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의 복도''' [목차] == 개요 == ||<:>[youtube(nSuZka1qSno)]|| [[Diverse System]]의 15주년을 기념해서 발매된 앨범 [[http://radial.diverse.jp|RADIAL]][* 참고로 똑같이 동시에 Darksphere에 수록된 [[paraoka]]의 [[Astra walkthrough]]도 같은 앨범에 먼저 수록되었다. 이 쪽은 37번 트랙이라 바로 앞쪽.]의 40번 트랙이자[* RADIAL 앨범의 수록곡은 미리 음원 영상으로 주간마다 공개되었는데, Hall of Mirrors의 영상은 2016년 05월 16일에 공개된지라, 이 쪽이 먼저다. Sta의 유튜브 계정에 올라온 영상처럼 따로 BGA는 없이 범용으로 되어있던 상태.], 2016년 12월 28일에 Sta의 유튜브 계정에 업로드된 [[Sta]]의 신곡. 곡의 모티브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와 그 후속작인 [[거울 나라의 앨리스]]로 추정. 리듬게임인 Tone Sphere에 수록될 곡이면서도 수준급 퀄리티의 BGA를 선보였는데, 곡이 끝나는 후반부를 보면 게임의 확장팩인 다크스피어의 본격적인 트레일러가 나타난다. == 가사 == * '''볼드체'''가 아닌 부분은 게임 사이즈에서 커팅된 부분이다. ||<:>'''Once you've done spelling the yell''' 네가 고함소리를 내고 나면 '''I'll be falling further into the murk''' 난 암흑 속으로 멀리 떨어지겠지 '''The clock is ticking in the dark''' 시계는 어둠 속에서 째각일테고 '''The rabbits are not guiding us''' 토끼들이 우릴 안내하지 않아서 '''Fools fold their hands''' 멍청한 바보들은 손을 움켜쥐었어 '''The birds are singing lullabies''' 새들은 [[다모클레스의 검]]에 매달려서 '''Hanging the sword of Damocles''' 자장가를 부르고 있어 '''Oh, can you hear me now''' ''"아, 내 말이 들려?"'' '''They are lurking under the sleeve''' ''"저 옷 소매에 전부 숨어있잖아"'' '''I was too scared to see my things''' "''너무 무서워서 못 보겠어"'' '''Crawling in a reflector to my crave''' ''"거울 속으로, 내 갈망 속으로 기어가잖아"'' '''Please sing your song loudly''' 네 노래를 크게 불러 줘, '''So that I can hear you''' 내게 닿을 수 있게 말이야 '''Break it down or stare at the imagery''' 깨버리든가 바라보든가 해줘 '''If you're still waiting the rabbit for you''' 아직도 안내자 토끼를 기다린다면 말이야 Her voice tastes like a checkerboard 그 여자애 목소린 체커판 맛이 나 The Humpty wont sing like your storyboard 험프티는 네 콘티대로 노래부르지 않아 A riddle made of a thousand chords 천개의 화음으로 된 수수께끼는 Goes round and round in the hall of mirrors 빙글 빙글 거울의 복도를 맴돌아 My words, just the umbra of your place 나의 말, 네 공간에 짙은 그림자 The castle fallen by their meddle 그 간섭에 무너져 버린 성 A riddle made of a thousand chords 천개의 화음으로 된 수수께끼는 Goes round and round in the hall of mirrors 빙글 빙글 거울의 복도를 맴돌아 Games of gamut, their zen and the art [[색역]]의 게임, 그 [[선종(불교)#s-3|선종]]과 예술 The rain stings just like a dart 다트처럼 찌르는 빗방울 Wanted was I just to fix your heart 단지 난 고쳐주고 싶었어, 네 마음을 I say bigger, you'll become bigger 내가 커지라고 하면 넌 커지겠지 I say smaller, you'll get smaller 내가 작아지라고 하면 넌 작아지겠지 Yet sick broken pianos go play around 그런데도 망가진 피아노는 돌아다니며 연주해 I got stuck in a dream like clouds 나는 구름같은 꿈 속에 갇혀버렸어 (Fear won't guide us) (두려움은 우릴 이끌지 못해) (Fear won't guide us) (두려움은 우릴 이끌지 못해) Fear wont guide us 두려움은 우릴 이끌지 못해 In the hall of mirrors 거울의 복도에서 Fear wont guide us 두려움은 우릴 이끌지 못해 In the hall of mirrors 거울의 복도에서 Fear wont guide us 두려움은 우릴 이끌지 못해 In the hall of mirrors 거울의 복도에서 Fear wont guide us 두려움은 우릴 이끌지 못해 In the hall of mirrors 거울의 복도에서 '''Her voice tastes like a checkerboard''' 그 여자애 목소린 체커판 맛이 나 '''The Humpty won't sing like your storyboard''' 험프티는 네 콘티대로 노래부르지 않아 '''A riddle made of a thousand chords''' 천개의 화음으로 된 수수께끼는 '''Goes round and round in the hall of mirrors''' 빙글 빙글 거울의 복도를 맴돌아 '''My words, just the umbra of your place''' 나의 말, 네 공간에 짙은 그림자 '''The castle fallen by their meddle''' 그 간섭에 무너져 버린 성 '''A riddle made of a thousand chords''' 천개의 화음으로 된 수수께끼는 '''Goes round and round in the hall of mirrors''' 빙글 빙글 거울의 복도를 맴돌아 '''Fear won't guide us...''' 두려움은 우릴 이끌지 못해... || == [[Tone Sphere]] == ||||||||||||
<:> '''Hall of Mirrors''' || ||||||||||||<:>앨범아트 사진|| ||<:>작곡||||||||||||<:>[[Sta]]|| ||<:>앨범아트||||||||||<:>[[Sta]]|| || ||<:>'''{{{#23D6A6 Easy}}}'''||<:>'''{{{#1DACD6 Normal}}}'''||<:>'''{{{#F400A1 Hard}}}'''||<:>'''{{{#AA55FF Expert}}}'''|| ||<:>레벨||<:>2 ||<:>5 ||<:>8 ||<:>11 || ||<:>노트 수||<:>- ||<:>- ||<:>- ||<:>- || ||<:>최대 콤보||<:>- ||<:>- ||<:>- ||<:>- || ||'''특이사항'''||||||||<:>Easy와 Expert의 표기 난이도 차가 가장 큰 곡|| [[Tone Sphere]]의 세번째, 네번째 챕터인 '''Darksphere'''에 [[Tiferet]]과 함께 수록되었다. 1.3 업데이트와 함께 Darksphere의 스타트를 끊는 2레벨짜리 이지 채보와 11이라는 높은 난이도의 익스퍼트라는, 곡 내 최저-최고 난이도 차가 가장 높은 곡이 되기도 했다. 특히 익스퍼트의 경우 아예 [[Souten]] 강화판이라 해도 좋을 정도의 '''--7연속--[* 후반부 채보를 잘 보면 12연속으로 V자를 그려준 뒤 반시계방향 사각형 슬라이드가 나온다. EXPERT 난이도 기준.] 13연속 24비트 슬라이드 작렬'''이라는 엄청난 후살 채보로 무장하고 있다. === Expert === [youtube(PWKFrnb4wrA)] Expert 난이도 올클리어 영상 EXPERT 난이도 기준으로 후반부 1면은 S자 커브 이후 정박자 노트를 시작으로 '(', ')' 모양의 슬라이드 노트가 나온다. S자를 해결한 뒤 밑에서 찍고 올라가는 느낌으로 번갈아 '(', ')' 모양을 그려주면 된다. 이후 다시 한 번 S자가 나오고, 계속 박자에 맞춰 나머지 노트를 처리하면 끝. 후반부 2면이 상술한 '''13연속 24비트 슬라이드'''인데, 시작점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 >, A자, V자 모양을 계속 그려줘야 한다. 순서는 우측하단 <, 좌측하단 >, 우측하단 A, 우측상단 V 콤보를 세 번 반복한 후 반시계방향 사각형 1회전+상단 슬라이드이다. 이후에도 16비트 박자와 안으로 수렴하는 반시계회전이 나오므로 방심은 금물. 참고로 앞서 서술한 슬라이드 발광부터 노트 출현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알맞는 노트속도로 조절하지 못한다면 11레벨 상위권 이상으로 체감난이도가 올라갈 수 있다. [[분류:Tone Sphere의 수록곡]] == [[Lanota]] == [include(틀:Lanota/Chapter A)] === 채보 === ||<-9><:>'''{{{#fff Hall of Mirrors}}}'''|| ||||||||||||||||<:>{{{클리어_이후(직후)_일러스트}}}?width=330[br][*세피아톤 [br] {{{해금직후_일러스트}}}?width=330] [*챌린지 챌린지 완료 후 다음 이미지가 곡 선택창에서 출력된다. [br] {{{챌린지_이후_일러스트}}}?width=330] || ||<:> 작곡/보컬||<-8><:> [[Sta]][* 보컬은 본인이 직접 녹음하여, 이펙터를 먹여 사용했다. Sta의 곡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목소리다.] || ||<:> BPM||<-8><:> 147 || ||<:> 연주 시간||<-8><:> 2:24 || ||<:> ||<:>{{{#fff Whisper}}}||<:>{{{#fff Acoustic}}}||<:>{{{#fff Ultra}}}||<:>{{{#fff Master}}}|| ||<:> 레벨||<:>5||<:>9||<:>12||<:>14|| ||<:> 노트 수||<:>387||<:>525||<:>696||<:>881|| ||<-3><:>'''{{{#fff 챌린지}}}'''|| ||<:>1||<:> Whisper: Purified 이상 클리어 ||<:> Acoustic: Max Combo 30% 이상 || ||<:>2||<:> Acoustic: 800000점 이상 ||<:> Ultra: Harmony 판정 30% 이상 || ||<:>3||<:> Ultra: Flick 노트 전부 처리 ||<:> Master: Rail 노트 전부 처리/Max Combo 75% 이상 || 2017년 3월 23일자로 [[Lanota]]에도 수록되었다! [[Tone Sphere]]와의 콜라보로 이식되어 일러스트에 톤스피어의 Weirs와 Trin이 그려져 있다. 트린이 짚은 액자에 저작권 표시로 [[Sta|ⓒ Sta / Bit192 Labs]]라고 적혀있다. Sta의 트윗에 따르면 원래 Lanota의 사운드 디렉터 히데 씨와 7~8 년 전부터 알고 지내던 사이라고, 덕분에 콜라보가 가능했다고 한다.[[https://twitter.com/naclbbr/status/844552845588246528|#]] 이후에 Sta의 신곡, 이식곡을 기대해봐도 좋을 듯. ==== Whisper ==== [youtube(EuIDiGsngm0)] PP 영상. 플레이어는 Quree. ==== Acoustic ==== [youtube(lvzjWn6Pogo)] PP 영상. 플레이어는 Quree. ==== Ultra ==== [youtube(ZYv9HjebMlE)] PP 영상. 플레이어는 Quree. ==== Master ==== [youtube(xUVbfQjqLYA)] All Combo 캡쳐 영상. 플레이어는 Quree. Master 패턴 자체는 평이하나 일부 구간에 풀콤 방지 구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AC, PP가 채보에 비해 어려운 편. 1.3 업데이트로 추가된 곡선 레일노트가 자주 등장하니 주의가 필요하다. 인상적인 부분은 본가인 [[Tone Sphere]]의 Expert 패턴을 크게 의식한 것으로 보이는데 패턴이 후살성이 있다는 점이다. 특히, Tone Sphere의 24비트 슬라이드 구간과 대회전 구간을 '''캐치 노트로 그대로 구현했다'''. 슬라이드 구간은 회전하는 캐치 노트로, 대회전은 아예 시계 방향으로 바뀐거 빼고는 그대로 이식되었다. 공략 시에는 풀콤 방지 구간인 AC와 PP의 가장 큰 걸림돌이 되는 Click+Flick 동치들과 후반의 Catch 대회전, 그 뒤에 바로 이어지는 쌍대회전를 주의하자. S(95만점)까지는 패턴 자체가 평이해 콤보 점수를 얻기 매우 무난하기 때문에 14레벨 중 최하위도 될 수 있으나, AC와 PP가 되면 상당히 까다로워진다. 동 챕터의 [[3rd Avenue]]하고는 약간 개인차가 갈리는데 PP 난이도는 Hall of Mirrors가 확실히 더 어려우나, S정도라면 3rd Avenue가 더 어려워진다. AC 난이도는 3rd Avenue의 채보 장난을 얼마나 잘 하냐에 따라 서로 차이가 난다. === 기타 === 업데이트 2시간 만에 PP 달성 트윗이 올라왔다. 최초 PP 달성자는 Quree. == [[Arcaea]] == [include(틀:Arcaea/채보/대립, 곡명=Hall of Mirrors, 작곡링크=Sta, 작곡표기=Sta, BPM=147, 단독제작=Toaster, PST레벨=3, PRS레벨=5, FTR레벨=8, PST세부레벨=3.0, PRS세부레벨=5.5, FTR세부레벨=8.2, PST노트=535, PRS노트=553, FTR노트=898, 배경=Tone Sphere, 특이사항=,)] [include(틀:Arcaea/Tone Sphere)] === 채보 === ==== Past ==== ==== Present ==== ==== Future ==== [youtube(LENMm3l_lds)] '''Pure Memory (MAX -4)''' 영상. 플레이어는 Stalight. [[분류:Arcaea의 수록곡]] [[분류:Lanota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