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Hello Neighbor 시리즈)] ||<-2>
{{{#ffffff,#ffffff '''{{{+1 헬로 네이버 2}}}'''[br]Hello Neighbor 2}}}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Hello Neighbor 2.jpg|width=100%]]}}} || || '''개발''' ||Eerie Guest Studios / [[Steel Wool Studios]][* 게임 크레딧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유통''' ||tinyBuild || || '''플랫폼''' ||[[Microsoft Windows]] / [[PlayStation 4]] / [[PlayStation 5]] / [[Xbox One]] / [[Xbox Series X\|S]] / [[Nintendo Switch]] || || '''ESD''' ||[[Steam]] / [[에픽게임즈 스토어]] / [[험블 번들]] / [[PlayStation Network]] / [[Microsoft Store]] / [[닌텐도 e숍/Nintendo Switch|닌텐도 e숍]] || || '''장르''' ||[[액션 어드벤처 게임|액션 어드벤처]], [[호러 게임|잠입 호러]] || || '''출시''' ||[[2022년]] [[12월 6일]] || || '''엔진''' ||[[언리얼 엔진 4]] || ||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 || '''심의 등급''' ||[[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전체이용가.svg|width=16]] '''{{{#000000,#dddddd 전체 이용가}}}''']][* Xbox 기준 출시 플랫폼들 중 유일하게 전체 이용가의 공포가 붙었다. [[https://www.xbox.com/ko-KR/games/hello-neighbor-2|#]]] || || '''관련 사이트''' ||[[https://www.helloneighbor2.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eighborGamesHQ, 크기=25)] || || '''상점 페이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1321680/Hello_Neighbor_2/|[[파일:스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네덜란드]]의 게임 제작사 Eerie Guest Studios[* 1편을 제작한 Dynamic Pixels에게서 Hello Neighbor 프랜차이즈를 인수하였다.]에서 개발한 1인칭 잠입 [[호러 게임]]. [[Hello Neighbor]]의 후속작이다. == 발매 전 정보 == Hello Neighbor 2의 공식 [[https://youtu.be/V2SzmpVChZs|트레일러]]가 공개되었다. 트레일러를 보면 헬로 게스트에 나왔던 까마귀가 있는데 트레일러 끝부분에는 까마귀 탈을 벗은 아저씨가 나온다. 얼굴에 수염자국과 주름을 보아 시간적 배경은 헬로 네이버의 뒷이야기를 다룬 듯하다. 아직 스토리의 내용은 예측하기 어렵다. 심지어 1인칭 시점의 주인공이 누구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집이 멀쩡한 걸 보면 챕터 2에서 주인공이 탈출한 이후에서 챕터 3 사이의 이야기일지도.] 알파 1이 출시되면서 여러 가지 떡밥이 풀리는 중이다. 주인공은 기자로 추정된다.[* 엔딩을 보면 알 수 있다. CCTV를 이용해서 자신의 모습을 보면 확실히 1편의 주인공은 아니다.] 알파 1의 특징은 전체적으로 버그는 많지만 전작의 구멍 빠진 공포감을 살려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전작보다 그래픽 최적화가 덜 되어서 전작은 내장 그래픽으로 최하 옵션에서 20~40프레임 나오는 반면에 이번작은 정상적인 플레이는 기대하지 않는 게 좋다. 프레임이 엄청 잘 나와야 20프레임이다. 내장 그래픽은 플레이가 힘든 반면, GTX 1660 SUPER 기준 풀옵션에서 60~70프레임을 왔다갔다 한다. [[https://youtu.be/DTDDw5QzduI|간혹 90프레임도 나온다!]] 이후 베타 버전이 출시되었다. 주인공은 아이들의 실종 사건을 조사하고 있는데, 그 중에 전작의 주인공 니키 로스도 있는 것을 보아[* 그러나 정식 출시 버전에서 니키 로스는 삭제되었다.] 2편은 1편의 [[프리퀄]]일 가능성도 있고, 아예 배경이 다른 것을 보면 일종의 [[평행우주]]일 가능성도 있다. 정식 출시는 2021년 예정이었으나 2022년 말로 연기되었다. == 시스템 요구 사항 == ||<-3>
'''{{{#ffffff,#ffffff 시스템 요구 사항}}}''' || || '''구분''' || '''최소 사양''' || '''권장 사양''' || ||<-3> '''{{{#ffffff,#ffffff Windows}}}''' || || '''운영체제''' ||Windows 10/11 x64 ||Windows 10/11 x64 || || '''프로세서''' ||Intel i3 4th gen[br]AMD Athlon X4 880K ||Intel i5-4760[br]AMD FX 9370 || || '''메모리''' ||6 GB RAM ||16 GB RAM || ||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X 750 Ti[br]AMD Radeon HD 7850 ||NVIDIA GeForce GTX 1660 Ti[br]AMD Radeon RX Vega 56 || || '''API''' ||DirectX 버전 12 ||DirectX 버전 12 || || '''저장 공간''' ||20 GB 사용 가능 공간 ||20 GB 사용 가능 공간 || == 등장인물 == [include(틀:스포일러)] === 쿠엔틴(Quentin; 플레이어) === 이번작의 [[주인공]]. 기자로, 전작에서 행방불명된 아론 피터슨, 미아 피터슨 사건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 경찰과 마을 주민들에게는 별로 좋은 시선을 받지 못하고 있다. === 레이븐 브룩스 === 이번작에서는 추적자가 이웃 한 명이 아니며, 각 지역마다 다른 추적자가 주인공을 쫓는다. ==== 피터슨 씨(Mr. Peterson, 이웃) ==== 전작에서도 등장한 이웃. 쿠엔틴에게 자신의 아들, 아론을 집에 끌고 들어가는 모습을 촬영당하자 그를 쫓아서 기절시키고 카메라를 빼앗는다. 이후 버려진 박물관으로 거처를 옮긴다. ==== 키스 닐슨(Keith Nielsen) ==== 레이븐 브룩스의 경찰. 피터슨 씨가 사라진 후 그의 집을 조사한다. ==== 게르다(Gerda) ==== 레이븐 브룩스의 빵집 주인. ==== 오토 씨(Mr. Otto) ==== 레이븐 브룩스 외곽의 강가에 사는 노인. 동물을 사냥해 박제로 만든다. 주인공을 발견하면 총을 쏜다. ==== 시장(The Mayor) ==== 레이븐 브룩스의 시장. 스키퍼(Skipper)라는 개를 키우고 있다. == 맵 구조 == 전작에서는 주인공의 집과 이웃의 집만 돌아다닐 수 있었지만 이번작에서는 레이븐 브룩스(Raven Brooks)라는 마을 전체가 배경이 된다. == 평가 ==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플랫폼''' || '''메타스코어''' ||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333; font-size: 0.75em" [[PC|{{{#ffffff PC}}}]]}}}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hello-neighbor-2, code=critic-reviews/?platform=pc, y=, score=59)]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hello-neighbor-2, code=user-reviews/?platform=pc, r=, score=4.4)]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07c11; font-size: 0.75em" [[Xbox One|{{{#ffffff XBO}}}]]}}}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hello-neighbor-2, code=critic-reviews/?platform=xbox-one, score=리뷰 부족)]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hello-neighbor-2, code=user-reviews/?platform=xbox-one, r=, score=2.5)]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07c11; font-size: 0.75em" [[Xbox Series X|{{{#ffffff XSX}}}]]}}}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hello-neighbor-2, code=critic-reviews/?platform=xbox-series-x, y=, score=56)]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hello-neighbor-2, code=user-reviews/?platform=xbox-series-x, r=, score=4.0)]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791; font-size: 0.75em" [[PlayStation 4|{{{#ffffff PS4}}}]]}}}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hello-neighbor-2, code=critic-reviews/?platform=playstation-4, score=리뷰 부족)]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hello-neighbor-2, code=user-reviews/?platform=playstation-4, r=, score=4.3)]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791; font-size: 0.75em" [[PlayStation 5|{{{#ffffff PS5}}}]]}}}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hello-neighbor-2, code=critic-reviews/?platform=playstation-5, score=리뷰 부족)]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hello-neighbor-2, code=user-reviews/?platform=playstation-5, r=, score=3.1)]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60012; font-size: 0.75em" [[Nintendo Switch|{{{#ffffff Switch}}}]]}}}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hello-neighbor-2, code=critic-reviews/?platform=nintendo-switch, score=리뷰 부족)]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hello-neighbor-2, code=user-reviews/?platform=nintendo-switch, y=, score=6.3)] || [include(틀:평가/오픈크리틱, code=13351, title=hello-neighbor-2, rating=weak, average=54, recommend=19)] [include(틀:평가/Steam, code=1321680, rating=대체로 긍정적, percent=74, count=1\,499, rating2=대체로 긍정적, percent2=78, count2=42, date=2023-10-05)] 출시 직후 버그가 너무 많아서 평가가 바닥을 기고 있다. 점프하거나 비비기만 해도 맵이 뚫려버리고, 아이템을 얻고 그냥 불러오기만 해도 아이템이 저장되어서 스킵이 가능하다. [[Hello Neighbor|전작]]의 퍼즐이 상당히 복잡했던 것에 비해 이번 작품의 퍼즐은 제법 쉬워진 편인데, 입문자에게는 좋지만 전작을 즐긴 팬들에게는 별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맵이 마을 전체로 넓어졌지만 실제로 각 액트마다 갈 수 있는 곳은 한정되어있고 각 집들은 전작의 액트 3에서 나온 거대한 이웃집에 비하면 너무 작아서 탐험하는 재미도 줄어들었다. 또한 전작에서는 깔끔하게 엔딩을 냈던 것에 비해 이번 작품은 대놓고 [[후속작 떡밥]]을 남기며 찝찝하게 끝나는 것에 대해서도 불만이 나오고 있다. 이것은 '''Hello Neighbor 2가 완성된 상태로 출시되지 않았기 때문.''' 게임을 끝내면 피터슨 씨의 이야기는 끝나지 않았으니 다음 이벤트를 기대해 달라며, 현재 야심 찬 업데이트를 계획 중이며 곧 다시 찾아뵐 수 있기를 바란다는 문구가 나온다. '이벤트', '업데이트'라는 단어를 쓴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원래 이번 작품에 들어가야 하는 이야기가 아직 추가되지 않은 것이다. == 기타 == * 출시 당일 [[Xbox Game Pass]]에 게임이 등록된다. [[Xbox Game Pass/Day 1|발매 첫날부터 콘솔, PC, 클라우드에서 플레이]]가 가능하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Hello Neighbor, version=748, paragraph=14)] [[분류:2022년 게임]][[분류:네덜란드 게임]][[분류:액션 어드벤처 게임]][[분류:호러 게임]][[분류:Windows 게임]][[분류:PlayStation 4 게임]][[분류:PlayStation 5 게임]][[분류:Xbox One 게임]][[분류:Xbox Series X\|S 게임]][[분류:Nintendo Switch 게임]][[분류:Xbox Game Pass]][[분류:DLSS 지원 게임]][[분류:Xbox Game Pass 출시일에 플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