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모바일로 출시된 철도 시뮬레이션 게임, rd1=Hmmsim, other2=이전에 출시된 PC용 철도 시뮬레이션 게임, rd2=Hmmsim Alpha+)] [include(틀:Hmmsim 시리즈)] ||<-2>
{{{#FFFFFF '''{{{+1 흠심 메트로}}}'''[br]Hmmsim Metro}}}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mmsimMetro.jpg|width=100%]]}}} || || '''개발''' ||Jeminie Interactive[* 한국어 명칭으로는 '''"제미니 인터랙티브"''' 대표는 [[황제민]]] || || '''유통''' ||Jeminie Interactive || || '''플랫폼''' ||[[Microsoft Windows|[[파일:Windows 로고.svg|height=16]]]] || || '''ESD''' ||[[Steam|[[파일:스팀 로고.svg|height=16]]]] || || '''장르''' ||[[철도 시뮬레이션|시뮬레이션]] || || '''출시''' ||'''PC'''[br][[파일:세계 지도.svg|width=20]] 2021년 6월 25일^^(앞서 해보기)^^[br] || || '''엔진''' ||[[언리얼 엔진 4|[[파일:언리얼 엔진 로고.svg|width=60]]]][* 베타버전 한정 UE5 적용]|| || '''관련 사이트''' ||[[https://jeminie.kr/Hmmsim-Metr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height=25]]]] || || '''가격''' ||22,000원 || || '''상점 페이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1591420/Hmmsim_Metro|[[파일:스팀 아이콘.svg|height=25]]]]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lTNpPWnLLo)]}}}|| || {{{#FFFFFF '''Hmmsim Metro - 트레일러'''}}} || '''Hmmsim Metro'''는 Jeminie Interactive가 개발한 철도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2021년 6월 25일 앞서 해보기로 출시되었다. 2012년, 처음 PC용 [[Hmmsim]]인 [[Hmmsim Alpha+]]의 후속작으로 볼 수 있다. ==# 발매 전 정보 #== * 2018년 8월 19일 [[티카페]] 회원정모에 개발자 본인이 직접 참여하여 흠심 알파 2가 개발되고 있음을 발표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x44GYrw0oJQ|시연영상 1]], [[https://www.youtube.com/watch?v=iFld2PKCZVI|시연영상 2]] * PC 버전으로도 출시되며 기존 Hmmsim alpha+를 계승하는 의미에서 이렇게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 공개는 올해 안이라고 개발자가 직접 못박은 상태이다. * 2019년 8월 23일 개발자에 따르면 [[http://ddc01137.blog.me/221344594811|흠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고 하며, 사용 엔진은 [[언리얼 엔진 4]]다. * 10월 23일 [[http://blog.naver.com/ddc01137/221686267496|그래픽이 완전히 뒤바뀐채로]] 이번 연말에 자세한 정보를 공개한다고 한다. * 오랫동안 소식이 없다가 2020년 4월 24일 [[https://ddc01137.blog.me/221927067751|새로운 정보가 공개될 것]]이라고 한다. * 5월 1일 [[http://blog.naver.com/ddc01137/221940114438|Project Alpha 2의 정식 출시 이름이 "Hmmsim Metro"]]라고 한다. 또한 매주 월요일마다 개발 현황, 스크린샷, 정보가 공개된다고 한다. * 5월 4일에는 [[http://blog.naver.com/ddc01137/221945925570|청량리역 스크린샷]]이, 5월 11일에는 [[http://blog.naver.com/ddc01137/221957629083|종로선 스크린샷]]이 공개되었다. * 5월 17일, [[http://blog.naver.com/ddc01137/221967751377|내일 휴재 알림]]이라는 제목으로 올라왔다. 원래는 5월 18일에 지하구간 스크린샷을 올릴 계획이였으나 개발이 지연되어 지하구간 스크린샷은 한 주 뒤인 5월 25일에 공개된다고 하였으나 연기되어 6월 1일에 [[http://blog.naver.com/ddc01137/221978586127|지하구간이 공개]]된다. 그대신 종로선2 라는 이름으로 올라 왔다. * 6월 1일 22시에 [[http://blog.naver.com/ddc01137/221986727434|또 연기되어 다음 주에 연재한다고 한다.]] * 6월 9일 [[http://blog.naver.com/ddc01137/221994537007|지하구간이 공개되었다.]] Hmmsim Metro는 PC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중이다. 모바일 포팅을 염두에 두면서 개발하고 있지만, 당장은 모바일에서 보긴 힘들다. 개발 엔진은 언리얼4 기반으로 개발 중이다. 언리얼엔진 기반이지만 효율적인 솔루션을 개발해 성능 최적화를 이뤄냈다. 지상구간도 개발하고 있으며 2주 후 지상구간이 공개된다.[* 그러나 한 달의 시간이 지났음에도 공개되지 않았다.] * 그 후 한 달이 지난 7월 10일 [[http://blog.naver.com/ddc01137/222027374037|자갈과 침목을 3D처럼 보이는 2D로 최적화 작업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지상구간은 다음 주 월요일[* 2020년 7월 13일]에 공개하겠다고 했다. * 7월 13일 [[메트로픽스]]와 개발자 블로그에 [[https://blog.naver.com/ddc01137/222029938259|서울역 지상구간이 공개]]되었다. * 12월 27일, [[메트로픽스]]에 [[https://blog.naver.com/ddc01137/222187062475|서울역과 지상구간이 공개]]되었다 * [[2021년]] 3월 19일, [[메트로픽스]]와 개발자 블로그에 [[용산역]]과 [[https://blog.naver.com/ddc01137|한강철교 구간이 공개되었다.]] [[황제민|개발자]]의 언급으로, 다음에는 게임 플레이 영상을 올리겠다고 하였다. 그날 공개된 사진을 보면 [[한강철교]] 구간에서 철교와 도로에도 약간의 노이즈도 보이긴 하나, 전혀 크게 신경 쓸 부분이 아니다.[* 그래픽 작업을 하면 약간의 노이즈가 생길 수 있다.] * [[2021년]] [[만우절|4월 1일]]에 [[황제민|개발자]] 블로그에 [[https://blog.naver.com/ddc01137|게임 플레이로 추정되는 사진이 공개되었다.]] * [[2021년]] 4월 2일에 [[황제민|개발자]] 블로그에 [[https://blog.naver.com/ddc01137|게임 플레이 GIF가 공개되었다.]] * 2021년 4월 28일, 유튜브 흠심 채널을 통해 온라인 시연회를 공개했다. 이날 시연회에는 [[레일플래닛]]의 지원을 받아 진행하였다. * 게임 시연은 30:00~41:20(지하구간), 53:00~1:08:45(지상구간)까지 보면 된다. [youtube(yXNTkps6yj0)] * 2021년 5월 7일, [[메트로픽스]] 카페에 [[https://cafe.naver.com/skyrailway/97271?boardType=L|Hmmsim Metro 아이콘으로 추정되는 게시글이 공개되었다.]] * 아이콘 사진. 빨간 밑줄을 그은 것이 Hmmsim Metro 게임이다. 검은 바탕에 열차 사진이 있는 Hmmsim 2와는 아이콘이 별 차이가 없다. [[파일:흠심 아이콘 등.png]] * 2021년 5월 9일, 개발자 블로그에 [[https://blog.naver.com/ddc01137/222343924776|Hmrail 로고를 추가한 사진이 업로드 되었다.]] 원래 코레일 로고를 추가하려 하였지만 협의가 되지 않아 로고를 변조하여 추가하였다고... * [[한국철도공사]] 측에 문의해 본 결과, 애초에 상업적으로는 로고 사용이 불가능하나[* 단, 축제나 여러 비상업적인 용도로는 코레일과 협의하에 사용이 가능하다.], [[철도모형]], 종이 모형 등의 경우에는 상업적인 용도로 협의하에 로고 사용을 승인해 준다. 하지만 게임은 지속적인 업데이트로 게임의 내용 자체를 수정 가능하며, 코레일 측에서 밝힌 최종적인 이유로는 [[철도 시뮬레이션]] 게임 사용에 대해서는 [[한국철도공사|공공기관]] 이미지 관리를 위해 사용이 어렵다는 점에서 게임에 대한 로고 사용을 승인해 주지 않았던 것이다.[* 라이선스 비용을 거절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지만, 공공기관 이미지를 해칠 정도의 내용은, 라이선스 비용도 거절하면서까지 로고 사용 승인을 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 [[비행 시뮬레이션]]에서 항공사와 제조사의 반대로 항공 사고를 구현하지 않듯이 코레일이 이 게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상의 철도 사고나, 불량적인 승무(무정차 통과나, 신호위반 등등...)를 통해 이미지 훼손을 우려했을 가능성이 크다. 또한 현재는 사고가 구현되지 않아도 업데이트로 나올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앞서 게임은 지속적인 업데이트로 게임 내용 자체를 수정 가능하다는 것을 언급한 만큼 가능성이 있다.^^ 비슷한 예로 [[트레인 시뮬레이터]] 때부터 대한민국 철도의 출시를 고려해봤지만 [[한국철도공사]]의 로고 사용을 허가받지 못해 출시를 못 했던 전례도 있다...] * 2021년 5월 13일, 개발자 블로그에 [[영등포역]]을 포함한 지상 구간이 [[https://blog.naver.com/ddc01137/222349772220|공개 되었다.]] * 2021년 5월 23일, 개발자 블로그에 게임 출시 및 출시일 공개를 연기한다는 개시글이 공개되었다. 아쉽게도 개발이 지연되었고, 게임 플레이 영상 제작을 위한 장비 또한 준비가 되지 않았다는 이유다. [[http://blog.naver.com/ddc01137/222362657508|하지만 게시글에 올라온 사진을 보면, 게임 내에 UI를 볼 수 있다.]] ~~철도 노선 개통 연기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 * 23일자 블로그 에서 본 게임의 [[UI]]도 공개되었다. [[파일:Hmmsim Metro UI.png]] * 작성일 기준 6월 11일에 제작자가 댓글로 공개한 내용에 따르면, 이번 주 일요일[* 단, 바로 확정된 것은 아니다.] 정도에 게임 플레이 영상이 올라갈 수 있다고 했다. 차량과 운전실도 새로 리모델링을 하고, 여러 기능 또한 추가를 하다 보니 지연되었었다고 한다. * 2021년 6월 13일, 게임 플레이 영상이 공개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vq6N80V4W7k|플레이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bMrNtTPHVmQ|기능영상]] * 2021년 6월 19일, 스팀에서 게임을 테스트 중인 게시글이 [[https://blog.naver.com/ddc01137/222402926462|공개되었다.]] * 2021년 6월 19일, 스팀 토론장에서 다음 주에 출시한다고 개발자가 직접 언급하였다. [[파일:출시일.png]] * 2021년 6월 24일, 메트로픽스와의 인터뷰에서 6월 25일 6시~7시에 얼리엑세스 공개가 확정되었다. [[파일:coment1.png]] * 2021년 6월 25일 5시 59분 54초 자세한 정보가 올라왔다. * 2021년 6월 25일 6시 1분 Hmmsim Metro가 얼리엑세스로 출시되었다. == 시스템 요구 사항 == ||<-3>
'''{{{#FFFFFF 시스템 요구 사항}}}''' || || '''구분''' || '''최소 사양''' || '''권장 사양''' || || '''운영체제''' ||Windows 10 64비트 ||Windows 10 64비트 || || '''프로세서''' ||Intel Core i5 ||Intel Core i7 || || '''메모리''' ||8 GB ||16 GB || ||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X 960 ||NVIDIA GeForce GTX 1060 || || '''저장 공간''' ||4 GB ||4 GB || * 전체적인 요구사양은 상당히 높다. 특히 업데이트를 하면 할수록 게임이 무거워지고 있다. 물론 하옵으로 즐길거라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문제는 매우 높음 옵션. 이 옵션에서 안정적으로 60프레임을 뽑아내기 위해서는 1080p 기준 RTX 3060 Ti, 4K 기준으로는 RTX 4090정도는 사용해야 한다. 이정도면 어지간한 최신 AAA급 게임보다 더 무거운 게임이라는 소리인데, Hmmsim Metro의 그래픽이 절대 나쁘다고 볼수는 없지만 과연 이러한 엄청난 고사양을 요구할 정도로 뛰어난 그래픽을 가진지는 의문이다. 해당 게임 플레이어의 주 연령층이 고사양 그래픽 카드를 구입하기 어려운 저연령층이 다수를 차지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아쉬운 부분. 그나마 다행인 점은 개발진이 DLSS 2.0을 업데이트 해줬으며, 추후 AMD FSR까지 도입할 예정이라고 한다. * 최근 패치로 DLSS가 추가되어 RTX 그래픽카드 요구 사양이 다소 내려갔다. 하지만 아직 불안정하기 때문에 DLSS를 켜면 텍스쳐 플리커링 현상이 생기는 문제가 있으니 사양이 딸리는 게 아니라면 해결될 때까지는 끄는 것이 좋다. 또한, AMD 그래픽카드에서는 DLSS를 쓸 수 없기 때문에 AMD GPU 사용자들은 FSR이 도입되지 않는 이상 옵션을 낮춰서 쓰는 것 외에는 딱히 대안이 없다. * 최소사양에서 풀옵션으로 구동할 경우 평균 20프레임대가 나온다. 또한, 최소사양보다 더 낮은 GTX 550 TI 으로도 구동 자체는 된다. * 사양 총족이 잘 안되면 옵션을 매우 높음으로 했을때 렉은 물론 게임 플레이 자체가 힘들다. 그래서 설정에서 세팅을 내려줘야 하는데 너무 내리면 또 게임에 그래픽이 안좋아진다. 그래서 중간 옵션으로 해야한다. 다만 렉걸리는건 감안 해야한다. * 개발자의 공식 답변에 의하면 AMD의 [[FSR]]도 지원할 예정이라고 한다. [[DLSS]]가 추가되었지만 손가락만 빨며 지켜봐야 했던 AMD 그래픽카드 사용자들에게는 반가울 만한 소식이다. == [[Hmmsim Metro/패치노트|패치 노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Hmmsim Metro/패치노트)] == 특징 == 전작인 [[Hmmsim Alpha+]]의 후속작인 [[대한민국|국산]] [[철도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2세대 Hmmsim Alpha+ 라고 보면 된다. 다만, 전작과 완전히 다른 게임이라 할 정도로 전작과의 완전한 차이점을 보였다. 전작에 비해 기관실부터 현실과 거의 똑같이 구현되었다는 점, 그래픽과 게임성이 더욱 좋아졌다는 점, 게임에 필요한 필수 오브젝트뿐만 아니라 주변 풍경과 건물 오브젝트 등을 추가한 점[* 전작에는 역사 건물 같은 기본적인 건물만 구비가 되었었다.]등 셀 수 없을 정도로 전작과의 차이점을 보였다. 현존하는 철도 시물레이션 게임 중 가장 유명한 [[트레인 시뮬레이터]], [[트레인 심 월드]]와 달리 스크린도어와 정위치 표시기, [[열차자동정지장치|ATS 신호기]]도 구현되어 있고,[* TSW는 지하철보단 일반열차가 메인이기 때문에 굳이 정위치표시기와 스크린도어를 만들필요가 없다.] DSD(운전자경계장치), 심지어 절연구간까지 구현되어 있어 현실적인 그래픽과 직접 운전하는 듯한 게임성이 구축되어 있다.[* 다만, DSD, SIFA(독일식 운전자경계장치), [[열차자동정지장치|ATS]], [[열차자동제어장치|ATC]], 절연구간 등은 [[트레인 심 월드]]1, [[트레인 심 월드 2|2]]에도 구현되어 있으며, 심지어 이쪽은 독일 특유의 신호체계인 PZB/[[LZB]]와 디젤기관차의 회로 전이와 전이충격, 전차선 높이에 따른 팬터그래프 높이 조절, 행선기 [[롤지]] 및 LED 조작까지 구현해 냈다. 국내 자료만 보더라도 이미 [[https://tgis.tistory.com/48|TSL]]에서도 TSW, 흠심 메트로와 비슷하게 차량의 각종 기능이 상세히 구현된 적 있다.] [[데드맨 스위치|운전자경계장치]]가 구현되어 운행중에는 항상 스페이스 바를 눌러야 한다.[* 이는 설정에서 끌 수 있다.] 스페이스 바를 뗄 경우 "안전운전 합시다."라는 경고음이 나오고 일정한 시간(3초) 동안 스페이스 바를 누르지 않으면 비상제동이 체결되어 열차가 멈추게 된다. 이때, 주간제어기가 역행위치에 있으면 스페이스 바를 누른 것을 인식하지 않는다.[* 이는 실제 주간제어기가 손을 놓았을 때 기계적인 힘(스프링)에 의해 튕겨올라가고, 중립으로 갈 때까지 다시 눌리지 않는 것을 구현한 것이다.] 한 번 스페이스 바를 뗀 경우에는 주간제어기가 중립으로 가야만 복귀하여 전도운전이 가능하다.[* 스페이스 바를 누르면서 운행하는게 불편하면 키 설정에서 BVE5처럼 tab키를 데드맨 스위치로 설정해도 된다.] 운전자경계장치와 교직절연구간 통과시 기기취급 등으로 인하여 철도에 대해 잘 모르는 유저들은 첫 플레이에서부터 많이 헤맬 가능성이 높다. 그래도 아직 제동이 현실적으로 반영되지 않아 역에 정차하기는 그리 어렵지 않다. 첫 플레이 시 튜토리얼을 진행하거나 조작 설명글을 꼭 보도록 하자. 기존의 Hmmsim 시리즈와는 다르게 시나리오가 제작되었고, 총 28개의 시나리오를 플레이할 수 있다. 1차 업데이트에서는 다음 시나리오를 플레이하기 위해서는 이전 시나리오에 있는 노선을 완주해야 했었지만 업데이트 이후에는 시나리오와 열차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지금은 안개 외에는 날씨가 구현되어 있지 않은데, 2021년 4월 28일 생방송을 통해 공개된 정보에 따르면 Hmmsim Metro 정식 출시 이후에 날씨가 구현된다고 한다. AI(자동운전) 기능은 없어지고[* 실제로 1호선은 자동운전 모드가 없기 때문에 모든 열차가 수동운전한다. 다만 이 부분은 추후 구현될 가능성도 아예 없지는 않다. 개발자 빌드에는 자동운전 기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점은 기존 Hmmsim 시리즈와는 다르게 제한된다. 시나리오마다 다르지만 전구간을 (광운대-금천구청) 운행하면 약 1시간 정도 소요된다. 안양역까지 연장되면 약 1시간 10분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 평가 == [include(틀:평가/Steam, code=1591420, rating=매우 긍정적, percent=90, count=1094, rating2=복합적, percent2=59, count2=22, date=2023-09-17)] == 비판 == === [[티스푼 공사|끊임없는 개발 지연]] === * 업데이트 로드맵을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지킨 적이 없다. 차라리 업데이트가 늦더라도 현실적인 로드맵을 제시했더라면 지금처럼 비판받는 일은 없었을 것이며 소규모 개발진으로 이루어진 게임임에도 불구하고 지키지도 못할 로드맵을 무리하게 제시하는 바람에 매번 연기를 거듭하고 있으며 그때마다 엄청난 비판을 받고 있다. Jeminie Interactive의 황제민 대표에 의하면 현재 만성 적자에 시달리고 있으며 개인 블로그에 대출까지 언급한 것으로 보아 회사 자금난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여러 사람들이 제시한 인력 확충에 대해서는, Hmmsim의 판매 수익이 크지 않으며 사람을 더 뽑게 되면 그에 따른 비용이 엄청나서 개발자를 추가로 채용하기는 어렵다고 한다. 또한 Hmmsim Metro와 관련된 또다른 프로젝트와 병행하며 매우 적은 소규모 인원으로 작업을 하고 있어 개발이 지연되었다고 한다. * 특히 2022년 5월 8일 배전반 업데이트 연기를 공지하며 [[https://steamcommunity.com/app/1591420/discussions/0/3273564671166535982/|다른 프로젝트 병행으로 인해]] 개발이 진행되지 못했다고 밝히며 논란이 더욱 거세졌다. 특히나 [[https://steamcommunity.com/app/1591420/discussions/0/3273564019245339857/|4월 29일 지연 공지]]를 올릴 때는 언급조차 없던 다른 프로젝트의 갑작스런 등장에 스팀 토론페이지나 메트로픽스 등 여러 커뮤니티에서 비판글이 줄지어 올라왔는데 이에 개발자가 감정적으로 대응하며 논란을 키웠다. * 결국 [[https://steamcommunity.com/app/1591420/discussions/0/3273564671175593486/|사과문]]을 업로드하며 일정을 지킬 것을 악속하였다. * 2023년 8월 중으로 업데이트를 진행한다고 말했으나 결국 업데이트가 되지 않아 5개월 째 업데이트가 되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해 [[https://steamcommunity.com/app/1591420/discussions/0/3824173836670294921/|개발자가 사과문을 올렸다.]] == 노선 == ||<-4>
{{{#white '''게임 내 구간 노선도'''}}} || ||<-3>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수도권 전철 1호선(Hmmsim Metro) 노선도(2019_12).svg|width=100%]] [br][* 2019년을 배경으로 하는 게임이기에 2022년 5월에 개통한 신림선은 (대방역 환승) 빠져있다.]}}}}}} || || '''노선''' || '''구간''' || '''차량'''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0|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0052a4 수도권 전철 1호선}}}]]''' || [[금천구청역|금천구청]] - [[광운대역|광운대]][* [[앞서 해보기]] 버전 출시 이후 수시로 업데이트를 하게 되는데, 최종으로는 광운대역 - 광명역으로 연장하면서 수도권 전철 1호선 개발은 중단된다. 이후 다른 노선에 대해서 DLC 형식으로 출시할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계획과는 다르게 금천구청역에서 안양역까지의 연장도 이루어졌다. 원래 안양역 연장은 당초 계획에는 없었으나 향후 디젤기관차, 급행 다이아를 위한 필수 요소라고 생각되어 맵 재설계와 함께 개발중이며, 안양역 연장 이후 광명역 연장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한다.] 총 30.6km, 26개 역[* 광명역, 안양역으로 연장시 총 42.3km, 30개역으로 늘어난다.] ||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s-2.3|311X25]],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s-2.5|311X50]],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s-2.7|311X70]],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s-2.9|311X85]])[br][[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s-2.3|5X26]],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s-2.5|5X51]])[br][[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서울메트로 1000호대 VVVF 전동차|101]]) || === [[수도권 전철 1호선]] === * 구간: [[광운대역|광운대]] - [[안양역|안양]][* 추후 [[광명역|광명]]으로도 연장 예정.][* 안양역은 현재 베타테스트가 진행중이며 금천구청-안양간만 운행 가능하다, 다만 금천구청역에서 시작하는 것이 아닌 금천구청역 ~ 석수역 사이에서 시작/끝난다.] * 차량: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311X25, 311X50, 311X70, 311X85), 한국철도공사 5000호대 전동차(5X26, 5X51),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101) * 교행열차: [[KTX(차량)|KTX]], [[KTX-산천]], [[8200호대 전기기관차]], [[7400호대 디젤기관차]],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구로기지에서 배경으로 나온다. 원래 정식 출시 이후 출시할 예정이었으나, 개발이 취소되었다.],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 출시 예정 차량: [[7400호대 디젤기관차]][* 추후 추가 예정. 운행 구간은 서울/용산-안양으로 될 예정이다.] ==== 시나리오 ==== 경부선 급행 시나리오의 경우 2019년을 배경으로 하다보니 청량리 착발이 아닌 용산 착발로 설정되어 있다.[* 2019년 12월 30일 이후부터 경부선 급행 노선이 청량리로 연장되면서 용산에서 더 이상 시종착하지 않으며 시종착역이 [[천안역]]과 [[신창역]]으로 이원화되었다. 다만, 천안-신창 구간은 모든 역에 정차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 추가로 가산디지털단지 이후에는 완행 열차와 선로를 공유하여 청량리까지 모든 역에 정차한다. 또한 2019년 당시에는 경부선 급행이 금천구청에 정차하지 않았지만 맵이 더이상 이어지지 않기에 어쩔 수 없이 금천구청에 정차한다. 금천구청 정차 문제는 안양역 연장 이후 해결 될 예정이다.] 지하서울역 - 남영 구간과 지하청량리 - 회기 구간에 교류 - 직류 절연구간이 있으므로 교직절환 및 회생제동 차단스위치를 조작해야 한다. 또한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구간에도[* 광명 연장시 금천구청-광명 구간에도 교류 - 교류 절연구간이 추가될 예정. 또한 안양 연장시 관악-안양 (안양천교) 구간에도 교류 - 교류 절연구간이 추가된다.] 절연구간이 있지만, 교류 - 직류가 아닌 교류 - 교류 절연구간이므로 이 구간을 운행할 때는 교직절환을 하지 않고 회생제동 차단스위치만 조작하면 된다.[* 서울교통공사 차량의 경우 별도의 조작 없이 그냥 중립을 유지한 상태로 교류-교류 절연구간을 빠져나가면 된다.] 이 구간들을 운행할 때에는 절연구간을 완전히 빠져나갈 때까지 열차를 가속하거나, 회생제동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로 제동을 걸어서는 안 된다.[* 물론 실제로도, 게임에서도 자동으로 회생차단이 되긴 한다. 그렇지만 회생제동 차단스위치도 조작하는 것이 정석. 전력공급이 안 되는 구간이기 때문에 만약 이 구간에서 열차가 멈추면 다른 열차가 직접 와서 구원연결을 하여 빠져나와야 한다. 또한 가속을 하면 열차가 고장나서 다시는 가속이 불가능해지므로 게임을 다시 시작해야 하니 주의 바람.] 용산에서 발차하는 경부선 급행의 경우 독산역을 제외한[* 안양역 연장 이후에는 금천구청, 석수, 관악 통과 예정.] 모든 역에 정차하고, 경인선 급행 계통은 특급을 제외하면 (특급은 용산-노량진-신도림-구로에만 정차) 모든 역에 정차한다.[* 실제 경인선 특급 계통은 2022년 6월 20일부터 영등포역과 역곡역에도 추가로 정차한다.] 서울역 급행의 경우 상행열차(서울 급행)는 금천구청역을 출발한 이후 중간에 영등포에 정차하나, 하행열차(천안급행)는 정차하지 않는다. 모든 시나리오에 서울교통공사 열차를 운행할 수 있다. 다만 실제로 서울교통공사 열차는 급행노선을 운행하지 않는다.[* 실제로 코레일 전용으로 운용되고 있는 구로기지로 입출고를 하지 않는다. 서울교통공사 1호선 열차는 동묘앞역과 신설동역 사이에 있는 입출고 선로를 이용하여 (입고하는 열차는 신설동 유령승강장 통과) [[군자기지]]로 입출고한다.] 배전반 업데이트로 이제 시나리오를 불러오면 열차를 기동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열차선택 화면에서 3가지 옵션을 선택할 수 있으며, 자세한 기동 절차는 튜토리얼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출입문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2인 승무를 하고있는 1호선은 기관사가 출입문을 제어하지 않고, 차장이 담당한다. 1인 승무를 하는 광명셔틀은 제외.] 원핸들 전동차의 경우 출입문 1인제어 기능이 있다. 따라서 1인 승무를 하고 싶으면 후면배전반의 "OMDCN 출입문 1인제어" 차단기를 켜고 제어대에 출입문 키를 삽입해야 한다. 만약 반대방향 출입문을 개방하려면 제어대 전면에 있는 "DOBS 출입문 바이패스" 스위치를 취급하면된다. 추가로 원핸들 전동차의 배전반 문을 열려면 '''먼저''' 의자를 접어야 열 수 있으니 유의바람. * 최초기동: 열차를 처음부터 기동해야 한다. - 약 3분정도 소요됨.[* 유튜브에 40초 기동 영상도 있다(..)] * 배전반 확인: 배전반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동을 시작한다. 제동핸들 투입 (원핸들 전동차는 제외), 팬터 상승, 주차단기 투입, 마스콘 키 투입만 하면 된다. - 약 30초정도 소요됨.[* 원핸들 전동차의 경우 마스콘 키를 먼저 투입하고 배전반 확인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 기동완료: 별도의 절차없이 모든 기동이 완료된 상태로 시작한다. 시나리오에 따라 배전반 기동을 원하는대로 선택할 수 있지만, 실제 운행처럼 리얼하게 플레이를 하고 싶다면 최초기동은 구로기지 출고 시나리오에서만, 배전반 확인은 청량리 또는 용산 회차선에서 시작하는 열차와 광운대발 서동탄행, 서울역발 천안급행 시나리오에서만, 기동완료는 나머지 시나리오에서 실행시키면 된다. * K677 [[천안역|천안]]행 (14:14) 구간: [[청량리역|지하 청량리]] → [[동묘앞역|동묘앞]] * K125 [[인천역|인천]]행 (13:35) 구간: [[동묘앞역|동묘앞]] → [[서울역|지하 서울역]] * K803 [[인천역|인천]]행 (09:18) 구간: [[서울역|지하 서울역]] → [[구로역|구로]] * K472 [[광운대역|광운대]]행 (15:26)[*2번종착 광운대역 2번 승강장에서 종착한다.] 구간: [[용산역|용산]] → [[광운대역]] * K699 [[서동탄역|서동탄]]행 (17:11)[*2번 광운대역 2번 승강장에서 출발한다.] 구간: [[광운대역]] → [[금천구청역|금천구청]] * K498 [[청량리역|청량리]]행 (18:52) 구간: [[금천구청역|금천구청]] → [[청량리역|지하 청량리]] * K53 [[인천역|인천]]행 (07:49)[*3번 광운대역 3번 승강장에서 출발한다.] 구간: [[광운대역]] → [[구로역|구로]] * K520 [[광운대역|광운대]]행 (21:57)[*2번종착 광운대역 2번 승강장에서 종착한다.] 구간: [[금천구청역|금천구청]] → [[광운대역]] * K711 [[천안역|천안]]행 (19:05) 구간: [[청량리역|청량리]] → [[금천구청역|금천구청]] * K620 [[광운대역|광운대]]행 (08:37)[*4번 광운대역 4번 승강장에서 종착한다.] 구간: [[금천구청역|금천구청]] → [[광운대역]] * K735 [[천안역|천안]]행 (22:07) 구간: [[서울역|지하 서울역]] → [[금천구청역|금천구청]] * K24 [[소요산역|소요산]]행 (07:34)[*1번 광운대역 1번 승강장으로 들어간다.] 구간: [[구로역|구로]] → [[광운대역]] * K809 [[구로역|구로]]행 (22:29) [*기지입고 차량기지 입고열차][*3번 광운대역 3번 승강장에서 출발한다.] 구간: [[광운대역]] → [[구로역|구로]] * K814 [[소요산역|소요산]]행 (10:12) [*기지출고 차량기지 출고열차][*1번 광운대역 1번 승강장으로 들어간다.] 구간: [[구로역|구로]] → [[광운대역]] * K1113 [[동인천역|동인천]]급행 (16:31) 구간: [[용산역|용산]] → [[구로역|구로]] * K1056 [[용산역|용산]]급행 (20:11) 구간: [[구로역|구로]] → [[용산역|용산]] * K1919 [[천안역|천안]]급행 (16:34) 구간: [[용산역|용산]] → [[금천구청역|금천구청]] * K1922 [[용산역|용산]]급행 (18:11) 구간: [[금천구청역|금천구청]] → [[용산역|용산]] * K1188 [[동인천역|동인천]]급행 (22:34) 구간: [[용산역|용산]] → [[구로역|구로]] * K1118 [[용산역|용산]]급행 (17:45) 구간: [[구로역|구로]] → [[용산역|용산]] * K1901 [[천안역|천안]]급행 (06:01) 구간: [[용산역|용산]] → [[금천구청역|금천구청]] * K1930 [[용산역|용산]]급행 (22:19) 구간: [[금천구청역|금천구청]] → [[용산역|용산]] * K1319 동인천특급 (18:26) 구간: [[용산역|용산]] → [[구로역|구로]] * K1302 용산특급 (07:31) 구간: [[구로역|구로]] → [[용산역|용산]] * K1403 [[구로역|구로]]행 (08:28) [*기지입고] 구간: [[용산역|용산]] → [[구로역|구로]] (급행선로 이용) * K1406 용산행 (06:05) [*기지출고] 구간: [[구로역|구로]] → [[용산역|용산]] (급행선로 이용) * K1921 [[천안역|천안]]급행 (18:20) 구간: [[서울역|지상 서울역]] → [[금천구청역|금천구청]] * K1904 서울급행 (07:47) 구간: [[금천구청역|금천구청]] → [[서울역|지상 서울역]] == 인기 == 얼리엑세스로 출시된 이후 [[메트로픽스]]의 대부분 글은 본 시뮬레이터로 도배되었다. 사실, 메트로픽스의 그동안의 주요 이야기 주제는 [[openBVE]]와 [[Hmmsim2]]가 메인이었고, 가끔씩 가상회사 이야기가 위주였으며, 2010년대 이후부턴 국내 BVE 노선 신규 개발은 거의 없는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당장 [[Bve trainsim]] 5버전에 대응하는 노선은 서울 지하철 4호선 [[https://tgis.tistory.com/48?category=542501|TSL 프로젝트팀]]이 사실상 처음이자 마지막이었고, 그 뒤로는 불법 복제, 온라인상에 난무했던 그동안의 문제가 빚어져 더 이상 발전 없이 노선 파일만을 가지고 있던 그들만의 리그로 몰락해 버렸기 때문이다. 등장 이후 수많은 국내외 유저들로부터 많은 피드백이 전달되고 있다. 현재, 본 시뮬레이터의 피드백 공식 접수처로는 메트로픽스와 스팀 해당 시뮬레이터 페이지 내 포럼 게시판에서 이루어지고있다. 그러나 메트로픽스에서 나오는 피드백 내용과 포럼 게시판에서 나오고 있는 피드백 내용 수준에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구입자와 비구입자가 같이 이용하는 메트로픽스와 달리 스팀 포럼은 실제 구입한 사람들 위주로 글이 작성되고 있는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https://gall.dcinside.com/mini/board/lists?id=hmmsimmetro|디시 흠심메트로 미니갤러리]]가 2021년 6월 28일에 최초 개설되었다. 또한 [[모노레일 갤러리]]에서 지속적으로 꾸준히 언급되고 있다. 얼리엑세스의 특성상, 개발진들은 철도 동호인들의 수요를 바라보고 개발했으나, 예상외로 국내 지하철 운전에 생소했던 일반인들의 수요도 상당했다고 한다. 이를 바탕으로 차츰 일반인들의 수요에도 충족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무엇보다 국내 최초의 국산 운전 시뮬레이션 PC게임이라는 점에서 굉장히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시뮬레이션 장르가 사실상 고사한 국내 시뮬레이션 시장에서 정말 간만에 빛을 발한 시뮬레이션 게임이니 그 의미는 매우매우 높다. 이 게임의 흥행 성적에 따라 차후 버스, 택시, 비행기 등의 다른 운전 시뮬레이션 게임이 출시한다면 국내 시뮬장르의 부활도 가능할지도.[* 하지만, 이것도 어두운 이면이 존재하는데, 현재 운전 시뮬레이터 PC게임의 주 플레이층은 [[잼민이|저연령층]]이 대부분이며, 저연령층 플레이층으로 인한 크고 작은 사건이 몇 건이 일어나기도 한다. 무엇보다도,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ETS2]], [[미드타운 매드니스 2|MM2]], [[옴니버스 시뮬레이터|OMSI]] 등의 운전 시뮬레이션도 역시 안심할 수 없는데, 해당 게임을 전문으로 하는 특정 네이버 카페의 과독점 지위화, MOD 등의 파일의 폐쇄적 공유 및 배포, 저연령층들이 일으키는 게임 이미지 변질, 심하면 친목질과 이로 인한 사고의 스케일로 인해 게임 평판에 전체 먹칠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세심한 대응이 필요할지도 모른다. 전자에 언급한 세 개의 게임은 이미 저연령층에 의해 게임 이미지를 천천히 변질시키는 것에 기여하고 있다.] == 여담 == * 유저 애드온은 정식 출시 이후에도 볼 수 없을 듯하다. 메트로픽스에서 개발자가 유저 애드온은 먼 미래라는 언급을 하였다. 이것은 유저 애드온은 개발이 되지 않거나 게임이 출시된 지 몇 년 정도 지나서야 유저 애드온이 출시된다는 뜻이기에 아직은 아쉽게도 유저 애드온은 Hmmsim Metro에서 찾아볼 수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외에는 다른 언급이 없는 모양. 쉽게 말해서 [[Hmmsim]]이나 [[openBVE]], [[트레인 시뮬레이터]]는 자체 제작한 노선을 적용할 수 있었지만, Hmmsim Metro에서는 자체 제작한 노선을 적용할 수 없다. * 게임 상의 [[신설동역]]과 [[동대문역]], [[종로5가역]]의 역사 승강장은 실제 역사와 맞지 않다. 이유는 2020년부터 시작된 역사 리모델링이 2021년 4월에 완료되었는데, 제작자는 Hmmsim Metro 제작 초기인 2019년에 역 출사를 다녀왔고 제작 이후 그 사이에 리모델링이 된 새 역사를 구현할 생각은 없다고 한다. 이외에도 금천구청역 통과선에(추후 안양역 통과선에도 스크린도어 미설치 구현 예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지 않은 점이 해당된다. 추가로 외대앞역 휘경4건널목이 2023년 3월 31일에 폐쇄해서 이제는 추억속으로 남았지만, 외대앞역을 지나갈때마다 볼 수 있다. * 게임의 시간적 배경은 [[2019년]]이다. 앞에서 서술됐듯, 게임 내 역 인테리어와 구조는 모두 2019년의 모습에 근거하고 있다.[* 2019년에 도입된 4세대 전동차가 등장할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 개발자가 별도의 언급을 하지 않았다.] 따라서, 경부선 급행 시나리오가 지하청량리역이 아닌 용산역에서 시종착하며 용산~구로 구간에서 경부2선이 아닌 경부3선으로 주행한다. * 철도 시뮬레이터용 [[주간제어기]]의 연결 대응은 현재 개발 작업 중으로 최대한 빨리 조치한다고 했었다.(전차로 고 컨트롤러 및 Raildriver 컨트롤러 등) * 처음 Hmmsim Metro가 개발될 때에는 "Hmmsim Metro"가 아닌 "Alpha+ 2"였다. 그리고 처음에는 2호선 구간을 개발해 [[https://blog.naver.com/ddc01137/221453736432|초창기 Hmmsim Metro의 기본 노선은 2호선이었다.]] 하지만 2호선은 곡선 구간이 너무 많고, 지상과 지하 구간 때문에 지루할 것 같다며 제작자가 처음부터 전부 다 갈아엎고 [[https://blog.naver.com/ddc01137/221686267496|그래픽이 완전히 뒤바뀌고, 노선과 오브젝트가 추가되어]] 지금의 Hmmsim Metro가 되었다. * 4월 28일 생방송 시연회에서 밝히길, Hmmsim Metro 개발 중에서 가장 힘들었던 점은 [[그래픽]]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걸린 것이라 하였으며, 6월 25일 생방송에서는 1호선 노선을 완전히 똑같이 구현을 하다 보니 작업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밝혔다. * 이후 출시될 [[DLC]] 노선으로는, [[광명역]] 이후 구간 완성을 우선 순위로 두고 있다고 언급했으며, 향후에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출시가 가장 유력하다고 한다[* Hmmsim 3에 대한 개발이 중단되었고, 기본적으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지 않아 출시까지는 오래 걸린다. Hmmsim 3 개발 노선이 2호선 이였으므로, 2호선에 대한 텍스쳐나 내용이 명확히 남아있기 때문이라 설명했다.] * 6월 24일, Jeminie Interactive 유튜브 채널에 [[https://www.youtube.com/watch?v=xV-tw0riaEQ|제작자 인터뷰 영상이 공개되었다.]] 이날, 메트로픽스와 함께 진행되었다. * 앞서 해보기 출시일이 공교롭게도 Jeminie Interactive 개업일과 같다. * 출시 후 2일이 지난 6월 27일, 벌써부터 불법 다운로드가 적발되었다. 파일을 받은 글쓴이는 무슨 생각인지 불법 다운로드와 파일을 다운받을 과정을 당당하게 개발자가 주로 활동하는 [[메트로픽스]] 카페에 올리는 기염을 토했다. 원본은 메트로픽스에서 삭제되었지만,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164158|여기서 캡처본을 볼 수 있다.]] 당연히 이는 개발자인 황제민(관교)이 봤고, 어이없다는 듯이 댓글을 남겼다. 그리고 바로 카페 규정에 의해 해당 유저는 21일 정지 처리되었다. * 시뮬레이터를 만들면서 저작권 제한 사항이 있어 실제와는 좀 다르게 보일 수 있다. 2020년 12월에 발매된 일본의 철도 시뮬레이션 [[전차로 GO!! 달려라 야마노테선]]와 같이 매우 상이하다. *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로고 사용 불가: 철도공사 로고 사용 라이선스를 취득하지 못해, 시뮬레이터 상에서는 HMRAIL(흠레일)이란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KTX]]도 마찬가지여서 HTX로 바뀌었다.[* 개발 초기에는 코레일 [[https://cafe.naver.com/skyrailway/94928|로고가 있었다.(카페 가입필요)]] 초기에는 코레일 로고 라이선스를 취득할 경우를 대비하여 넣은 것일 수도 있다.] 4월 1일에 업데이트 된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도 마찬가지로 라이선스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서울철도공사로 표기되었다. ~~그럴 바엔 차라리 흠심교통공사라고 하든가~~[[https://steamcommunity.com/app/1591420/discussions/0/3185740658295732755/|#]] * [[안내방송/열차/도시철도#s-2.1|안내방송]]: 실제 서울교통공사는 [[강희선]], 코레일은 [[보이스웨어]] 혜련으로 송출되는 데 반해 게임 내의 안내 방송은 많이 이질감이 들 수 있다. 해당 안내 방송은 2002년부터 2010년까지의 안내 방송을 모티브로 제작한 것이다. 환승역에서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모차르트]]의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3악장을, 종착역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동일 작곡가]]의 교향곡 17번 2악장을 채용했다.[* 공교롭게도, [[https://www.youtube.com/watch?v=dMxy0Kt1eZ0|이 음악]]은 실제로 한국철도공사가 과거에 종착역 안내방송 음악으로도 사용했다. 그러나 차이점이 있다면 실제 곡조의 기준음은 다장조를, 흠심 메트로는 [[https://youtu.be/DUwYoXSYZ1U?t=2944|내림라장조를 기준으로]] 한다.] 그러나 안내방송의 표현은 오늘날 쓰는 것이며, 성우는 TTS를 사용하였다. 또한 한국어/영어만 송출되며, 일본어나 중국어는 --아쉽게도-- 송출되지 않는다. * 출발 안내방송 배경음은 원래 [[https://www.youtube.com/watch?v=qcbZVEyH6Pg|제임스 라스트의 마티나타]]여야 하지만, 역시 저작권 문제로 인하여 과거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서울도시철도]]의 환승 음악인 [[안토니오 비발디|비발디]]의 바이올린 협주곡 F장조 '가을' RV 293 1악장[[https://www.youtube.com/watch?v=LscM3a9U3oU|#]]을 사용하였다. 이 부분은 전자가 1974년에 나온 음원이기 때문에 저작권 문제가 해결되기 어려운 점에서 현실과 타협한 결과인 것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oDFnXWPfzkQ|2000년 서울 지하철 5호선 안내방송 모음]] * 게임에서 송출되는 안내방송이 실제와는 다른데, 그 대표적인 예로 [[영등포역]]에서 환승음악이 나온다. 원래는 음악이 안 나오지만 광명셔틀의 종착역이기에 제작자가 이 부분을 추가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광운대역은 경춘선과 환승이 가능하지만, 실제론 환승 안내방송이 나오지 않는다. 게임에서도 이를 반영하였다.] 추가로 게임배경이 2019년 기준이라서 2022년 5월 28일 개통한 [[서울 경전철 신림선|신림선]]에 대한 [[대방역]]의 환승 안내방송은 추가되지 않았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이후엔 [[수도권 전철 4호선]] 면허구간 (산본역~사당역)을 차기 노선으로 계획중이라고 한다.[* 실제 철도차량 운전면허 중 전동차 운전을 위해 필요한 면허인 '제2종 전기차량 운전면허' 취득시험에서 메인이 되는 노선이 바로 안산과천선이다. [[과천선]] 구간에 전력공급 방식과 통행방식이 바뀌는 구간이 있는데다가 ([[꽈배기굴/과천선|남태령-선바위 구간]], 일명 꽈배기굴로 부른다.) [[금정역]]에서 ATC/ATS로 신호 변환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전동차 회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311000호대 1, 2차분 전동차는 341000호대 1, 2차분 전동차처럼 외형과 성능이 같거나, 비슷하다. 다만 4호선은 1호선과 달리 운전대에 속도계가 2개가 (ATC, ATS용) 설치되어있는 것이 차이점이다.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와 4000호대 VVVF 전동차도 마찬가지다.] 배경 그래픽도 대부분 지하라서 난이도는 어렵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2023년 이후에 개발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https://blog.naver.com/ddc01137/222845299144|#]] [[분류:Hmmsim 시리즈]][[분류:2021년 게임/앞서 해보기]][[분류:철도 시뮬레이션]][[분류:한국 게임]][[분류:Windows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