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퀸/음반 목록)] ||<-2>
<#fff>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e5322d 49.849%, 49.849%,#009ed6)" {{{#ffffff '''{{{+1 Hot Spac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Queen - Hot Space.png|width=100%]]}}} || || {{{#622976 '''발매일''' }}} ||[[1982년]] [[5월 21일]] || || {{{#622976 '''녹음''' }}} ||[[1981년]] [[6월]] - [[1982년]] [[3월]] || || {{{#ed5827 '''장르''' }}} ||[[팝 록]], [[펑크 음악|펑크]]|| || {{{#ed5827 '''재생시간''' }}} ||43:29 || || {{{#ec5c99 '''곡 수''' }}} ||11곡 || || {{{#ec5c99 '''프로듀서''' }}} ||[[퀸(밴드)|퀸]], 아리프 마르딘, 레인홀드 맥, [[데이비드 보위]] || || {{{#b7b7b8 '''레이블'''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8px]] [[EMI]][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8px]] [[엘렉트라 레코드]] || [목차][clearfix] == 개요 == [[1982년]] 발매된 [[퀸(밴드)|퀸]]의 정규 10집 앨범. == 상세 == 1980년 [[The Game]]이 미국시장에서 성공하자 이에 고무된 멤버들은 새 앨범도 [[디스코]] 유행[* [[디스코 폭파의 밤]]이 있긴 했지만, 그 인기는 여전했다.]을 따라 만들게 된다. 그러나 퀸 음악을 좋아하던 사람들은 기존의 [[하드 록]]/오페라 록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대다수였고, 너무도 이질적인 장르에 대부분의 팬들이 거부 반응을 보였다. 실제로 디스코는 기존의 락신과 완전히 반대되는 트렌디 팝 장르였기에 락 팬들은 디스코라면 이를 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런데 전세계적으로 가장 인기 많은 밴드 중 하나인 퀸이 락팬들의 심기를 건드리는 장르로 다가섰으니[* 김경호가 핑클의 Now를 리메이크했을 때 반응과 일맥상통한다. 차이점이 있다면 퀸은 월드 와이드 밴드였고, 스스로가 상당한 수위의 섹스어필을 첨가했다는 점이다. 그만큼 퀸을 비난했던 여론 및 수위는 한국의 그 어떤 락신과도 비교가 되지 않았다.]... 결국 전작 The Game - Greatest Hits I을 통해 최전성기를 맞았던 퀸은 상업적/음악적 평가 모두 엄청난 타격을 입었다. 전작의 경우 미국/영국 모두 1위를 기록했으며, 무려 두 개의 싱글이 빌보드 싱글 차트 1위를 찍었다. 또한 10주년 기념 베스트가 영국에서만 600만장, 월드 와이드 2,500만장을 찍으며 승승장구했으나, 이 앨범은 UK 차트 4위, 빌보드 차트 22위로 판매량이 처참하게 급감했고,[* 그러나 이 앨범은 후기 앨범 중 미국 시장에서 '''가장 높은''' 성적을 기록한 앨범이라는 기록을 가지고 있다.] 싱글의 경우 UK차트 25위, 빌보드 11위가 최고 순위였다. 이처럼 영국/미국을 가리지 않고 반응은 매우 차가웠다. 유일한 성과라면 평론가들은 발매 당시 몇몇 싱글과 앨범을 좋게 평가했다는 점이다. 하지만 기존의 퀸 팬들은 이 앨범의 음악을 매우 싫어했고 공연에선 야유가 쏟아졌다. 심지어 존 디콘과 로저 테일러도 방송에서 대놓고 돌려까며 이 앨범은 싫어한다고 직접 밝혔다.[* 나중에 프레디도 "앨범이 많이 안 팔려 날 싫어했을 거에요"라고 인터뷰에서 밝혔다.] 이 앨범 발매 이후 퀸은 2년 가까이 휴지기를 가지는데, 그때 밴드 결성 이후 처음으로 언론에서 '''해체설'''이 튀어나왔다. 물론 멤버들은 해체할 생각이 전혀 없었지만, 언론에서 이제 퀸의 음악적 전성기가 다했다고 멋대로 결론내고 해체설을 떠들어댄 것. 하지만 이 앨범 이후 프레디가 음악에 대한 열정을 많이 잃었던 것은 사실이다. 평전에 따르면, 이후 프레디가 밤놀이와 애인들에게 더더욱 빠지면서 작업실에서 노래를 녹음하는 것조차 못 견뎌 했다고. 브라이언에 의하면 독일 [[뮌헨]]에 있는 거대한 호텔에 있는 지하 녹음실[* Arabella Hochhaus 빌딩 지하에 있던 Musicland 스튜디오에서 녹음했다. 호텔은 아직까지도 Four Points by Sheraton Munich Arabellapark로 영업중이다.] 에서 노래를 만들었는데 이 호텔은 많은 사람들이 투신자살한 호텔이었고 굉장히 암울한 분위기였다고. 이 분위기때문인지 멤버들 모두 까탈스러워지며 싸우는 횟수가 급격히 늘었고[* 멤버들이 술을 마시면 싸움이 일어나는건 당연했기에 스텝들은 자리를 피했다고 한다.] 자기 의견만 고집했다고 한다. 이때 프레디가 녹음실보단 게이클럽과 커뮤니티를 더욱 더 많이 찾게되며 녹음하러 온다해도 항상 늦게오고[* 멤버들 전체가 계속해서 지각했다. 오후쯤에 와서 작업 시작한지 몇시간도 안돼서 저녁을 먹고 퇴근했다고한다.] 굉장히 디스코풍이 강한 노래만 만들었는데 심지어 프레디 자신의 개인매니저 '폴 프렌터'[* 프레디 개인 매니저였지만 퀸의 음악에 지나치게 관여해서 브라이언과 로저가 경고했지만 듣지않았고 앨범이 망해버려 퀸이 결국 해체설까지 나돌게 된다. 후에 1987년 정신차린 프레디가 그를 해고시키지만, 폴은 [[The Sun|더 선]]과 접촉해 3만 2천 파운드의 돈을 받고 인터뷰를 진행해 프레디의 사생활과 그의 전 동성 애인 2명이 에이즈로 죽었단 걸 폭로했다. 때문에 프레디가 굉장히 분노하며 우울에 시달렸다고 전해진다. 폴은 양성애자로 추정되는 프레디와 달리 동성애자로, 프레디가 죽기 3개월 전인 1991년 8월 에이즈로 인한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똑같이 에이즈를 앓던 프레디는 이 소식을 듣고 더 절망하게 됐다고 한다.]때문에 직접 멤버들을 몰아붙였고 결국 이러한 사태가 일어나게 된 것이다. 이런 점들 때문에 그냥 망한 앨범으로 아는 사람이 많지만 여타 반짝 디스코 유행을 탄 타 밴드들의 앨범과는 달리 상당한 음악성으로 채워져 있고, 이 앨범을 좋아하는 팬들도 많다. == 트랙 리스트 == ||<:><-5>
<#FFFFFF>[[파일:Hot Space Logo.png|width=100]]|||| ||<:><-5>[[파일:Queen - Hot Space.png|width=100%]]|| ||<:><-5><#FFFFFF>'''{{{#e5322d 발매일:}}} ''''''{{{#009ed6 1982. }}}''''''{{{#009c41 11. }}}''''''{{{#fef013 20.}}}'''|| ||<:><#FFFFFF>'''{{{#000000 트랙}}}'''||<:><#FFFFFF>'''{{{#e5322d 이름}}}'''||<:><#FFFFFF>'''{{{#009ed6 곡 길이}}}'''||<:><#FFFFFF>'''{{{#009c41 작곡}}}'''||<:><#FFFFFF>'''{{{#fef013 비고}}}'''|| ||<:>1||[[Staying Power]]||<:>4:10||<:>Freddie Mercury||<:>|| ||<:>2||[[Dancer(퀸)|Dancer]]||<:>3:46||<:>Brian May||<:>|| ||<:>3||[[Back Chat]]||<:>4:32||<:>John Deacon||<:>세 번째 싱글|| ||<:>4||'''[[Body Language]]'''||<:>4:29||<:>Freddie Mercury||<:>타이틀곡|| ||<:>5||[[Action This Day]]||<:>3:33||<:>Roger Taylor||<:>|| ||<:>6||[[Put Out The Fire]]||<:>3:15||<:>Brian May||<:>|| ||<:>7||[[Life Is Real (Song For Lennon)]]||<:>3:39||<:>Freddie Mercury||<:>|| ||<:>8||[[Calling All Girls]]||<:>3:53||<:>Roger Taylor||<:>|| ||<:>9||[[Las Palabras De Amor (The Words Of Love)]]||<:>4:26||<:>Brian May||<:>두 번째 싱글|| ||<:>10||[[Cool Cat]]||<:>3:26||<:>Freddie Mercury&John Deacon||<:>|| ||<:>11||'''[[Under Pressure]]'''||<:>4:02||<:>Queen & David Bowie||<:>듀엣 싱글[* 앨범의 선행 싱글 개념이 아니라 콜라보레이션 싱글로 발표되었고, 뒤늦게 발매된 정규 앨범의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5 01. Staying Power}}}''' ||작곡가||[[프레디 머큐리]]|| ||러닝 타임||4:10|| [youtube(LRfgNSCokmE)] 자세한 내용은 [[Staying Power|항목 참조]]. ---- '''{{{+5 02. [[Dancer(퀸)|Dancer]]}}}''' ||작곡가||[[브라이언 메이]]|| ||러닝 타임||3:46|| [youtube(dZ-hNCUthiU)] 자세한 내용은 [[Dancer(퀸)|항목 참조]]. ---- '''{{{+5 03. [[Back Chat]]}}}''' ||작곡가||[[존 디콘]]|| ||러닝 타임||4:32|| [youtube(y6QGP0OUaV4)] 자세한 내용은 [[Back Chat|항목 참조]]. ---- '''{{{+5 04. [[Body Language]]}}}''' ||작곡가||프레디 머큐리|| ||러닝 타임||4:29|| [youtube(p2EDkv_dyeI)] 자세한 내용은 [[Body Language|항목 참조]]. ---- '''{{{+5 05. [[Action This Day]]}}}''' ||작곡가||[[로저 테일러]]|| ||러닝 타임||3:33|| [youtube(LHt5hxYVZac)] 자세한 내용은 [[Action This Day|항목 참조]]. ---- '''{{{+5 06. [[Put Out The Fire]]}}}''' ||작곡가||브라이언 메이|| ||러닝 타임||3:15|| [youtube(wN9lfb0rmpc)] 자세한 내용은 [[Put Out The Fire|항목 참조]]. ---- '''{{{+5 07. [[Life Is Real (Song For Lennon)]]}}}''' ||작곡가||프레디 머큐리|| ||러닝 타임||3:39|| [youtube(wl20NGS3VF8)] 자세한 내용은 [[Life Is Real (Song For Lennon)|항목 참조]]. ---- '''{{{+5 08. [[Calling All Girls]]}}}''' ||작곡가||로저 테일러|| ||러닝 타임||3:53|| [youtube(2TnjmIMyG1M)] 자세한 내용은 [[Calling All Girls|항목 참조]]. ---- '''{{{+5 09. [[Las Palabras De Amor (The Words Of Love)]]}}}''' ||작곡가||브라이언 메이|| ||러닝 타임||4:26|| [youtube(qaeKSQUdBE4)] 자세한 내용은 [[Las Palabras De Amor (The Words Of Love)|항목 참조]]. ---- '''{{{+5 10. [[Cool Cat]]}}}''' ||작곡가||프레디 머큐리, 존 디콘|| ||러닝 타임||3:26|| [youtube(kToCuYfkGI4)] 자세한 내용은 [[Cool Cat|항목 참조]]. ---- '''{{{+5 11. [[Under Pressure]]}}}''' ||작곡가||퀸, [[데이비드 보위]]|| ||러닝 타임||4:02|| [youtube(a01QQZyl-_I)] 자세한 내용은 [[Under Pressure|항목 참조]]. == 여담 == * 프레디 머큐리의 미성을 들을수 있는 80년대 마지막 앨범이다.[* 이후로 6년뒤, 13집 앨범 [[The Miracle]] 녹음에서야 담배를 끊고 70년대 목소리보다 더 카랑카랑하게 바뀐다.]이 앨범에서 밴드의 첫번째 전성기가 끝나듯 프레디의 가창력 전성기도 끝이난다. 전성기 때의 가성과[* Cool Cat, Under Pressure]진성[* Dancer, Back Chat] 모두 들을수 있는 앨범. * Under Pressure를 제외하고 이 앨범에 수록되어 싱글로 발매된 Body Language,[* UK차트 25위] Las Palabras De Amor[* UK차트 17위]는 [[Greatest Hits II]]에 수록되지 않았다. 다만 Las Palabras De Amor는 팬들 사이에서 인기가 좋아서 후에 [[Greatest Hits III]]에 수록됐다. * 이래저래 흥행이나 평론가들 사이에서는 평가가 좋지 않았지만 '''대중음악계를 논할 때 절대 빼놓을 수 없는 전설적인 팝펑크 앨범인 [[Thriller]]를 발매하는데 마이클 잭슨이 이 앨범에 많은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프레디와 친분이 깊었던 마이클이 실제로 이 앨범에 공동작곡한 곡을 넣을 생각이었으나 서로가 세계구급 유명 스타였다보니 스케줄 조정에 실패해 아쉽게도 작업을 마무리하지는 못했다.][[https://en.wikipedia.org/wiki/Hot_Space#Reception|출처]] 때문에 일부 팬들은 앨범 자체는 훌륭하지만 디스코하고는 거리가 매우 먼 [[퀸(밴드)|퀸]]의 앨범이어서 망했던 것이라는 의견을 내기도 한다. * 앨범 커버 디자인은 [[비틀즈]]의 [[Let It Be]] 앨범 커버에 대한 [[오마주]]이다. 참고로 앨범 자켓은 프레디의 작품이다.[* 알만한 사람들은 알겠지만 프레디는 미대출신이다.] * 그리고 2000년대 이후에 나온 앨범들 중 이 Hot Space 앨범 커버와 비슷한 느낌의 앨범 커버가 있는데, 바로 줄리안 오피가 제작한 [[블러]]의 《Blur: The Best Of》 앨범 커버가 그것이다. ||[[파일:컴필2.jpg|width=50%]]|| * 과거 OCN 테마곡이자 [[현대증권]] 광고로 매우 유명한 가 이 앨범 수록곡이며, [[존 레논]] 추모곡인 도 담겨 있다. 후에 Made in Heaven에 수록되는 4초 트랙인 Yeah도 이 앨범 수록곡인 Action this Day에서 샘플링 한것이다. [[분류:1982년 음반]][[분류:퀸/음반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