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HeaveNsRain_고화질.png|width=500]] [목차] == 개요 == ||{{{#87cefa '''「今度は、奈奈が···みんなの力になるの。」[BR]"少女の願いが、世界を救う一"[BR]強くなる、そう決めたから。'''[BR]「이번에는, 나나가... 모두의 힘이 되어주는 거야.」[BR]"소녀의 소원이, 세상을 구한다"[BR]강해진다, 그렇게 정했으니까. }}} ㅡ 업데이트 예고 영상 및 자켓의 문구|| [[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의 수록곡. 작곡가는 [[モリモリあつし]] == [[사운드 볼텍스]] == [include(틀:HEXA DIVER/채홍의 은막편)] [include(틀:사운드 볼텍스/20레벨)]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5>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난이도 || NOVICE || ADVANCED || EXHAUST || MAXIMUM || || 자켓 || [[파일:HeaveNsRain_NOV.jpg|width=150]] || [[파일:HeaveNsRain_ADV.jpg|width=150]] || [[파일:HeaveNsRain_EXH.jpg|width=150]] || [[파일:HeaveNsRain_MXM.jpg|width=150]] || || 레벨 || 08 || 15 || 18 || '''20''' || || 체인 수 || ? || ? || 2003 || 2489 || || 일러스트 담당 ||<-4> ミノル ||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4> 浮 谷[* '''浮'''世マシーン과 [[月刊ミズタニ|月刊ミズ'''タニ''']]의 합작으로 추정된다. (谷자는 일본어로 타니라고 읽는다.) 맞다면 둘 모두 20레벨 이펙터 명단에 오르게 된다.] || || 수록 시기 ||<-4> VI 77(2023.09.15) || || [[BPM]] ||<-4> 285 || * [[스킬 애널라이저]] 수록 * MAXIMUM : Skill level ∞ (2023.09.15 ~ ) 자켓의 캐릭터는 [[사운드 볼텍스/캐릭터#s-2.8|코우게-시엘 나나]]. 애묘 '미카엘'도 곡 최후반부에 깨알같이 등장한다. === 채보 상세 === [youtube(FDPBGRvBGik)] MXM 채보 '''PUC'''[* MAX -25] 영상 비슷한 BPM을 가진 [[iLLness LiLin]]과 비슷하게, 교차를 이용한 손꼬기와 긴 16비트 트릴이 특징적인 패턴으로 등장했다. 리린과 크게 다른 점이라면 이쪽은 체력을 잡아먹는 동시치기 세례 대신 후술할 노브발광이 있다는 것. 트릴 경향성도 리린처럼 우직한 깡트릴이 수시로 등장하기 보단 트릴이 등장하는 레인이 변해 니어를 유발하는 구조라든가 트릴 직후에 겹계단을 끼워넣다든가 하는 식으로 차별화를 뒀다. [[Endless GRAVITY]]나 [[飄える翼追い掛けて]]에서 등장하는 쌍에펙+BT 혼합계단이 원본보다 훨씬 높은 BPM에서 등장하는 것도 특기할만한 점. 초반에 등장하는 8비트 원핸드는 노브가 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수시로 방향을 바꾸기 때문에 원핸드에 집중하면 노브가 나가고, 노브에 집중하면 원핸드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구조이다. 하드클이나 스코어링을 노린다면, 원핸드는 노트 5개씩으로 이루어져 있고, 원핸드를 치는 동안엔 노브의 진행방향이 일정하다는 것과 원핸드의 각 단위에서 5번째 노트를 치는 순간 노브가 <나 >모양으로 꺾인다는 것을 숙지하도록 하자. 중반으로 진입하면서 3/4박자 기준 8마디 동안 노브발광이 등장한다. 형태 자체는 크게 꼬인 곳도 없고, 소위 역노브라고 하는 노브가 서로 반대방향에 있는 형태도 아니며, 노브끼리 교차하는 지점도 없기 때문에 20레벨 패턴 치고는 직관적인 노브발광이다.[* [[https://namu.wiki/w/%ED%8C%8C%EC%9D%BC:heavensrain.png|노브를 서로 겹쳐 간격과 폭을 적당히 조절하면 이런 모양이 된다.]] 따라서 인게임에서 나오는 패턴은 삼각형과 평행사변형이 섞여 나오는 구조를 풀어놓은 것이다.] 하지만 워낙 빠른 BPM덕에 노브 움직임도 빠른 편인데다가 노브가 퍼져있어서 한 눈에 읽기 힘든 형태이기 때문에 전부 맞추는 것은 의외로 어렵다. 그나마 높은 BPM으로 인한 틱보정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잠깐 탈선이 일어나도 큰 손실이 없다는 것이 위안. 후살로 등장하는 직각노브 + 16비트 간격의 3버튼 원핸드는 BPM이 BPM이라 제대로 처리하기 힘들다. 해금이나 클리어를 노린다면 그냥 동시치기로 뭉개는 것이 추천된다. 최초 PUC는 업데이트 당일 [[Jakads]]가 달성했다. [[https://twitter.com/Jakads/status/1702149601661509799|#]] 곡이 업데이트된 지 1시간 37분만의 일로, 종전 MINI의 [[Bl∞min']] PUC와 공동 최단 기록이다. 업데이트 당일 PUC 기록자는 총 4명. [* 순서대로 [[Jakads]], [[MINI]], LILY*, leviern.] 또한 [[MINI(리듬게이머)|MINI]]가 [[https://twitter.com/sdmseven/status/1702699825744203835|'''MAX - 11''' PUC를 달성했다.]] == 기타 == 사운드 볼텍스 시리즈 최초의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플로어]] 최우수 당선곡의 2번째 후속곡이다.[* [[SuddeИDeath]] > [[APØCALYPSE RAY]], '''HeaveИ's Rain'''] [[APØCALYPSE RAY]]가 기존의 작곡가 곡이었던 [[Quietus Ray]]를 계승하는 악곡이었음을 의식했는지, 이쪽은 곡 제목에 И이 들어가있는 것도 그렇고 곡 분위기 상으로도 그렇고 [[SuddeИDeath]]를 계승하는 느낌이 강하다. [[SuddeИDeath]] 이후로 절제하는 분위기 속에서 업데이트 된 곡이라서인지 고BPM의 악곡에 피지컬 위주의 패턴으로 나온 것에 거부감을 느끼는 여론도 존재하지만, 대체로 '그래도 [[SuddeИDeath]]보다는 낫다'라는 반응인 편.[* 그에 대한 방증인지 [[SuddeИDeath]]가 첫 PUC가 나오기까지 1달이 넘게 걸린 데 비해 이 곡은 하루만에 4명이나 PUC 달성자가 나왔다.] [[APØCALYPSE RAY]]와 비슷하게 전용 배경 연출이 화려하다. 특히 번개가 치며 비가 내릴 때 물방울이 맺히는 부분은 시스템 UI 레이어 위에 놓여 있어 UI 위로 물방울이 흐르는 것처럼 보이게 했다.[* 이 물방울은 곡 로딩 화면과 매칭 화면에도 나온다.] 나나의 캐릭터 설명 중 '비가 갠 뒤의 무지개를 함께 봐 줄 친구를 찾고 있다.'는 말처럼, 곡이 진행되며 비가 내리다가 후반부에 맑게 개며 무지개가 비치는 연출이 등장한다. 최후반 폭타 직전에 나나의 애묘, 미카엘이 오른쪽 구름 사이로 쏙 튀어나오는것도 포인트. BPM이 극단적으로 높은 [[666(BEMANI 시리즈)|666]]과 [[MAYHEM(BEMANI 시리즈)|MAYHEM]]을 제외하면 기존에 [[iLLness LiLin]]이 가지고 있던 사운드 볼텍스 시리즈의 20레벨 악곡 최고 BPM 타이틀을 가져왔다.[* [[* Erm, could it be a Spatiotemporal ShockWAVE Syndrome...?]]은 메인 BPM이 242이기 때문에 제외.] [[분류: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