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2 Hohe schule für Cello-Spiels}}} Op. 73 || || [youtube(FAugJF_h04U)] 전체 영상, 마틴 룸멜 연주 || ||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ANLekvcAuSBpMvZOWHDn7d0cE4DnzIlx|플레이리스트]] - 마틴 룸멜 연주 || == 개요 == [[다비드 포퍼]]가 작곡한 40개의 연습곡이다. 장 루이스 뒤포르(1749-1819, 프랑스)의 에튀드를 하는 중간에 시작하는 첼로 초보자부터 고수까지 괴롭히는 관문.--사실 이 연습곡이 괴로운 이유는 사실 [[입시|다른 데 있다]]-- 전체적으로 그닥 쉽지는 않은데, 초반은 쉬운 편이고 중후반(14번을 시작으로 20번대 초중반 등이 가장 어렵다)부터 난이도가 가장 높다. == 곡의 목록 == 이 문서에서는 총 네 페이즈로 연습곡들을 나누어 서술한다. 1번부터 10번까지는 워밍업 페이즈로, 초등학생도 어렵지 않게 연주할 수 있는 정도이나 섬세함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11번부터 20번까지는 난이도가 조금씩 올라간다. 그러나 아주 쉽지는 않다. 14, 18, 19(로엔그린), 20번은 상당히 다루기 어려운 곡들이다. 21번부터 30번까지는 이 연습곡집의 하이라이트이다. 어려운 포지션과 음정들이 요구된다. 특히 21, 29번등이 굉장히 어렵다. 31번부터 40번까지는 다시 난이도가 조금 내려가지만 쉽지 않다. === 1 ~ 10 === ==== 1번 ==== C장조 Allegro molto moderato [[바이올린족 악기들의 연주법#3-4|스타카토]]를 연습하는 곡이다 ==== 2번 ==== G장조 Andante 초반 곡 치고 상당히 어렵다. [[바이올린족 악기들의 연주법#3-3|슬러]]를 연습하는 곡으로 최대 17개의 음표까지 연결되어 있는데, 템포가 느려 운궁을 제대로 연습하지 않으면 연주할 수 없다. 그렇다고 템포를 올리자니 왼손이 난이도가 수직 상승. 시험에는 잘 안 나오는데 그렇다고 건너뛰지는 말자. 실제로 [[예원학교]] 입시 지정곡이었을 때도 있었다. ==== 3번 ==== b♭단조 Andante 2번과 마찬가지로 [[바이올린족 악기들의 연주법#3-3|슬러]]를 연습한다. 2번과 비교하면 운지법은 상대적으로 더 어렵지만 활은 쉽다. ==== 4번 ==== F♯장조 Andante con moto 엄지손가락으로 지판을 누르고 연주해야한다. --조금만 연주해도 매우 아프다-- [[다비드 포퍼|작곡가]]를 혐오하게 만들어주는 곡 중 하나이다. ==== 5번 ==== A장조 Allegro non troppo 가장 쉽다고 생각하기 쉬운 곡이다. 실제로 많이 어렵지는 않다 ==== 6번 ==== F장조 Allegro 개인차가 있는 곡이다. 하지만.. 해보면 알겠지만 생각보다 완주하는게 힘들다. 각각 음표를 살타토하는 게 가장 낫다...만 그것조차 사람에 따라 난이도가 천차만별이다. 바리올라주가 안되는 사람들은 괜히 쉬워보인다고 도전하지 말자. 페르마타 전 7화음도 은근 거슬린다. ==== 7번 ==== A장조 Con moto 개인차가 상당하다. 어렵게 느끼는 사람에게는 작곡가를 욕하게 되는 첫번째 곡이다. 활 운용을 잘 못하는 사람은 앞부분 7박 반짜리 활에서 막힌다. 심지어 중간에는 9박짜리 활도 있으니... 그러나 왼손 운지 난이도는 무난하다.--라고는 하지만 초보자에게는 절망적이다-- ==== 8번 ==== C장조 Andante 12번 미리보기랑 비슷하다. 난이도가 높지는 않지만 Andante라고 해서 진짜로 느리게 하다보면 활이 [[허경영|공중부양하는 기적]]이 일어날 수 있으니 활을 빠르지 않게 쓰는 능력이 요구된다. 하지만 활 길이 관리하는 법은 7번에서 질리게 하고 왔을테니 상대적으로 난이도는 낮다. ==== 9번 ==== E♭장조 Andante sostenuto 가장 쉽다고 여겨진다. 느린 템포와 쉬운 활[* 7, 8번과 비교하면 이 정도는 정말 아기들 장난 수준이다.], 기본기인 3도 음정 등 어디 어려운 데가 없다--하지만 시험 단골이라 어렵게 느꺼진다-- ==== 10번 ==== c단조 Appasionato === 11 ~ 20 === ==== 11번 ==== F장조 Moderato ==== 12번 ==== C장조 Allegro ==== 13번 ==== E♭장조 - E장조 - E♭장조 Allegro molto moderato - Allegro vivo [[바이올린족 악기들의 연주법#22-2|더블 스톱]]이 주된 곡이며 동시에 [[바이올린족 악기들의 연주법#2-3|트릴]]을 해야하는 경우도 나온다. 옥타브 운지가 메인이라서 체감되는 난이도의 개인차가 크다. [[https://youtu.be/9qNSpXjljcw|누군가 락 버전을 만들었다. 들어보면 알겠지만 상당한 실력자이다.]] [[https://youtu.be/kQIrmvkusvo|누군가 6성부(!) 합창 버전을 만들었다.]] ==== 14번 ==== D장조 Moderato [[바이올린족 악기들의 연주법#3-4|스타카토]]를 연습하는 곡이다. 최고난도 에튀드 중 하나로 꼽힌다 ==== 15번 ==== G장조 Allegro / Scherzando - Presto ==== 16번 ==== C장조 Allegro moderato ==== 17번 ==== c단조 - C장조 - c단조 con brio - Andante quasi Adagio - con brio 곡 전체에 [[바이올린족 악기들의 연주법#2-2|더블 스톱]]이 나온다. ==== 18번 ==== D장조 Allegro molto moderato ==== 19번 Lohengrin ==== E♭장조 Allegro "[[로엔그린(오페라)|로앤그린]]" 1마디가 로앤그린의 3막의 첼로 파트가 어렵다고 하는 부분이라고 한다. ==== 20번 ==== g단조 Appassionata / Allegro [[바이올린족 악기들의 연주법#2-2|옥타브와 더블 스톱]]을 연습하는 곡이다. === 21 ~ 30 === ==== 21번 ==== a단조 Allegro molto moderato 극악무도한 난이도에 연주시간도 4분이 넘는다. 대충 4번의 상위호환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23, 31, 37번도 연주시간이 긴데 21번은 23번보다 약간 더 어렵고 37번보다는 조금 더 쉽다. 개인차가 꽤 큰 곡이다--어려운건 맞잖아--] ==== 22번 ==== G장조 Andante grazioso 왼손으로 [[바이올린족 악기들의 연주법#3-14|피치카토]]를 하면서 동시에 곡을 연주해야한다. 20번대 중에서는 상당히 어려운 편. 템포가 빠른 편인데다 쉬프팅도 많이 나온다. ==== 23번 ==== b단조 - B장조 - b단조 Moderato ==== 24번 ==== G장조 Allegro moderato ==== 25번 ==== B♭장조 Allegro assai ==== 26번 ==== A장조 Andante con moto ==== 27번 ==== C장조 Allegro ==== 28번 ==== A장조 Andante grazioso ==== 29번 ==== f#단조 Moderato 아마도 포퍼 연습곡 음정계 최종보스. 포르테의 더블스톱에다가 음악적 표현력까지 더해져야 한다. ==== 30번 ==== G♭장조 Allegretto === 31 ~ 40 === ==== 31번 ==== C장조 Andante ==== 32번 ==== c단조 Andante sostenuto ==== 33번 ==== D장조 Andantino 의외로 개인차를 상당히 많이 탄다. 각자 운지법이 달라서 그런 듯. --물론 책대로 하면 어렵다.----쉽게 바꿀 수는 있는데 그렇게 되면 이걸 하는 의미가 없다.-- 네 박짜리 스트링 크로싱 보우도 퀄리티에 큰 영향을 준다. ==== 34번 ==== F장조 Andante espressivo [[바이올린족 악기들의 연주법#2-2|더블 스톱]][* 두 개의 줄을 한 번에 잡고 긋는 주법]을 중심으로 연습한다 ==== 35번 ==== D♭장조 Andante ==== 36번 ==== C장조 Allegro vivace ==== 37번 ==== E장조 Andante 모르덴트[* 잔결꾸밈음 --그냥 빠르게 한번 하는 [[바이올린족 악기들의 연주법#2-6|트릴]]같은거다--]를 연습하는 곡이다. ==== 38번 ==== D장조 Presto ==== 39번 ==== D♭장조 - c♯단조 Andante ==== 40번 ==== D장조 Scherzando [[바이올린족 악기들의 연주법#2-6|하모닉스]]를 연습하는 곡이다. == 난이도 평가 == 곡의 난이도에 따라 1~5티어로 구별하며 1티어에 가까울수록 어렵고 5티어에 가까울수록 쉽다 • 1~10번 1티어: 4번, 7번, 9번 2티어: 6번, 8번 3티어: 1번, 2번, 10번 4티어: 3번 5티어: 5번 • 11~20번 1티어: 2티어: 3티어: 4티어: 5티어: [[분류:독주곡]] [[분류:기악곡]] [[분류:첼로 독주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