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1 I Am What I Am}}}}}}'''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mmaimwim.png|width=100%]]}}} || || '''{{{#white 발매일}}}''' || 2022년 3월 14일 || || '''{{{#white 장르}}}''' || [[R&B]], [[소울]], [[팝]] || || '''{{{#white 수록 음반}}}''' || I Am Emma || || '''{{{#white 작곡}}}''' || 디노 메단오드지치, [[엠마 무스카트]][br]줄리 아가알드, 스티네 킹크 || || '''{{{#white 작사}}}''' || 디노 메단오드지치, [[엠마 무스카트]][br]줄리 아가알드, 스티네 킹크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탈리아 및 몰타의 가수 [[엠마 무스카트]]의 곡. 특이사항으로 스튜디오 버전의 경우는 작곡 및 작사에 관여한 인물 중 하나인 '''디노 메단오드지치'''의 부인이 백업 보컬을 맡았다. == 성적 == == 영상 == === 뮤직비디오 === ||<#A5393D> {{{#white '''뮤직비디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f-fks-Pj-8)]}}}|| === 유로비전 === ||<#A5393D> {{{#white '''세미 파이널'''}}}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FCFM5qtvms)]}}}|| == 가사 == || 원어 || 한국어 번역 || ||Every time I fall down As soon as I hit the ground Remind me who I am And I get back up again Getting up, getting up, yeah This is my master plan I’m gonna take a stand Take it or leave it I am what I am I believe that I can I’m gonna take command Take it or leave it I am what I am I am what I am I am what I am Bending backwards trying to fit in I’ll make them understand, yeah Take it or leave it I am what I am Devils inside my head (yeah) Late at night in my bed (yeah) It’s time I shut you up, yeah ‘Cause I think I’ve had enough I’ve had enough, had enough, yeah This is my master plan I’m gonna take a stand Take it or leave it I am what I am I believe that I can I’m gonna take command Take it or leave it I am what I am I am what I am I am what I am Bending backwards trying to fit in I’ll make them understand, yeah Take it or leave it I am what I am (ooh, yeah) Oh, yeah Oh-ooh I am what I am I am what I am This is my master plan I’m gonna take a stand Take it or leave it I am what I am I believe that I can I’m gonna take command Take it or leave it I am what I am I am what I am I am what I am Bending backwards trying to fit in I’ll make them understand, yeah Take it or leave it I am what I am ||내가 쓰러질 때마다 내가 바닥을 치는 즉시 내가 누군지 기억을 해내 그리고 다시 되돌아오지 일어나, 일어나, 예 이게 내 마스터 플랜이야 난 입장을 밝힐거야 싫건 말건 나는 나야 난 내가 할수 있다고 믿어 내가 지휘할 거야 싫건 말건 나는 나야 나는 나야 나는 나야 사람들과 어울리려고 노력하고 내가 그들을 이해시킬거야, 예 싫건 말건 나는 나야 내 머릿속의 악마 (예) 늦은 밤 내 침대 속에서 (예) 내가 널 닥치게 할 때야, 예 왜냐면 난 이미 충분히 했다고 생각하니까 충분히 했어, 충분히 했어, 예 이게 내 마스터 플랜이야 난 입장을 밝힐거야 싫건 말건 나는 나야 난 내가 할수 있다고 믿어 내가 지휘할 거야 싫건 말건 나는 나야 나는 나야 나는 나야 사람들과 어울리려고 노력하고 내가 그들을 이해시킬거야, 예 싫으면 말던가 나는 나야 (우, 예) 오, 예 오-오 나는 나야 나는 나야 이게 내 마스터 플랜이야 난 입장을 밝힐거야 싫건 말건 나는 나야 난 내가 할수 있다고 믿어 내가 지휘할 거야 싫건 말건 나는 나야 나는 나야 나는 나야 사람들과 어울리려고 노력하고 내가 그들을 이해시킬거야, 예 싫으면 말던가 나는 나야 ||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2022년|2022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 [include(틀: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가자/2022)] [[파일:malta2022euro.jpg]]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2022년|2022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참가했다. 원래는 자국 예선에서 공연했던 '''Out of Sight'''를 유로비전에서 공연할 예정이었으나 돌연 엠마가 다른 곡을 유로비전에서 공연할 것이라는 [[루머]]가 퍼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 루머는 사실이 되어서 '''I Am What I Am'''을 공연하는 것으로 되었다. 곡 자체가 공개되었을때도 어느정도 우려사항이 있었는데 너무 평범한 곡이라는 점이 지적받았다. 즉, 너무 일반적인 팝송 분위기의 곡이라 유로비전에서 사람들에게 뚜렷한 인상을 남길 수 있을 지에 대한 우려를 많이 받았고, 이는 세미파이널에서 여과없이 드러났다. 이러한 탓에 곡 공개 당시부터 이 곡이 세미파이널을 통과할거라는 의견은 거의 없었다. 공연 자체에는 스튜디오 버전에 비해서 한참 못부르긴 했지만 그래도 크게 문제되는 부분이 없었다. 하지만 무대에 크게 인상적인 장치가 없었다는 것도 팬들에게 아쉬운 점으로 꼽힌다. 예를들어 같은 년도의 아르메니아의 [[로사 린]]의 [[Snap]]의 경우도 일반적인 팝 분위기라는 이유로 우려를 샀지만 독창적인 무대장치와 좋은 공연 순서로 인해 5위로 안정적으로 세미파이널을 통과했다. 또한 일부에서는 국가예선에서 사용한 곡 대신 새로운 곡을 들고온 점에서 이미 공정하지 못하다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특히 원래 국가예선에서 사용했던 곡도 일반적인 팝이었는데 그걸 또다른 일반적인 팝으로 교체한 시점에서 전략적인 선택이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없는 듯하다. 그러한 탓인지 세미파이널 공연 영상들이 공개된 이후 영상에 달린 싫어요 비율이 1위였다. [[분류:2022년 노래]][[분류: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참가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