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래퍼, rd1=Ice-T)] [include(틀:인터시티익스프레스)] ||<-3> [[파일:도이치반 로고.svg|width=30]] | [[파일:오스트리아 연방 철도 로고.svg|width=40]][br]{{{#DD0000 {{{+1 '''독일철도 411/415형 전동차''' }}}}}}[br]{{{#cc082a {{{+1 '''오스트리아 연방철도 4011형 전동차''' }}}}}}[br]{{{#DD0000 DBAG Baureihe 411/415 EMU}}}[br]{{{#cc082a ÖBB Baureihe 4011 EMU}}}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ICE-T_Neigung.jpg|width=100%]]}}} || ||<-3> [[도이치반|독일철도]] 411[* 7량 편성.]/415[* 5량 편성.]형, [[ÖBB]] 4011형[br]DBAG Baureihe 411/415, [[ÖBB]] Baureihe 4011 || || 열차 형식 ||<-2> [[고속열차]], [[틸팅열차]] || || 구동 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제작 회사 ||<-2> [[지멘스|[[파일:Siemens_AG_logo.svg|width=120]]]][br][[알스톰|[[파일:알스톰 로고.svg|width=120]]]][* 틸팅 기술을 위한 [[펜돌리노]]의 대차를 공급했다. ICE T 의 대차를 보면 [[알스톰]] 마크가 찍혀있는게 보인다.] || || 디자인 ||<-2> [[파일:N+PIDesign.jpg|width=100]] || || 도입 연도 ||<-2> 1999년 || || '''소유 기관''' ||<-2><|2> [[독일철도|[[파일:도이치반 로고.svg|width=80]]]] || || '''운영 기관''' || ||<-3> {{{#fff '''운행 노선'''}}} || ||<-3>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13'''}}}}}}}}} 베를린-프랑크푸르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14'''}}}}}}}}} 베를린-쾰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15'''}}}}}}}}} 빈츠-프랑크푸르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18'''}}}}}}}}} 함부르크-뮌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24'''}}}}}}}}} 함부르크-슈바르츠아흐/베르히테스가덴/오버스트도르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25'''}}}}}}}}} 뤼벡/함부르크/올덴부르크-뮌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26'''}}}}}}}}} 빈츠/함부르크/베스터란트-카를스루에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28'''}}}}}}}}} 빈츠/함부르크-뮌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29'''}}}}}}}}} 함부르크-뮌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31'''}}}}}}}}} 킬/함부르크-파사우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32'''}}}}}}}}} 슈투트가르트-노르트아이히몰레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50'''}}}}}}}}} 드레스덴-비스바덴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60'''}}}}}}}}} 프랑크푸르트-뮌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91'''}}}}}}}}} 도르트문트-빈, 함부르크-빈 ||}}}}}}}}} || ||<-3> {{{#fff '''차량 제원'''}}} || ||<-3>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궤간 || 1,435 mm [[표준궤]] || || 영업 속도 || 230 km/h || || 최고 속도 || 250 km/h || || 신호 방식 || PZB90, Sifa, [[LZB]] || || 급전 방식 || 15 kV AC || || 제어 방식 || [[VVVF]]제어 || || 동력 장치 || 교류 유도전동기 || || 편성 대수 || 7량 ||}}}}}}}}} || [clearfix] [목차] == 개요 == [[지멘스]]에서 제작하고 [[도이치반|독일철도]]와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가 운영하는 [[틸팅열차|틸팅 전동차]]. 일단 모델명은 지멘스 벤투리오라고 되어 있지만 따지고 보면 [[피아트]]의 [[펜돌리노]]의 방계이다. 총 71편성이 재적되어있다. [[ICE 2]]를 데뷔시키고 나서 전철화된 기존선에서의 고속 서비스를 위해 [[인터시티(유럽)|IC]] T의 개발을 시작했다. 이 T는 [[동력분산식]] 차량을 뜻하는 Triebzug에서 온 것이지, 절대로 [[틸팅열차]]를 뜻하는 Tilting train에서 온 게 아니다. 그리고 실제로 ICE T가 데뷔한 1999년부터 [[ICE 3]]가 데뷔한 2000년까지 [[동력분산식]] ICE는 이 모델이 유일했다. 어쨌든 개발을 시작하던 당시에는 [[독일]] 철도 [[봉바르디에|회]][[지멘스|사]]들의 틸팅기술이 부족했기 때문에 [[외계인 고문|외계인을 고문]]하는 대신 펜돌리노로 이름을 날리던 [[피아트]]를 인수한 [[알스톰]]을 끌어들여 개발을 시작했다. 5량 1편성과 7량 1편성의 두 종류로 운행하며 중련이 가능해 수요가 많고 유효장만 나와주면 21량 1편성(...)같은 미친 편성도 가능하다. 5량짜리는 415형, 7량짜리는 411형으로 분류된다.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에서 운영하는 차량의 차번은 ÖBB 4011이고, 7량 1편성이다. [[알프스 산맥]]을 넘나드는 펜돌리노의 자손답게 산악 지형에 강해서 최대 4%의 급경사도 오를 수 있다. 4%면 40‰인데 이 정도면 일반 철도가 오를 수 있는 경사의 한계다. 우연인지 아닌지 ICE T의 개발과 제작에 참여한 회사들은 모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전후부 차량을 제작한 DWA는 [[봄바르디어]]로, 객차를 제작한 DUEWAG은 [[지멘스]]로, 펜돌리노라는 열차를 처음 개발했던 피아트의 철도차량 제작부문은 [[알스톰]]으로... 해외 운행은 오스트리아에서밖에 안 한다. 기존 415(5량) 중 일부 편성은 추가 팬터그래프로 스위스 운행을 하였지만 이 계통은 ICE T 계열의 리뉴얼 혹은 7량화&5량화로 인하여 전원 팬터그래프가 철거되고 스위스는 노장인 ICE 1이 떠맡았다. 이 쪽은 최대 시속이 200km/h대로 느린 게 특징인데, 이건 사실 개발 역사에 숨겨진 대표적인 흑역사(...).99년 개발 당시엔 '''IC 동차형 신차''', 즉 이쪽 계획 자체가 '''인터시티였는데 둔갑을 시켜버린 거다(!!!)'''. 이쪽의 태생적인 속도 문제와 차량 수 문제로 쾰른-프랑크푸르트 운행은 커녕 뮌헨발 베를린 발이 수요가 제일 많은 ICE T 운행 노선이다.(...) 그나마 다행히도(???) '''틸팅'''이란 아이덴티티로 최초로 해외 수출([[오스트리아 연방철도|오스트리아 철도 OBB]])를 이루었고 오스트리아와 스위스 같은 산악 구간의 운행을 뛰고 있다. 특히 오스트리아 구간은 기존선 구간이니 굳이 ICE 3 같은 고속열차를 때려 박을 이유도 없으니 느긋하게 ICE T를 투입시킨다.[* 오스트리아는 기존선 구간이라도 주요 간선은 ICE T, [[레일젯]]이 최대 230km/h로 운행가능하다. 한국의 [[경강선]] [[강릉선 KTX|원주 - 강릉]] 구간 정도의 준고속선 규격.] 수요가 안되면 중련을 시키면 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DB이기에 잘려나가지 않는다. 5량 편성은 독일 내에서만 운행하며, 독일의 기존선 구간의 ICE 투입 열차 중 하나로 기존선 승객의 구세주(?)중 하나다. [[ICE 3]]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전두부 형상이 달라 구분이 가능하다. 약간 날렵한 쪽이 ICE 3이고 뭉툭한 쪽이 ICE T다. [[전조등]] 모양으로도 구분이 가능한데, ICE T 쪽이 두 [[전조등]] 사이 간격이 좀 더 넓다. 빨간 차트라인의 경우 ICE 3는 살짝 아래로 구부러지며 반대편 치트라인과 전면부에서 이어지지만 ICE T는 전조등 바로 뒷부분에서 그 선이 끊어져 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ICE_3-T_similar-different.jpg|width=40%]] == 둘러보기 == [include(틀:독일철도의 전동차)] [include(틀:지멘스의 철도차량)] [include(틀:N+P Innovation Design의 철도 차량)] [각주] [[분류:독일의 고속철도 차량]][[분류:틸팅열차]][[분류:전동차]][[분류:1999년 출시]][[분류:1999년 단종]][[분류:인터시티익스프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