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In Rainbows)]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7169)] ||<#000><-2> '''{{{+1 {{{#F6EC5A Ho}}}{{{#447EB8 us}}}{{{#F26635 e }}}{{{#3F9C4B of }}}{{{#EAB334 C}}}{{{#EB2730 ar}}}{{{#A2DAEA d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Nng0aSsq_XE, width=100%, height=200)]}}} || || '''{{{#F6EC5A 앨범 발매일}}}''' ||[[2007년]] [[10월 10일]] || || '''{{{#447EB8 녹음일}}}''' ||[[2005년]] [[5월]] - [[2007년]] [[6월]] || || '''{{{#F26635 장르}}}''' ||[[아트 팝]], [[아트 록]] || || '''{{{#3F9C4B 러닝 타임}}}''' ||5:28 || || '''{{{#EAB334 프로듀서}}}''' ||나이젤 고드리치 || || '''{{{#EB2730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9em" [[In Rainbows|'''{{{#F6EC5A In }}} {{{#447EB8 Ra}}}{{{#F26635 in}}}{{{#3F9C4B b}}}{{{#EAB334 o}}}{{{#EB2730 w}}}{{{#A2DAEA s}}}''']]}}} || || '''{{{#A2DAEA 레이블}}}''' ||[[파일:1200px-XL_Recordings_Logo.svg.png|width=28]] [[XL 레코딩스]]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영국]]),, || [목차] [clearfix] == 개요 == ||<#000>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8nTFjVm9sTQ,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rH1QErTVvhE, height=200)]}}} || || '''뮤직 비디오''' || '''From the Basement 버전''' || ||<#000>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tWnoO2cvm8M,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BGVTwcGB7zk, height=200)]}}} || || '''Bonnaroo 2006 라이브''' || '''2018년 캐나다 라이브''' || 2007년 발표된 [[라디오헤드]]의 7집 [[In Rainbows]]의 여덟 번째 트랙. 제목은 직역하자면 카드로 만든 집이란 뜻이며, [[사상누각|위태로운 상황이나 불안정한 계획을 의미하는 관용어]]이다. 부적절한 성적인 관계의 뉘앙스가 있는 노래로, 연애 중인 여자를 사랑하는 남자의 이야기이다. 열쇠 파티에 대한 언급도 있는데, 이 파티에서 성생활이 자유분방한 커플들은 모든 여자들이 열쇠를 그릇에 넣고, 남자들은 열쇠를 뒤져서 하나를 고른 다음, 그들이 가지고 온 열쇠를 넣은 여자와 함께 집으로 간다. == 가사 == ||<#000000> ---- '''{{{+2 {{{#F6EC5A Ho}}}{{{#447EB8 us}}}{{{#F26635 e }}}{{{#3F9C4B of }}}{{{#EAB334 C}}}{{{#EB2730 ar}}}{{{#A2DAEA ds}}}}}}''' ---- I don't wanna be your friend 네 친구가 되기 싫어 I just wanna be your lover 그저 네 연인이 되고 싶어 No matter how it ends 어떻게 끝날지는 상관 없이 No matter how it starts 어떻게 시작할지도 상관 없이 Forget about your house of cards 네 불안한 삶은 잊어버려 And I'll do mine 그럼 나도 내 걸 잊을게 Forget about your house of cards 네 불안한 삶은 잊어버려 And I'll do mine 그럼 나도 내 걸 잊을게 And fall off the table 그리고 정신이 나가서 Get swept under 아래에 묻어 놔 Denial, denial 부정, 부정 The infrastructure will collapse 기반은 무너지게 될 거야 From voltage spikes 치솟는 전기 때문에 Throw your keys in the bowl 열쇠를 그릇에 던져 넣고 Kiss your husband 'goodnight' 네 남편에게 굿나잇 키스를 해 And forget about your house of cards 그리고 네 불안한 삶은 잊어버려 And I'll do mine 그럼 나도 내 걸 잊을게 Forget about your house of cards 네 불안한 삶은 잊어버려 And I'll do mine 그럼 나도 내 걸 잊을게 Fall off the table 정신이 나가서 Get swept under 아래에 묻어 놔 Denial, denial 부정, 부정 Denial, denial 부정, 부정 (Your ears should be burning) (네 귀가 간지러울 텐데) Denial, denial 부정, 부정 (Your ears should be burning) (네 귀가 간지러울 텐데) ---- [[라디오헤드|[[파일:Radiohead Cyan.png|height=30]]]] || == 여담 == * 뮤직비디오에 나오는 영상은 빛으로 찍은 카메라가 아니라 박쥐처럼 지형을 스캔하고 레이저로 거리를 측정해 형태를 만든 영상이다.[[https://youtu.be/cyQoTGdQywY|뮤직 비디오 제작 영상]] * 6번의 녹음을 거쳤는데 지루한 과정이였다고 회고한다. * 인터뷰([[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tock_new&no=6509471|#]])에서 설명은 이러하다. >House of Cards를 언급한 건 참 재밌네요. 버전들이 많았거든요. 조니가 베이스 리프를 연주해서 [[R.E.M.]]처럼 들리게 한 것도 있었어요. 그치만 필이랑 톰이 그걸 다시 수정해서 지금의 그 멋있는 리듬이 나온 거예요. 그렇지만 그 다음은 힘들었는데, 녹음을 하기 위해 1년을 기다려야 했거든요. 2006년 보나루에서 우리가 8천 명 앞에서 그 곡을 연주한 영상을 보고 있었는데 아주 좋았어요. 사람들이 다 공중에 야광봉을 던졌거든요. 그때 테네시에서 한밤중에 있던 사람들은 미쳐 있었어요. 그 정도까지 되는 건 어려워요. 그 정신 말이예요. 하지만 그게 모두가 하고 싶어하는 게 돼야 하죠. 근데 그건 졸라 어려워요. >---- >[[콜린 그린우드]]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tock_new&no=6509471|출처]]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In Rainbows, version=262)] [[분류:In Rainbows]][[분류:라디오헤드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