co.kr/premium/special-report/view/2020/10/29169/|공모주를 주의해야 한다는 언론 기사]] 2021년 1월 중후반에는 문화 교류가 큰 한•중간 냉기류가 풀릴 것으로 전망되는 것과 [[네이버]]와의 주식교환 설로 인해 주가가 급등하여 1월 말쯤에는 20만원선을 회복했다. 2021년 5월 [[MSCI 지수|MSCI 코리아 지수]]에 편입되었다.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5125154i|#]] 2023년 2월 기준으로 [[SM엔터테인먼트]]의 최대주주가 된다고 공시된 이후, 20만원선을 뚫고 주가가 급등했다. 이후 지분 공개 매수의 일정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카카오의 CB 발행과 경영권 방어전에 어떻게 대응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2023년 6월 기준으로 [[방탄소년단]]의 군백기 리스크를 멤버들의 솔로 활동으로 보완하며 [[세븐틴]]과 같은 아티스트 라인업이 긍정적으로 평가받아 외국인과 기관이 다량 매수, 주가가 30만원 선까지 급등했다. 30만원 선에서 쉽게 오르지 않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30만원 이상으로 장이 마감될 시 다음날 다시 30만원 아래로 떨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분기 실적은 공연 및 MD 매출의 급증으로 시장 컨센서스를 훌쩍 뛰어넘는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지만, 컨퍼런스 콜에서 향후 핵심 사업 모델 중 하나로 평가받았던 위버스의 본격적인 수익화 시점이 2024년으로 지연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주가가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하이브의 대주주 중 하나인 넷마블이 컨퍼런스 콜에서 타법인 지분 매각을 고려하고 있다고 언급한 요소 역시 주가에 다소 악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여담 == * [[2015년]] [[5월]] 코스닥 상장기업인 씨그널엔터테인먼트그룹(코스닥:099830)이 빅히트가 발행한 6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인수함으로써 잠재적 계열관계로 전환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2016년]] [[5월]]경 발행한 전환사채가 신주[* [[주식]]으로 전환되면 씨그널엔터가 31.05%의 [[주식]]을 소유하게 되는 [[계약]]이였다. 대표 [[방시혁]]은 [[2016년]] 초에는 씨그널엔터테인먼트그룹의 사내이사로 등재되어 있는 상황이였으나 [[2016년]] [[9월]]에는 사내이사에서 빠졌다. 씨그널엔터테인먼트그룹은 [[2015년]] 실적이 매출 252억 원, 영업손실 102억 원, 당기순손실이 244억 원으로 재무재표상 부분자본잠식상태로 경영권도 자주 바뀌는 상황이기도 하다. 현재는 대주주 및 경영권이 [[중국]]의 화이자신이라는 기업으로 넘어가 있는 상태였다가 지금은 다시 SG인베스트로 경영상태가 복잡하다. 거기에 라인엔터, 아리온테크놀로지등의 지분을 인수했고. 아리온테크놀로지는 드림티엔터테인먼트 2대주주로 들어오는등 경영 상태가 좀 복잡한 상황이다.]로 바뀌었다면 대주주가 될 수 있었으나, 씨그널 측이 신주 전환을 포기하고 60억 원을 회수했기에 없었던 일이 되었다. 정확한 상황은 알 수 없지만 [[방탄소년단]]이 대성공한 마당에 [[상장(주식)|상장]]될 경우 거액의 차익을 얻을 신주전환을 포기한 이유는 반대로 빅히트 측에서 CB 전환을 거부할 수 있는 콜옵션이 있었던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805/102302267/1|#]] * HYBE는 [[지식재산권(IP)]]을 기반으로 [[틀:HYBE X 네이버 웹툰 슈퍼캐스팅 프로젝트|웹툰, 웹소설]] 등 콘텐츠부터 팬덤 플랫폼 위버스 기반 [[NFT]](대체불가토큰) 거래에 [[메타버스]]까지 사업을 넓히고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HYBE의 CEO)] [include(틀:HYBE의 창업주)] [include(틀:HYBE의 경영진)] [include(틀:HYBE의 이사회)] [include(틀:HYBE의 이사회의장)]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HYBE, version=1069, paragraph=5)] [[분류:HYBE|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