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더 스미스 노래]][[분류:1984년 싱글]][[분류:1984년 노래]][[분류:쟁글 팝]][[분류:인디 팝]] ||<#fff><-5> '''[[파일:The_Smiths_(Logo).png|height=25]][br][[더 스미스]]의 역대 싱글''' || ||<#fff> [[What Difference Does It Make?|{{{#000 What Difference Does It Make?}}}]][br]{{{-2 1984}}} || → ||<#837E7C> [[Heaven Knows I'm Miserable Now|{{{#F88017 Heaven Knows I'm Miserable Now}}}]][br]{{{-2 {{{#f88017 1984}}}}}} || → ||<#fff> [[William, It Was Really Nothing|{{{#000 William, It Was Really Nothing}}}]][br]{{{-2 1984}}} || [include(틀: 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록을 형성한 500곡)] ||<-2><#837E7C> '''{{{+1 {{{#F88017 Heaven Knows I'm Miserable Now}}}}}}'''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heavenknowsim.jpg|width=100%]]}}} || || '''싱글 발매일''' ||[[1984년]] [[5월 21일]] || || '''녹음 기간''' ||[[1984년]] [[3월]]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997d2; font-size: .9em" [[Hatful of Hollow|{{{#fff '''Hatful of Hollow'''}}}]]}}} || || '''싱글 B면''' ||Suffer Little Children, Girl Afraid || || '''장르''' ||[[쟁글 팝]], [[인디 팝]] || || '''러닝 타임''' ||3:35 || || '''작사 / 작곡''' ||[[모리세이]], [[조니 마]] || || '''프로듀서''' ||존 포터 || || '''레이블''' ||러프 트레이드 레코드 || [목차][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10z6-vQm23w,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TjPhzgxe3L0,height=200)]}}} || || '''음원''' || '''공식 뮤직 비디오''' ||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pfiH1HmWcm4, height=200)]}}} ||<#000>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_QOWIJWDaI, height=200)]}}} || || '''1984년 TOTP 라이브''' || '''1984년 함부르크 라이브''' || [[더 스미스]]의 4번째 싱글. UK 싱글 차트 10위에 올랐으며 후에 컴필레이션 앨범인 [[Hatful of Hollow]]에 수록된다. 후렴부 가사가 유명하다. [[모리세이]]의 --평생 우려먹는-- 예술적 원천인 비참함(Miserablism)을 나타내는 대표격인 곡.[* 참고로 저 가사 속 화자는 [[히키코모리|집안에 틀어박혀 행복에 취하는 꼴]]을 보다 못한 '그녀'(아마 엄마로 추정)가 "너 집에 너무 오래 있는 거 아니니?" 한마디를 하자 일자리를 구하고 나서 저런 말을 뱉는 것이다.(...)] [[1984년]] [[1월]] [[조니 마]]가 [[뉴욕]] 호텔 방에서 묵었을 당시 한 시간만에 작곡한 곡으로 작곡을 끝마친 다음 이어서 같은 날 저녁 이 싱글의 B면인 "Girl Afraid"를 작곡했다. 이때 시모어 스테인에게 주려고 산 기타인 Red Gibson ES-355d을 사용해서 작곡했다고 한다. 조니 마는 "Heaven Knows I'm Miserable Now과 "Girl Afraid"를 한 쌍으로 여긴다고 한다. 제목은 샌디 쇼의 [[1969년]] 싱글의 제목인 "Heaven Knows I'm Missing Him Now"에서 영감을 받아 지은 것이다. 비사이드인 "Girl Afraid"의 제목은 [[1943년]] 영화 "Old Acquaintance"에서 주인공인 밀드레드 왓슨 드레이크가 쓰는 소설의 제목인 "Girl Afraid"에서 따왔다. 커버의 주인공은 스포츠 베팅으로 큰 돈을 벌고 빠르게 파산하게 된 것으로 유명한 비브 니콜슨으로 모리세이가 좋아하는 인물 중 하나다. == 트랙 리스트 == * 7인치 바이닐 * 1. Heaven Knows I'm Miserable Now * 2. Suffer Little Children * 12인치 바이닐 * 1. Heaven Knows I'm Miserable Now * 2. Girl Afraid * 3. Suffer Little Children == 가사 == || ---- {{{+2 '''Heaven Knows I'm Miserable Now'''}}} ---- I was happy in the haze of a drunken hour 술기운이 돌던 시간의 몽롱함은 행복했지만 But heaven knows I'm miserable now 하늘은 내가 비참한 걸 알아 I was looking for a job and then I found a job 나는 일자리를 구하고 있었고 일자리를 구했어 And heaven knows I'm miserable now 그리고 하늘은 내가 비참하다는 걸 알아 In my life, why do I give valuable time 내 인생에서, 왜 나는 귀중한 시간을 To people who don't care if I live or die? 내가 살든지 죽든지 신경 쓰지 않는 사람들에게 주어야 할까? Two lovers entwined pass me by 꼭 붙은 두 명의 연인이 나를 지나가고 And heaven knows I'm miserable now 하늘은 내가 비참하다는 걸 알아 I was looking for a job and then I found a job 나는 일자리를 구하고 있었고 일자리를 구했어 And heaven knows I'm miserable now 그리고 하늘은 내가 비참하다는 걸 알지 In my life, oh, why do I give valuable time 내 인생에서, 왜 나는 귀중한 시간을 To people who don't care if I live or die? 내가 살든지 죽든지 신경 쓰지 않는 사람들에게 주어야 할까? What she asked of me at the end of the day 하루 끝 그녀가 내게 물었던 말은 Caligula would have blushed [[칼리굴라]]라도 얼굴이 붉혔을 거야 "Oh, you've been in the house too long", she said "오, 너는 집에 너무 오래 틀어박혀 있었어" 라고 그녀는 말했고 And I naturally fled 난 자연스럽게 달아났어 In my life, why do I smile 내 인생에서, 왜 나는 미소를 At people who I'd much rather kick in the eye? 눈을 차버리는게 더 나은 사람들에게 지어야 할까? I was happy in the haze of a drunken hour 술기운이 돌던 시간의 몽롱함은 행복했지만 But heaven knows I'm miserable now 하늘은 내가 비참하다는 걸 알아 "Oh, you've been in the house too long", she said "오, 너는 집에 너무 오래 틀어박혀 있었어" 라고 그녀는 말했고 And I naturally fled 난 자연스럽게 달아났어 In my life, oh, why do I give valuable time 내 인생에서, 왜 나는 귀중한 시간을 To people who don't care if I live or die? 내가 살든지 죽든지 신경 쓰지 않는 사람들에게 주어야 할까? ---- [[파일:The_Smiths_(Logo).png|width=20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