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발라드]][[분류:2002년 노래]] [목차] == 개요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현성 4집.jpg|width=100%&align=center]]}}} || ||<-5> '''{{{#2859C1 Soulmate}}}''' || || '''{{{#000,#e5e5e5 트랙}}}''' || '''{{{#000,#e5e5e5 곡명}}}''' || '''{{{#000,#e5e5e5 작사}}}''' || '''{{{#000,#e5e5e5 작곡}}}''' || '''{{{#000,#e5e5e5 편곡}}}''' || || '''1''' || '''Heaven'''^^{{{#red TITLE}}}^^ || 강은경 || 원상우 || 원상우 || [[2002년]] [[1월 21일]] 발매된 [[김현성(가수)|김현성]]의 4집 앨범 타이틀 곡, 명실상부 김현성의 최고 히트곡이다. == 음원, 뮤직비디오, 라이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Lo_D16hnUU,width=100%,align=cent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y6holLGqT4,width=100%,align=center)]}}} || [youtube(EAZZ5mKlNN4)] == 가사 == ||
{{{#2859C1 '''{{{+4 Heaven}}}'''}}} || ||<:> 왜 이제 왔나요 더 야윈 그대 나만큼 힘들었나요 두 번 살'''{{{#dodgerblue ㅡ}}}{{{#limegreen 게 하}}}'''네요 그댄 내 삶을 난 모든 걸 버리려 했죠 왜 나를 떠나요 아플 거면서 사랑이 여기에 있는데 다신 그'''{{{#dodgerblue ㅡ}}}{{{#limegreen 러지}}}''' 마요 내가 죽어요 그댄 나의 숨이니까요 '''{{{#dodgerblue 나}}} {{{#limegreen 그}}}{{{#dodgerblue 댈}}}''' 잃는다'''{{{#dodgerblue 는}}}''' 건 내 삶이 다한 건 살아도 지옥인 '''{{{#dodgerblue 거}}}'''죠 '''{{{#limegreen 그댄 나의 전}}}'''부 '''{{{#gold 그댄 나의 운}}}{{{#darkorange 명}}} {{{#gold 헤}}}{{{#limegreen 어질 수 없}}}{{{#dodgerblue 어}}}{{{#limegreen 요}}}''' '''{{{#limegreen 영원보}}}'''다 먼 '''{{{#gold 곳}}}{{{#limegreen 에}}} {{{#darkorange 우리 사랑 가}}}{{{#gold 져}}}{{{#limegreen 가요}}}{{{#gold ㅡ}}}''' '''{{{#limegreen 눈물 없는 세}}}'''상 '''{{{#gold 나의 사랑 하나}}}{{{#darkorange 로}}}{{{#gold 만}}} {{{#gold 그}}}{{{#limegreen 댈 살게 할}}}{{{#dodgerblue 게}}}{{{#limegreen 요}}}{{{#gold ㅡ}}}{{{#limegreen ㅡ}}}''' '''{{{#limegreen 그대와}}}''' 나 영'''{{{#gold 원}}}{{{#limegreen 히}}} {{{#darkorange 행복할}}} {{{#gold 그곳}}}''' {{{#limegreen Heaven}}} 울어도 되나요 그대 앞에서 고마워 눈물이 나요 기다렸'''{{{#dodgerblue ㅡ}}}{{{#limegreen 던 날}}}'''들이 너무 아파서 그대 다시 미워지네요 '''{{{#dodgerblue 사}}}'''랑을 버린다'''{{{#dodgerblue 는}}}''' 건 모든 걸 잃는 건 상처만 남기잖'''{{{#dodgerblue 아}}}'''요 '''{{{#limegreen 그댄 나의 전}}}'''부 '''{{{#gold 그댄 나의 운}}}{{{#darkorange 명}}} {{{#gold 헤}}}{{{#limegreen 어질 수 없}}}{{{#dodgerblue 어}}}{{{#limegreen 요}}}''' '''{{{#limegreen 영원보}}}'''다 먼 '''{{{#gold 곳}}}{{{#limegreen 에}}} {{{#darkorange 우리 사랑 가}}}{{{#gold 져}}}{{{#limegreen 가요}}}{{{#gold ㅡ}}}''' '''{{{#limegreen 눈물 없는 세}}}'''상 '''{{{#gold 나의 사랑 하나}}}{{{#darkorange 로}}}{{{#gold 만}}} {{{#gold 그}}}{{{#limegreen 댈 살게 할}}}{{{#dodgerblue 게}}}{{{#limegreen 요}}}{{{#gold ㅡ}}}{{{#limegreen ㅡ}}}''' '''{{{#limegreen 그대와}}}''' 나 영'''{{{#gold 원}}}{{{#limegreen 히}}} {{{#darkorange 행복할}}} {{{#gold 그곳}}} {{{#limegreen Hea}}}{{{#gold ve}}}{{{#limegreen n}}}''' '''{{{#limegreen 그댄 나의 전}}}'''부 '''{{{#gold 그댄 나의 운}}}{{{#darkorange 명}}} {{{#gold 헤}}}{{{#limegreen 어질 수 없}}}{{{#dodgerblue 어}}}{{{#limegreen 요}}}{{{#gold ㅡ}}}{{{#limegreen ㅡ}}}''' '''{{{#limegreen 영원보}}}'''다 먼 '''{{{#gold 곳}}}{{{#limegreen 에}}} {{{#darkorange 우리 사랑 가}}}{{{#red 져}}}{{{#orange 가요}}}{{{#gold ㅡ}}}''' '''{{{#limegreen 눈물 없는 세}}}'''상 '''{{{#gold 나의 사랑 하나}}}{{{#darkorange 로}}}{{{#gold 만}}} {{{#gold 그}}}{{{#limegreen 댈 살게 할}}}{{{#dodgerblue 게}}}{{{#limegreen 요}}}{{{#gold ㅡ}}}{{{#limegreen ㅡ}}}''' '''{{{#limegreen 그대와}}}''' 나 영'''{{{#gold 원}}}{{{#limegreen 히}}} {{{#darkorange 행복할}}} {{{#gold 그곳}}}''' {{{#limegreen Hea}}}{{{#gold ve}}}{{{#limegreen n}}} || || '''{{{#dodgerblue 2옥타브 솔(G4)}}}''' '''{{{#limegreen 2옥타브 솔♯(G♯4)}}}''' '''{{{#gold 2옥타브 라♯(A♯4)}}}''' '''{{{#darkorange 3옥타브 도(C5)}}}''' '''{{{#red 3옥타브 도♯(C♯5)}}}''' 볼드체가 아닌 색깔 텍스트는 가성 파트이다. || == 곡 분석 == * 조성 : 내림 가장조 (A♭) * 최고음 : '''3옥타브 도#(C#5)''' '''국내 3옥타브 도#(C#5) 모든 곡들 중 가장 어려운 노래 중 하나.''' [[M.C The Max]]나 [[김경호]] 등 발라드의 끝판왕계 가수들 처럼 [[김현성]] 역시 높고 안 어려운 곡이 없겠지만, 이 곡은 그의 커리어에 있어서 최고 히트곡임과 동시에 '''최악의 헬곡'''이다. 비단 김현성 본인 뿐만이 아니라 [[M.C The Max]] 1티어 곡들, [[김경호]], [[박완규]]의 여타 헬곡 '''이상의 난이도'''를 자랑하고, '''[[대한민국]] 전체''' 일반 발라드를 통틀어도 이 곡만한 정신 나간 난이도를 자랑하는 곡은 손에 꼽을 정도이다. 고음은 고음대로 쏟아지고 호흡은 호흡대로 극한으로 소모를 하는 미친 헬곡. 더욱 놀라운 것은 이런 곡이 락발라드가 아닌 일반 발라드에서 나왔다는 것이다.[* 약간 락발라드스러운 진행이긴 하다.] 김현성 본인에게도 너무 어려워서 원키 라이브는 2번밖에 하지 않았고, 1키 내리고도 버거워했을 정도.[* 1키를 내리더라도 최고음이 '''3옥타브 도(C5)'''이고, 하이라이트마다 '''2옥타브 시(B4)'''가 도배되어 2옥타브 후반 [[파사지오]] 음역대를 '''곡 내내''' 유지해야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남성들은 소화하기가 매우 힘들다.] 그리고 '''이 곡 덕분에 1위 후보도 하는 큰 인기도 가진 명곡이기도 하지만 가수의 성대가 완전히 갈려 고음도 더 이상 내기 힘들 정도로 만들어버린''' 명실상부 '''죽음의 곡'''이다. '''[[어김없이]], [[편지(김종국)|편지]]''', '''Delete(김경호)''' 와 동급의 헬곡이라 볼 수 있다. == 이 곡이 어려운 이유 == 물론 김현성 역시 [[M.C The Max]]나 [[2F]] 등 다른 가수들과 마찬가지로 안 어려운 곡들이 없겠지만, 이 곡이 유별나게 어려운 데에는 다음과 같다. '''1. 쉼 없이 나오는 고음들의 향연.''' 하이라이트도 안 들어갔는데 '''2옥타브 솔(G#4)'''이 나오는 데다 하이라이트 시작부터 '''2옥타브 솔(G#4)~3옥타브 도(C5)'''가 기관총 쏘듯 난사되고, '''3옥타브 도(C5)'''를 5연타, 3연타씩 해야 한다. 가뜩이나 음도 매우 높고 템포도 빠른데 가사도 넣어야 한다. 게다가 그 고음들을 3절이나 해야 하는데 3절에서는 5연타 구간이 '''8연타'''로 바뀌면서 최고음인 '''3옥타브 도#(C#5)'''을 찍기 때문에, 대부분 고음이 되는 사람들도 여기서 지치게 된다. '''고음의 밭'''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결과 1,2절 3옥타브가 10개, 3절은 '''13개'''로 전 소절 3옥타브 횟수가 무려 '''33개'''에 달한다![* 참고로 이 곡의 2옥타브 후반 개수는 '''175개'''다.] '''2. 고음에 어려운 발음들의 포진.''' 3옥타브 도(C5) 연타구간에 하필 '''ㅜ, ㅣ,ㅕ,ㅛ 같은 내기도 힘든 모음'''이 포진되어 있다. 고음 비중이 워낙 높다보니 어쩔 수 없는 헬곡들의 특징이나 마지막 절의 최고음 부분이 하필 '''ㅕ''' 발음이다. 안 그래도 높은 고음에 좁고 어려운 발음까지 가미되었으니 난이도가 배가 되었다. '''3. 관리하기 힘든 호흡 컨트롤.''' '''이 곡이 어려운 가장 큰 이유.'''' 길게 잇는 부분의 음들이 하필 '''2옥타브 솔#~라#(G#4~A#4)'''의 중고음인데다 그 음을 3옥타브 연타를 한 뒤에 해야 하기에 호흡부분이 남아나질 않게 되어 난이도가 심히 괴랄해진다. '''4. 발라드 패시브.''' '''[[눈 떠보니 이별이더라]], [[어김없이]], [[이별하러 가는 길]], [[아름답게 사랑하는 날까지]], [[별을 담은 시]], [[바람기억]] 등 같은 초헬곡'''들의 공통된 스킬인데 발라드다 보니 그 높은 음을 지르듯이 부르지도 못한다. 이 난점들이 합쳐지니 어렵다는 초고음 록들도 제칠 정도의 헬곡이 탄생하였다. '''정말 천상의 노래(Heaven)를 부르려다 골로 간다는(Hellven) 게 맞다고 봐야 한다.''' == 커버 == === [[조권]] === [youtube(VeriRYMaovQ)] [[슈가맨]] 특집으로 나왔다. -3키이고 3절 고음부분은 낮춰 불렀다. === [[정진우(유튜버)|정진우]] === [youtube(TDubhpdkGEc)] [[M TO M]] 출신의 그 분이다. === [[이보람]] === [youtube(ipmP7tnhY-Y)] === [[잠골버스]] === [youtube(fshzPe3qF6k)] 계단식으로 '''3키'''를 올렸다. === [[버블디아]] === [youtube(342_Bt_TKJA)] 무려 '''5키'''를 올렸다. === [[우현식]] === [youtube(xbz3Fw9N3dE)] === [[류민희]] === [youtube(2wfxQDh8df8)] === [[정선아(뮤지컬 배우)|정선아]] === [youtube(mxlgHaN_82c)] === [[임재현(가수)|임재현]] === [youtube(4Zw0OI38Pxs)] [[시작은 첫키스]]의 [[OST]]이다. == 관련 문서 == * [[고음/노래 목록]] *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