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ynamix]]의 이벤트 곡 || ||<|2><:>18.01.05[br]~[br]18.01.14|| 58번째 ||<|2> → || 59번째 ||<|2> →|| 60번째 || ||<:>[[16383]]||<:>'''[[Hopeful Warrior]]'''||<:>[[CROSS†SOUL#s-3|CROSS†SOUL]]|| ||<:>re open||||||||||<:>없음|| [목차] == 개요 == [youtube(4xAf4jySDXw,width=560,height=315)] [[https://www.youtube.com/user/JESUSxo/featured|MonstDeath]]와 Glúteos의 합작곡으로, 장르는 Classical Breaks이다. MonstDeath의 [[https://monstdeath.bandcamp.com/album/preposterous-ep|Preposterous EP]]의 11번 트랙으로 수록되었고, 추후 공모전을 통해 [[Dynamix]]에 수록되었다. 일러스트는 날개달린 동상이 서 있는 뒷모습이다. == 정보 == ||||||||
'''Hopeful Warrior''' || |||||||| [[파일:HopefulWarriorDynamix.png|width=240]] || ||<:>작곡가||||||||||||||||||||<:>MonstDeath vs Glúteos|| ||<:>BPM||||||||||||||||||||<:>177|| ||<:>난이도||||<:>레벨||||<:>노트수|| ||<:>{{{#green CASUAL}}}||||<:>{{{#green 2}}}||||<:>{{{#green 227}}}|| ||<:>{{{#00bfff NORMAL}}}||||<:>{{{#00bfff 7}}}||||<:>{{{#00bfff 521}}}|| ||<:>{{{#purple MEGA}}}||||<:>{{{#purple 13}}}||||<:>{{{#purple 1101}}}|| ||||<:>좌측라인||||<:>우측라인|||| ||||<:>{{{#green 일반&}}}{{{#00bfff 홀드}}}[br]{{{#purple 슬라이드}}}||||<:>일반&홀드|||| [youtube(CDoZZgGSh0c,width=560,height=315)] '''업데이트된 당시의''' 메가 채보 영상. 플레이어는 SoSop. [youtube(b2gegJikw40,width=560,height=315)] 버그가 수정된 메가 채보 영상. 플레이어는 Ritxman. 59번째 이벤트 곡이며, BGA는 없다. 플레이 이후 뽑기로 Statue of Hope 캐릭터를 해금할 수 있다. === 노멀 === 3동 홀드가 2동 홀드로 줄어들고, 16비트가 8비트가 되는 등 메가에서 많이 열화된 채보. === 메가 === 업데이트된 메가 채보에 '''좌측 노트'''가 하나도 없으며 올 퍼펙트를 해도 91만 점밖에 나오지 않고 97미스가 뜨는 버그가 있었다. 이건 원래 슬라이더가 들어가야 할 채보에 일반&홀드가 나타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어 생긴 버그다. 사실 이러한 버그는 [[REconstruction]]라든가 [[Between Boundaries]]라든가 몇 번 있었지만, 이 곡은 그냥 노트 몇 개가 아니라 '''한 부분이 통째로 날아간 것인지라''' 같은 버그이지만 주목을 더 많이 받은 듯하다. 이 버그는 당일 17:30에 수정이 되었다. 채보 자체는 트릴로 도배가 되어 있다. 특히 후반부로 갈수록 트릴이 조금씩 더 복잡해지며, 트릴 자체도 잠깐 나오는 게 아니라 한번 몰아치고 쉬고 몰아치는 방식이라 조금 어렵다. 슬라이드 노트도 좌측 견제를 제외하면 최후반부에만 살짝 나오기 때문에 스코어링이 까다로운 편이다. [[분류:Dynami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