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인터시티익스프레스)] ||<-2> [[파일:도이치반 로고.svg|width=20]] {{{#808080 '''Advanced Train Lab'''}}}[br]{{{#DD0000 {{{+1 '''독일철도 605형 디젤동차''' }}}}}}[br]{{{#DD0000 DBAG Baureihe 605 DMU}}}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BICETDAdvancedtrainLab-IMAR.jpg|width=100%]]}}} || ||<-2> [[도이치반|독일철도]] 605형 고급 실험열차 || || '''열차 형식''' || [[고속열차]], [[틸팅열차]] || || '''구동 방식''' || [[디젤동차|디젤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제작 회사''' ||<-2> [[지멘스|[[파일:Siemens_AG_logo.svg|width=120]]]][br][[알스톰|[[파일:알스톰 로고.svg|width=120]]]][* 틸팅 기술을 위한 [[펜돌리노]]의 대차를 공급했다. ICE TD 의 대차를 보면 [[알스톰]] 마크가 찍혀있는게 보인다.] || || '''디자인''' ||<-2> [[파일:N+PIDesign.jpg|width=100]] || || '''도입 연도''' || 2000년 ~ 2007년 || || '''소유 기관''' || [[독일철도|[[파일:도이치반 로고.svg|width=80]]]] || || '''운영 기관''' || [[독일철도|[[파일:도이치반 로고.svg|width=20]]]] [[지멘스|[[파일:Siemens_AG_logo.svg|width=60]]]] [[파일:stadler logo.jpg|width=100]][br][[파일:DSD logo.png|width=60]] [[파일:DLR logo.png|width=20]] [[파일:Knorr Bremse logo.png|width=80]] [[파일:ZF logo.png|width=20]][br][[파일:Akzonobel.gif|width=70]] [[파일:sika.png|width=20]] || || '''궤간''' || 1,435 mm [[표준궤]] || ||<-2> {{{#fff '''차량 제원'''}}} || ||<-2>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장''' || 26.675m || || '''전고''' || 4.2m || || '''전폭''' || 2.84m || || '''무게''' || 54.75t || || '''바퀴당 레일 응력''' || 15.5t || || '''회전 길이'''[* 쉽게 말해 한 차량이 곡선 철길에서 얼마나 회전을 할수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로써 차량길이에 [math(sin\, \theta)]를 곱해주면 된다. ] || 19m || || '''차륜 배치''' || 2′Bo′+Bo′2′+2'Bo'+Bo′2′ || || '''영업 속도''' || 200 km/h || || '''최고 속도''' || 220 km/h || || '''신호 방식''' || PZB90, Sifa, [[LZB]], ZUB 262, ATC || || '''출력''' || 2240kW(3000마력) || || '''동력 장치''' || [[커민스|Cummins]] QSK-19 || || '''편성 대수''' || 4량 ||}}}}}}}}} || [clearfix] [목차] == 개요 == {{{+1 [[도이치반|DBAG]] Baureihe 605}}}[* 독일의 열차는 전기기관차의 경우 100번대를, 디젤기관차의 경우 200번대를, 전기동차의 경우 400번대를, 디젤동차의 경우에는 600번대를 부여받는다.] ICE-TD는 독일의 디젤기관 고속열차이자 시험용 열차이다. == 개발&운용 == [[ICE 1]]과 [[ICE 2]]가 성공하자 [[도이치반|독일철도]]는 1994년부터 새로운 ICE의 개발을 시작한다. 그 결과의 산물이 바로 [[ICE T]]. [[ICE T]]의 개발 이후 독일철도는 [[ICE T]]의 플랫폼을 이용해 [[디젤동차|DMU]] 차량을 만들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바로 지금의 ICE TD이다. 1996년 제작에 들어갔고, 20기가 생산되어 2001년부터 운전에 들어갔다. 영업 구간은 처음에는 [[드레스덴]]과 [[뮌헨]]을 이었고, 나중에는 [[뮌헨]]과 [[취리히]]에도 영업을 시작했다. 그렇게 잘 뛰는 줄 알았으나... 대차의 기술적 문제로 인하여 1년 정도 운행하다 운행 중단을 맞았다. 그러다가 2006년 [[2006 FIFA 월드컵 독일|독일 월드컵]]에 맞춰 다시 운행을 재개했고, 2007년 말에는 [[독일]]과 [[덴마크]]간의 서비스를 위해 [[베를린]]에서 [[함부르크]]를 거쳐 열차페리에 태워가며 [[코펜하겐]]까지 운행을 시작했다. [[도이치반|독일철도]]가 덴마크 철도회사인 DSB에 ICE TD의 임대를 제안했고 받아들여 성사된 결과물이었다. ICE TD는 기존선에서의 ICE 서비스를 위해 도입한 열차였으나 생각보다 호응이 좋지 못했다. 그래서인지 추가 발주는 되지 않았고, 2016년 말 DSB(덴마크국영철도)에서 유지 비용 등을 문제 삼으며 13편성의 ICE TD 임대 계약의 해지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도이치반|독일철도]] 역시 유지비용 문제에 동감하여 더 이상의 중검수를 중단했고 [[함부르크]]에서 [[코펜하겐]]까지 달리는 1개의 편성을 제외하고 전부 퇴역시키기로 결정했다. 이 최후의 1편성은 운용 말기에는 아예 ICE 도색을 벗기고 덴마크 국철 인터시티 도색[* IC4 디젤동차와 비슷한 도색이었다.]으로 운행하기도 했다. 이 마지막 편성은 2017년 10월에 퇴역했으며 16년만에 전량 퇴역하였다. 퇴역한 차량의 대다수는 주요부품이 취거된 후 빈 껍데기만 남은 채 [[하겐]], [[레버쿠젠]] 등지에서 방치되다가, 결국 [[https://www.deviantart.com/shenanigan87/art/ICE-TD-Panorama-850651005|현지 고철사업소에서]] [[https://abload.de/img/8stv81tdjtl.jpg|해체되었다.]] 영업운전에서는 물러났지만 한 편성이 'Advanced Trainlab'[* 한글로 직역하면 고급 실험 차량이다.]으로 개조되어 운용되고 있다. 외관상 ICE 특유의 붉은 띠가 아닌 은색 띠 도색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 특징 == 형태는 ICE T와 같으나 칸이 4량밖에 없으며(식당칸도 없다) 최고속도도 200km/h로 줄어들었다. 엔진은 750마력급 [[https://www.youtube.com/watch?v=eQUJUK1gumo|Cummins QSK19]] 로, 대형[[트럭]] [[엔진]]을 갖다가 개조해 붙였다. 덕분에 아이들링 소리가 아주 선명하다.[* QSK19는 배기량 19리터 엔진이라 일반 트럭은 아니고 [[로드 트레인]]급 엔진이다. 실제로 [[켄워스 C510]]에서도 QSK19의 파생형을 쓴다.] [[ICE T]]와의 구분 방법은 편성당 차량 수와 특유의 아이들링 소음도 있고, 천장 부분에 [[팬터그래프]]가 아니라 뭔가 두꺼운게 붙어있는지 보면 된다. 두꺼운 장치가 붙어있다면 ICE TD다. 2000년 1월 13일에는 '''222km/h''' 의 기록을 세웠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지멘스의 철도차량)] [include(틀:N+P Innovation Design의 철도 차량)] [[분류:독일의 고속철도 차량]][[분류:디젤동차]][[분류:틸팅열차]][[분류:인터시티익스프레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