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G]] 《[[매직 더 개더링]]》에 나오는 카드. [목차] == Hallowed Burial == || '''영어판 명칭''' || '''Hallowed Burial''' ||<|5>[[파일:external/www.cardkingdom.com/125172_1.jpg|width=230px]]|| || '''한글판 명칭''' || '''신성한 매장'''[* [[DotP 2014]] 번역.] || || '''마나비용''' || {3}{W}{W} ||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집중마법 || ||||모든 생물을 소유자의 서고 맨 밑에 놓는다.[br][br]''"전투 후의 고요함보다는 전투의 비명을 듣겠어."[br]-엘프 안전장인 탈라라''|| ||||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 || '''희귀도''' || |||| Eventide || 레어 || |||| Conspiracy - Take the Crown || 레어 || [[심판의 날]]과 비슷한 매스 디나이얼인데, 특이하게도 파괴하는 게 아니라 전부 서고 맨 밑에 놓는다. 이 때문인지 일반적인 매스 디나이얼보다 비용이 {1} 더 많지만, 상대는 무덤을 활용할 수도 없고 무적도 재생도 씹는다. 다만 [[Green Sun's Zenith]]같은 [[Tutor]]류 주문에는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과거 EDH에서 커맨더는 무덤에 가거나, 심지어 추방되려고 해도 조종자는 커맨더 존으로 돌려놓을 수 있지만 서고로 들어가는 경우는 돌릴 수 없었기 때문에, 이 카드도 커맨더 저격용으로는 그야말로 제격이었다. 그러나 2015년 3월 룰 개정으로 "손으로 돌아가려고 하거나 서고로 가려고 하는 상황에도 조종자가 커맨더 존으로 돌려놓을 수 있다"는 룰이 추가되어, 그런 용도로는 쓰기 힘들어진 것이 큰 단점. == 존재의 종점 == || '''영어판 명칭''' || '''Terminus''' ||<|5>[[파일:external/www.cardkingdom.com/186813_1.jpg|width=230px]]|| || '''한글판 명칭''' || '''존재의 종점''' || || '''마나비용''' || {4}{W}{W} ||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집중마법 || ||||모든 생물을 소유자의 서고 맨 밑에 놓는다.[br][br]기적 {W}''(당신이 이 카드를 뽑을 때, 이 카드가 이번 턴에 당신이 뽑은 첫 번째 카드라면 당신은 기적 비용을 지불하고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 || '''희귀도''' || |||| [[아바신의 귀환]] || 레어 || |||| From the Vault: Annihilation || 미식레어 || |||| Modern Masters 2017 || 레어 || 시간이 지난 뒤에 등장한 변형. 비용이 또다시 {1} 더 늘어난 대신, 기적 능력이 붙었다. 물론 그냥 그대로 쓰기에는 토쏠리는 비용이지만 기적으로 쓰면 '''겨우 {W}에 쓸 수 있다!''' 게다가 이니스트라드 블록에는 무덤을 활용하는 카드가 많기 때문에 역으로 이 카드의 메타 능력도 커졌다. 조건만 만족하면 매스디나이얼을 W로 쓸 수 있다는 것. [[EDH]]에서는 기본적으로 신성한 매장과 동일. 하지만 그래도 기적 특성상 [[Tutor|Mystical Tutor]], [[Tutor|Vampiric Tutor]] 등으로 쉽게 찾아 서고 위로 올려놓을 수 있고, 만약 손에 있다고 해도 [[Jace, the Mind Sculptor]]나 [[브레인 스톰]]으로 다시 서고 위에 올려놓을 수 있어서 실질적 발비는 {W}라고 해도 될 정도다. 서고조작 + 기적이라는 조합이 빛을 본 사례. 물론 서고조작이 용이한 레가시 등의 하위타입에서도 쓰이고 있어서, 통칭 '''기적 컨트롤'''이란 아키타입을 형성하는 데에 나름 핵심이 되어왔다. [각주] [[분류:포크 누락 해결]] [[분류:매직 더 개더링/카드/이니스트라드]] [[분류:매직 더 개더링/카드/Lorwyn-Shadowmo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