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000000> '''{{{#FFFFFF [[Al Green]]의 싱글}}}''' || || "[[Call Me (Come Back Home)]]"[br](1973) ||<|2> → || '''Here I Am (Come and Take Me)'''[br](1973) ||<|2> → || "[[Livin' for You]]"[br](1973) || ||
<:><-2> '''{{{+1 {{{#ffffff Here I Am (Come and Take Me)}}}}}}''' || ||<-5><:> [[파일:Here_I_Am_(Come_and_Take_Me).jpg|width=340]] || ||<:><#7d7d7c> {{{#ffffff '''수록 음반'''}}} ||<(> [[Call Me(알 그린의 음반)|Call Me]] || ||<:><#7d7d7c> {{{#ffffff '''아티스트'''}}} ||<(> [[Al Green]] || ||<:><#7d7d7c> {{{#ffffff '''B-Side'''}}} ||<(> "I'm Glad You're Mine" || ||<:><#7d7d7c> {{{#ffffff '''발매일'''}}} ||<(> 1973년 6월 || ||<:><#7d7d7c> {{{#ffffff '''녹음 기간'''}}} ||<(> 1972년 || ||<:><#7d7d7c> {{{#ffffff '''스튜디오'''}}} ||<(> 로열 레코딩 스튜디오 ([[테네시 주]] [[멤피스(미국)|멤피스]])[* 녹음][br]마스터크래프트 ([[테네시 주]] [[멤피스(미국)|멤피스]])[* 마스터] || ||<:><#808080> {{{#ffffff '''장르'''}}} ||<(> [[소울 음악|소울]] || ||<:><#808080> {{{#ffffff '''재생 시간'''}}} ||<(> 4:14 || ||<:><#808080> {{{#ffffff '''레이블'''}}} ||<(> Hi || ||<:><#808080> {{{#ffffff '''송라이터'''}}} ||<(> [[Al Green]], Mabon Hodges || ||<:><#808080> {{{#ffffff '''프로듀서'''}}} ||<(> Willie Mitchell, [[Al Green]] || [목차] [clearfix] == 개요 == [[알 그린]]의 싱글이며 그의 6집 앨범 [[Call Me(알 그린의 음반)|Call Me]]의 세번째 싱글로 1973년 6월에 발매되었다. == 오디오 == [youtube(1iJFy0WPVvk)] [youtube(vHAXp39WjZM)] == 가사 == ||[[Verse 1] I can't believe that it's real The way that you make me feel A burning deep down inside A love that I cannot hide [Pre-Chorus] Our love is you and me, baby That make the world go round And if keeping you and loving you means Laying all my troubles down [Chorus] Here I am, baby, come and take me Here I am, baby, won't you come and take me Take me by the hand, yeah Show me Here I am, baby [Verse 2] It always ends up this way Me begging you every day A love that I cannot have You broke my heart into half [Pre-Chorus] Our love is you and me, baby That make the world go 'round Keeping you and loving you means Laying all my troubles down [Chorus] Here I am, baby, come and take me Here I am, baby, won't you come and take me Take me by the hand, yeah Squeeze it Here I am, baby [Bridge] When I'm down I can always call you For a helping hand I know you'll do the best you can But it don't take much for me Before my cup runs over All this love's inside of me I believe there's going to be an explosion, yeah You can talk to me, oh baby I'm in no hurry Tell me all your troubles And you won't ever have to worry, no And one more thing You just can't trust everybody Everybody you see, no no You'll find yourself lost and alone On a darkened street [Chorus] Here I am, baby, come and take me Here I am, baby, would you come and take me Take me by the hand Show me, hey hey Take me, hey hey Show me, won't you? Here I am, baby, hey hey Take me, won't you? Teach me Baby, won't you take me by the hand? Teach me Here I am, baby|| == 차트 성적 == [[빌보드 R&B 차트]]에서 2위, [[빌보드 핫 100]]에서 1973년 9월 둘째 주부터 셋째 주까지 2주 연속 10위를 기록했고 8주 연속 20위권에,[* 1973년 8월 첫째 주부터 1973년 9월 넷째 주까지] 12주 연속 40위권에 머물러 있었다.[* 1973년 7월 셋째 주부터 1973년 10월 첫째 주까지] [[1973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선 63위에 올랐다. == [[UB40]]의 1990년 커버 버전 == ||
<-5><#000000> '''{{{#FFFFFF [[UB40]]의 싱글}}}''' || || "Homely Girl"[br](1989) ||<|2> → || '''Here I Am (Come and Take Me)'''[br](1990) ||<|2> → || "Kingston Town"[br](1990) || ||
<:><-2> '''{{{+1 {{{#ffffff Here I Am (Come and Take Me)}}}}}}''' || ||<-5><:> [[파일:Here_I_Am_(Come_and_Take_Me)_UB40.jpg|width=340]] || ||<:><#7d7d7c> {{{#ffffff '''수록 음반'''}}} ||<(> [[Labour of Love II]] || ||<:><#7d7d7c> {{{#ffffff '''아티스트'''}}} ||<(> [[UB40]] || ||<:><#7d7d7c> {{{#ffffff '''B-Side'''}}} ||<(> "Crisis"[br](7인치 싱글) || ||<:><#7d7d7c> {{{#ffffff '''발매일'''}}} ||<(> 1990년 || ||<:><#7d7d7c> {{{#ffffff '''녹음 기간'''}}} ||<(> 1989년 || ||<:><#808080> {{{#ffffff '''장르'''}}} ||<(> [[:분류:레게 퓨전|레게 퓨전]] || ||<:><#808080> {{{#ffffff '''재생 시간'''}}} ||<(> 4:01 (앨범 버전) || ||<:><#808080> {{{#ffffff '''레이블'''}}} ||<(> Virgin || ||<:><#808080> {{{#ffffff '''송라이터'''}}} ||<(> [[Al Green]], Mabon Hodges || ||<:><#808080> {{{#ffffff '''프로듀서'''}}} ||<(> [[UB40]] || [clearfix] === 개요 === [[UB40]]의 싱글이며 이들의 9집 앨범 [[Labour of Love II]]의 두번째 싱글로 1990년에 발매되었다. === 오디오/뮤직 비디오 === || 오디오 (앨범 버전) || ||[youtube(R_jmwfLiY8o)]|| || 뮤직 비디오 || ||[youtube(-AeRMrZCPGk)]|| === 가사 === ||[Verse 1] I can't believe that it's real The way that you make me feel A burning deep down inside A love that I cannot hide [Pre-Chorus] I know it's you and me babe That makes this world go round Ah keeping you in love with me baby Laying all my troubles down [Chorus] Here I am babe, come and take me Here I am babe, come on and take me Take me by the hand, ooh show me Here I am babe, oooooaaah [Verse 2] It always ends up this way Me begging you every day A love that I cannot have You broke my heart in two halves [Pre-Chorus] Ooh I know it's you and me babe That makes this world go round Ah keeping you in love with me baby Laying all my troubles down [Chorus] Here I am babe, come and take me Here I am babe, won't ya come and take me Take me by the hand, ooh squeeze me Here I am babe, oooooaaah [Instrumental Break] [Chorus] Here I am babe, come and take me Here I am babe, won't ya come and take me Take me by the hand, ooh show me Show me what you can [Outro] Here I am babe, won't you take me? Take me by the hand, take me by the hand Ooohhhhh show me, show me what you can Here I am babe, oh won't you take me? Take me by the hand, take me while ya can Here I am babeeeeee|| === 차트 성적 === [[빌보드 핫 100]]에서 1991년 7월 둘째 주에 7위를 기록했고 3주 연속 10위권에,[* 1991년 7월 첫째 주부터 셋째 주까지] 7주 연속 20위권에,[* 1991년 6월 셋째 주부터 1991년 7월 넷째 주까지] 12주 연속 40위권에 머물러 있었다.[* 1991년 5월 셋째 주부터 1991년 8월 첫째 주까지] [[1991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선 72위에 올랐다. [[분류:알 그린]][[분류:빌보드 핫 100 10위 노래]][[분류:빌보드 R&B 차트 2위 노래]][[분류:1973년 노래]][[분류:1973년 싱글]][[분류:소울 음악]][[분류:윌리 미첼]][[분류:UB40]][[분류:빌보드 핫 100 7위 노래]][[분류:1989년 노래]][[분류:1990년 싱글]][[분류:레게 퓨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