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소련 기갑차량)]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ubinka_IS-3M.jpg|width=100%]]}}} || || '''ИС-3 (Объект 703)''' ||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AbL82GoNlA)]}}}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hOVdtA75r8)]}}} || || '''IS-3 기동 영상''' || [[소련]]의 초대 서기장 [[이오시프 스탈린]]의 이름을 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개발되어 운용된 소련의 [[중전차]]. [[키릴 문자]]로는 '''ИС-3'''로, [[라틴 문자]]로는 '''IS-3''' 또는 '''JS-3'''로 표기한다. == 제원 == ||
<-2> '''소련 육군''' || ||<-2> '''IS-3 중(重)전차''' || ||<-2> '''개발 및 생산''' || || '''개발 설계국''' ||'''첼랴빈스크 제2 설계국(SKB-2)'''[* 당시 첼랴빈스크의 니콜라이 듀호프 설계국과 레닌그라드의 키로프 설계국이 임시로 합병되었다가 후에 분리된다. 키로프 설계국에서 개발한 것의 설계안의 넘버링이 첼랴빈스크의 것인 것도 넘버링을 공유했기 때문이다.] || || '''생산공장''' ||[[첼랴빈스크 트랙터 공장]](ChTZ) || || '''개발연도''' ||1943~45년 || || '''생산연도''' ||1945~46년 || || '''운용연도''' ||'''1945~93년''' || || '''생산댓수''' ||'''약 3,000 여 대''' || || '''운용국가''' ||[[소련]]/[[러시아]], [[이집트]][* [[소련]]이 유일하게 '''IS-3M'''을 수출한 국가이다. IS-3도 아닌, IS-3M을 사용하다가 외부 보조 연료 탱크에 [[이스라엘군]]이 운용하던 [[M48 패튼]]의 백린철갑탄을 맞고서 유폭하는 등의 손실로 약 100여 대나 말아먹는 등 IS-3의 이미지를 크게 떨어뜨렸다.] || ||<-2> '''제원''' || || '''전장''' ||6.9/9.85m (차체/포신 포함 시) || || '''전폭''' ||3.15m || || '''전고''' ||2.45m || || '''전비 중량''' ||46.5t || || '''탑승 인원''' ||4명 (전차장, 조종수, 포수, 탄약수) || ||<-2> '''공격력''' || || '''주무장''' ||48구경장 122mm D-25T 강선포 1문 (28발) || || '''부무장''' ||12.7mm [[DShK]] 대공기관총 1정 (300발)[* 225발은 철갑탄, 75발은 예광탄. 1개의 50발 탄통은 기관총 장전, 나머지 50발 탄통 5개가 적재된다. 총합 6개.] [br]7.62mm [[덱탸료프 전차기관총|DTM 동축기관총]] 1정 (1,008발)[* 63발 드럼탄창 16개.] || || '''승무원 무장''' ||7.62mm [[PPS-43]] 기관단총 2정 적재[* IS-3M부터는 AKS-47이나 AKMS로 변경된다.] [br][[F1 수류탄|F-1]] 또는 [[RG-42]] 수류탄 (25발) || ||<-2> '''기동력''' || || '''엔진''' ||하리코프 모델 [[V-2 엔진|V-2-ISS(V-2-IS-3)]] 12기통 4행정 액랭식 디젤 엔진 || || '''최고 출력''' ||520hp || || '''출력비''' ||11.2hp/t || || '''현가 장치''' ||[[토션 바]] || || '''최고 속도''' ||40/17km/h(평지/야지 주행 시) || || '''항속 거리''' ||185/120km(평지/야지 주행 시) || ||<-2> '''방어력''' || || '''장갑''' ||RHA과 CHA(주조 장갑) || || '''차체 전면 상단 장갑 두께/경사각도''' ||110mm/72° || || '''차체 전면 중단 장갑 두께/경사각도''' ||110mm/55°+43°(이중 경사 장갑) || || '''차체 전면 하단 장갑 두께/경사각도''' ||110mm/63° || || '''차체 측면 상단 장갑 두께 / 경사각도''' ||90mm / 60°+30°(이중 경사 장갑) || || '''차체 측면 하단 장갑 두께/경사각도''' ||90mm/0~60° || || '''차체 후면 상단 장갑 두께/경사각도''' ||60mm/48° || || '''차체 후면 하단 장갑 두께/경사각도''' ||60mm/41° || || '''차체 하단 장갑 두께''' ||20mm || || '''차체 상단 장갑 두께''' ||20mm || || '''포방패 장갑 두께''' ||250mm || || '''포탑 전면 장갑 두께''' ||110mm || || '''포탑 측면 장갑 두께/경사각도''' ||75~198mm/0~70° || || '''포탑 후면 장갑 두께/경사각도''' ||70~106mm/0~60° || || '''포탑 상단 장갑 두께/경사각도''' ||20mm/82~90° || == 개발사 == [[소련군]]은 [[IS-2]]에 채택된 122mm D-25T 전차포의 화력에서는 충분히 만족했으나 IS-2의 방어력은 충분히 만족하지 않았기 때문에 새로 개발된 중(重)전차이다. 당시 소련 중전차의 양대 거목이었던 니콜라이 듀호프와 [[조제프 코틴]]은 사실상 경쟁구도에 놓였다. 본디 이 두 사람은 같은 키로프 공장의 설계국 SKB-2에서 근무하던 직장 선후배 관계로, 1941년 독소전쟁의 발발로 키로프 공장이 첼랴빈스크로 이전병합되면서 첼랴빈스크 키로프 공장 소속이 되었다. 그러다 1942년 첼랴빈스크의 주요 전차 설계자들이 100호 시험공장으로 독립하면서 코틴이 이적하고, 듀호프는 첼랴빈스크 키로프 공장에 남아있던 잔존 SKB-2를 이끌게 되어 서로 갈라졌던 것이다. 두 공장은 처음에는 협업하여 [[KV-1S]]와 [[SU-152]] 등을 연이어 완성하였으나 코틴 설계진 주도로 개발된 [[IS-1]], [[IS-2]]의 개량형 전차에 대하여서는 상호대립적 관계가 되어 제각기 따로 설계안을 내놓았다. 그리하여 1944년 11월 코틴 설계진은 IS-2U라는 이름의 설계를 선보였고 듀호프 설계진은 1944년 여름부터 개발한 키로베츠 1(Kirovets-1)을 내놓았는데,[* 1944년 9월~10월 무렵에 ChTZ에서 시제차가 만들어졌다. 차체 전면 장갑은 양산형 IS-3와 달리 소련 중형전차들과 더 닮은 평범한 [[경사장갑]]으로 설계되었고, 이때부터 반구형 포탑 설계를 가졌다.] 이 경쟁에서 키로베츠 1이 승리하였으나 IS-2U의 독특한 쐐기형 장갑구조가 소련 군부의 눈길을 끌어서 최종적으로 키로베츠-1도 IS-2U와 동일한 전면 장갑구조를 채택하도록 주문되었다. 이 작업은 100호 공장과 깊은 연결이 있었던 48호 중앙 연구소에서 진행되었다. 이렇게 완성된 설계는 Object 703 일련번호를 부여받고 1945년부터 IS-3으로 양산에 들어갔다.[* 이후 IS-2U는 대중 기술공여 대상이 되어 중국으로 건너간다. 월드 오브 탱크의 110 전차의 정체가 바로 그것이다.] IS-3는 복잡한 쐐기형 전면 경사장갑[* 흔히 말하는 전면장갑의 어깨부분은 [[엘레판트|약점이 되거나]] [[티거 2|무게를 증가]]시키는 요인인데, 이를 해소할 수 있었다.]과 냉전시기 소련 전차의 기본이 되는 반구(班球)형 포탑과 [[공간장갑]] 등 신기술을 대거 도입하여 IS-2에 비해 0.5t 정도 밖에 무게가 증가하지 않았음에도 방어력이 훨씬 증가되었다. 기술적으로 짧게는 냉전시기 중(重)전차의 설계의 기본이 되었고, 길게는 냉전시기 소련군의 모든 전차 설계에 영향을 미친 전차이다. == 특징 == IS-2는 초기형의 경우 차체 전면의 조종수 관측창 해치[* 해치지만 T-34같이 탑승구는 아니고 조종수의 전방 시야 확보를 위해 여닫을 수 있는 관측창이다.]가 [[경사장갑]]을 활용한 T-34의 전면 해치와 달리 수직장갑에 가까운 구조였다. 이는 '나 여깄소' 라고 외치는 약점이기 때문에 1944년형 IS-2는 차체 전면 해치를 제거하고, 전면 장갑을 두꺼운 경사장갑 형태로 재설계하였다. 그러나 애매하게 무른 포탑장갑과 독일 중전차의 주포에 대한 전면장갑의 충분한 방호가 이뤄지지 않아 여전히 방어력에 한계가 있었다. 방어력을 강화하기 위해 IS-3에는 경사장갑 설계를 최대한 적극적으로 채용되었고, 적의 핀포인트 사격에 대응하기 위해 최대한 약점을 줄이도록 설계하였다. 그래서 차체높이가 매우 낮고, 포탑도 [[버섯]]의 갓처럼 둥근 모양을 지니게 되었다. 차체도 전면장갑이 뱃머리처럼 5각형[* 다만 이런 쐐기형 장갑이 소련의 전유물은 아니며 다른 나라도 이런 걸 생각 안한 것은 아니었다. [[영국]]에서 이미 1943년 당시 [[보병전차]] 설계안 [[A38 발리언트]]에 해당 설계가 적용된 적이 있다. 하지만 발리언트는 여러 문제로 시험주행부터 실패하면서 채택되지 못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쐐기형 경사장갑을 서방 세계에 알린건 IS-3가 된거나 마찬가지가 되었다.]으로 돌출하는 특유의 쐐기형 형상을 가짐으로써 전면공격은 물론이고 약간 측면에서 포탄을 맞아도 버틸 수 있게 하였다. 게다가 차체 측면에는 정식으로 공간장갑이 도입되어 측면방호력 상승을 도모했다. 그리고 개발 과정에서 2차대전기에 생산된 전차치고는 특이하게도 차체전면 기관총을 폐지하는 등 당시 기준으로 흔하지 않은 특징들도 생겼다. 한마디로 말해서 경사장갑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여러 약점을 제거함으로서 방어력에 올인한 상황이다. 그리고 IS-3는 중장갑과 122mm 포를 장비한 [[중전차]]임에도 불구하고 전작인 IS-2보다 불과 0.5~1톤이 증가한 46톤이라는 중량을 가진다. 이렇게 톤수가 증가하지 않은 이유는 기동력이 어느정도 유지되어야 했기 때문이다. 소련군에게 중전차는 적 방어선을 뚫는 돌파전차로서 목표달성을 위해 충분한 기동력을 가지고 있어야 했으며 나치 독일이 전쟁말기에 생산한 비교적 방어적인 목적이 강한 티거 2같은 중전차와는 달리 공세지향적인 성향의 IS-3는 교량 등을 충분히 이용하며 건너갈 수 있어야 했기 때문에 무작정 무게를 늘릴 수 없었다. 문제는 해당 중량이 독일군의 [[5호 전차 판터|판터]]와 비슷한 중전차 치고는 가벼운 중량이며,[* 다만 이거는 판터가 중형전차치고 너무 무거운 것도 있다.] 앞서 말했듯이 차체 높이가 낮은 등 전차의 크기 자체가 제한되었다. 하지만 실제론 오히려 IS-2보다 높이가 낮아졌을뿐, 내부공간은 IS-2보다는 훨씬 넓어졌다.[*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thunder&no=72524&exception_mode=recommend&page=2|워 썬더로 알아보는 소련 중전차 장전관련요소]]] 그러나 중량 문제는 서방이나 나치 독일 교리하에서 이 전차를 사용한다면 큰 문제일지 몰라도 정작 이 전차를 사용할 소련군의 교리상으로는 별 문제가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소련군에게 중전차란 어차피 적 방어선의 약점에 들이닥쳐서 구멍만 확실하게 뚫어놓고 나면 재보급도 할겸 다음 공격 부대를 위한 길도 비켜줄 겸 어차피 뒤로 빠져야 하는 전차이기 때문에 적 주력부대와 힘대 힘으로 맞부딪히는 용도의 전차는 아니므로 중량같은 문제는 큰 문제가 아니라고 판단했다. 이미 IS-2에서 교리에 부합하는 공격력과 기동력을 얻은 상태였고, IS-3에서는 방어력이 증대되는게 확실한 상황이었다. == 같은 명칭의 다른 전차 == === IS-3/IS-85BM/Object 244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ftr.wot-news.com/1303136283_tank-obekt-244.jpg|width=100%]]}}} || || '''Объект 244'''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IS-1)] IS-85에 85mm D-5T-BM (장포신 85mm포)를 장착한 모델이다. 이 포는 122mm에 비해 포구초속이 높았고 빠른 연사속도와 높은 명중률, 괜찮은 관통력을 가지고 있었으나 이런 특성은 독일 중전차에나 어울리는 포로서 방어선 돌파를 위한 화력을 중시하는 소련군에 있어서 불필요한 것이었다. 이외의 개량점은 전투실 위치가 약간 변경되어 무전기가 포탑 장착부에 위치했으며 더욱 효율적인 환기 장치가 설치되었다. 탄약 적재함과 광학 장치 위치도 변경되었다. 나머지 사양은 IS-85와 비슷하다. IS-122가 IS-2로 변경될때 이 모델도 IS-3로 변경된다. 화력이 122mm에 비해 약하고 실제 제작된 포가 포신에 문제가 있었기에 개발이 취소되고 IS-3의 네이밍은 설계안 703에게 넘어간다. == 파생형 == === 소련 === ==== 현대화 개수형 ==== ===== IS-3M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957605f8af659bedfff99a0151c27ad8a0243eee204f6bcbdce949dc848e2694.jpg|width=100%]]}}} || || '''ИС-3М''' || IS-2M과 비슷하게 1950~60년대에 IS-3를 대상으로 현대화 개량작업이 진행되었다. 사실 이미 1948년과 50년대 초반에 IS-3의 품질과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개수 작업들이 진행된 적은 있다.[* 이때는 생산 도중 발생한 용접장갑의 불량과 차체강성 문제, 변속기 내구성 등의 품질 문제를 위주로 보강하였다. 이후 실시된 현대화 개량 프로젝트와 달리 프로젝트에 별다른 새로운 명칭은 없었다고 한다.] 1950년대 후반~1960년대에 진행된 현대화 개량을 거친 차량들은 IS-3M으로 명명되었다. 차체 측면에는 신형 탈부착식 연료탱크와 공구상자를 겸비한 [[공간장갑]]을 더 추가하였고, [[T-10]]에 적용된 것과 유사한 신형 알루미늄제 궤도 커버와 사이드 스커트가 추가되었다. 또한 기존의 부무장과 통신장비, 관측창도 신형 사양으로 교체되었다. 엔진도 [[T-54]]의 [[V-2 엔진|V-54]] 기반의 신형 V-54K-IS로 교체하였다. ==== 자주포 파생형 ==== ===== [[오비옉트 704]]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ubinka_Object_704.jpg|width=100%]]}}} || || '''Объект 704'''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오비옉트 704)] == 실전 == === [[제2차 세계 대전]] === 일단 IS-3의 양산이 [[제2차 세계 대전]]이 진행중이던 1945년 봄에 시작된 것은 맞지만, 양산 시기가 너무 늦었고 부대배치와 차체의 품질 문제해결을 위해 [[독소전쟁]]에선 실전에 참가하지 못했다. [[만주 작전]]에는 1개 전차대대급 병력이 출동하긴 했지만 [[관동군]]이 손쉽게 무너진 덕에 큰 전투는 일어나지 않은 채 종전을 맞이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194597IS31.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194597IS32.jpg|width=100%]]}}} || || '''1945년 9월 7일 베를린에서의 2차대전 전승기념 퍼레이드에 참가한 소련 육군 제2근위전차군 소속 IS-3''' || 그래서 실질적인 등장은 1945년 9월 7일 [[베를린]]에서 열린 소련군의 제2차 세계대전 전승기념 퍼레이드에서 제2 근위전차군 소속으로 52량이 등장했을 때다. 등장 당시로써는 IS-3는 외형적으로 무척 세련되어 진보된 전차라는 분위기를 강하게 풍겼고, 연합군 수뇌부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이 때문에 미군의 [[조지 S. 패튼]]과 소련군의 [[게오르기 주코프]]간에 말싸움이 일어나기도 했다.[* 주코프가 '''"패튼 장군, 우리 전차를 보시오, 이 얼마나 강력해 보이는 물건입니까? 실제로도 엄청 강해서 멀리서 [[미군|적]]을 안전히 조질 수 있소이다!!"'''라고 자뻑을 시전하자, 패튼이 '''"그렇습니까? 만약 내 부하들이 [[소련 육군|저 따위]]로 겁보 새끼처럼 싸운다면 제가 직접 제 부하들을 조졌을 거요."'''라고 화끈하게 응수했다. 양측 사령관의 화끈한 입담을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하지만 말싸움은 말싸움이고 당장 여기에 대항하기 위해 미국과 영국은 각각 M48과 센츄리온을 기반으로 [[M103 전차]], [[FV214 컨커러]]같은 중전차를 개발하게 되었다. === [[냉전]] === ==== [[1956년 헝가리 혁명|헝가리 혁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digitaljournal.com/1956_budapest_IS-3.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cdn.c.photoshelter.com/Gleas56102900.jpg|width=100%]]}}} || || '''헝가리 혁명 진압을 위해 배치된 소련 육군 소속 IS-3''' || 냉전 초반인 1956년에 일어난 [[헝가리 봉기]]에도 시위 진압을 위해 투입되었는데, 대부분 시위대의 화염병 공격에 격파되었고 심지어 일부는 '''화염병에''' 탄약이 유폭되어 포탑이 사출된 채로 완파되기도 하는 등 손실이 굉장히 많았다. 헝가리 혁명 당시에는 아직 현대화 개량이 전부 끝나지 않았는지 위의 사진처럼 IS-3[* 첫번째 사진]와 IS-3M[* 두번째 사진의 제일 앞의 유폭으로 포탑이 없는 차량] 모두 투입되었다. ==== [[6일 전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1.bp.blogspot.com/24.jpg|width=100%]]}}} || || '''6일 전쟁 당시의 이집트 육군 소속 IS-3M''' || 제대로 된 실전을 겪은 때는 [[제3차 중동전쟁]]의 일이다. 이 전쟁에서 이집트군에 매각된 약 100량의 IS-3M이 실전에 참가했다. 이때 이집트군이 운용한 전차들은 유일하게 수출된, 그것도 최신형이었으나, 이집트를 포함한 아랍연합군은 여전한 기량이 부족하였기에 '''100대중 73대를''' 잃고 27대만이 남는 엄청난 손실을 기록하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51a9906ff3a6fd6dc3db93f22891616d91440265e100021e024964668eb0cbb7.jpg|width=100%]]}}} || || '''격파된 이집트 육군 소속 IS-3M''' || 이집트군은 주로 IS-3M의 차체를 은폐시켜 매복했다가 기습하는 전법으로 이스라엘군을 고전시키기도 했지만 최종적으론 73량을 상실했고 일부는 이스라엘군에게 노획당했는데, 노획 차량 중 소수를 이스라엘군이 일선 배치하여 포격 지원 용도로 사용하기도 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Egyptian IS-3M being used as artillery on the Israeli Bar Lev Line in the Sinai.jpg|width=100%]]}}} || || '''시나이 반도의 바르 레브 선에 투입된 이스라엘 방위군 소속 IS-3M''' || === [[현대전]] === ==== [[제1차 체첸 전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echen rebel IS-3.webp|width=100%]]}}} || || '''1차 체첸 전쟁 당시 격파된 체첸 반군 소속 IS-3''' || ==== [[돈바스 전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onbass_War_IS-3.webp|width=100%]]}}} || || '''돈바스 전쟁 당시 우크라이나군에게 노획된 노보로시야 연합군 소속 IS-3M''' || 이렇게 시대의 흐름에 묻혀 사라진 전차가 되는가 싶었는데 돈바스 전쟁이 시작되면서 노보로시야 연합군이 정부군에 맞서려고 코스탼티니우카(Kostiantynivka)에 위치해 있던 2차대전 기념물로 전시되어 있던 IS-3을 재생했다고 한다. [[https://vk.com/wall-57424472?own=1&w=wall-57424472_1479|#]] 알려진 바로는 우크라이나 정부군의 수송 트럭들을 기습하며 게릴라전을 벌이는 중이며 성과도 어느 정도 냈다. 그러나 노보로시야 연합군 쪽 전황이 크게 나빠지면서 후퇴하던 노보로시야 연합군이 연료 부족으로 유기했고 이를 우크라이나군이 다시 노획했다. [[http://sundryh.egloos.com/1195889|##]] 그렇게 반짝 나타나 쓰이긴 했지만, [[T-64]]와 [[T-84]]등의 2세대 주력전차와 3세대 주력전차들의 전차 전력을 갖춘 우크라이나 정부가 굳이 이 물건을 쓰진 않을 것이고, 지금은 반군 쪽도 T-72B3 신형을 지급받아 굴리는 상황이니 더 이상 사용되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https://youtu.be/0EyhRHdySJs|이 IS-3는 다시 전시물이 되었다고 한다.]] == 말로 == === 시코탄 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russiatrek.org/abandoned-tanks-shikotan-island-sakhalin-russia-1-small.jpg|width=100%]]}}} || || '''시코탄 섬의 IS-3 해안포 진지''' || 시코탄 섬은 [[쿠릴 열도]] 최남단에 위치하여 소련은 일본의 연안 상륙을 저지할 목적으로 구형 전차들을 개조하여 [[해안포]]로 유용했다.[[https://blog.naver.com/klh1992/221811894925|보기]] 소련에서 현대화 개수를 받은 문서상으론 IS-3M은 1970년대 초반까지 운용됐다. 하지만 실제로는 전차 전력으로 운용하기 보다는 [[9K11 말륫카|말륫카]] 대전차 미사일 표적으로 활용되거나, [[사할린 섬]]이나 [[쿠릴 열도]]에서 연안 방어 해안포, [[핀란드]] 국경지대에서 고정포로 운용됐다. 소련은 [[이집트]] 이외의 나라에 IS-3를 보낸 숫자가 극히 드물다. 그래서 앞서 언급한 실전사례 외에는 전투 기록 자체가 거의 없다. 당장 IS-3은 [[체코슬로바키아]]에 11량, [[폴란드]]에 2량만 공급했다. 그 외의 위성국에서 사용된 [[스탈린 전차]]는 IS-3M이 아닌 IS-2M이며, [[T-10]]M도 소련 본국 밖의 [[위성국]]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중국 인민지원군]] 역시 [[6.25 전쟁]] 당시 [[IS-2]] 정도만 가지고 있었다. == 사용 국가 == === 유럽 === ==== [[소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elyabinsk_Tractor_Factory_IS-3M.webp|width=100%]]}}} || || '''첼랴빈스크 트랙터 공장 소장 소련 육군 소속 IS-3M''' || 원조 사용국. ==== [[러시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astern Military District's 1295th Central Tank Storage and Repair Base IS-3.jpg|width=100%]]}}} || || '''러시아 육군 소속 IS-3''' || ===== [[이치케리야 체첸 공화국]] ===== ==== [[우크라이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kraine_Army_captured_IS-3.jpg|width=100%]]}}} || || '''우크라이나 육군 노획 노보로시야 연합군 소속 IS-3''' || ===== [[노보로시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krainian_captured_IS-3.webp|width=100%]]}}} || || '''노보로시야 연합군 소속 IS-3''' || ==== [[벨라루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elarusian_IS-3_during_parade.jpg|width=100%]]}}} || || '''퍼레이드 참가 벨라루스 육군 소속 IS-3M''' || 의장용으로 사용 중이다. === [[아프리카]] === ==== [[북아프리카]] ==== ===== [[이집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iro_Citadel_IS-3M.jpg|width=100%]]}}} || || '''카이로 국립 군사사 박물관 소장 IS-3M''' || 공식적으로 현재까지 유일하게 IS-3를 수입하여 실전에 투입한 국가로 알려졌다. 제3차 [[중동전쟁]] 이후에 이집트군은 IS-3M의 엔진을 [[T-55]]의 V-55로 변경하는 등 개량을 가하기도 했지만 부품조달의 문제 때문에 요르단 강 동안에서 차체를 파묻고는 토치카 대신으로 사용했다. 여기서 왜 이집트군 차량이 [[요르단]] 영토에 있는지 궁금해할 수 있는데, [[제4차 중동전쟁]]까지는 이스라엘을 타도하겠다는 일념 하나로 이스라엘 주변국들이 서로의 군대와 장비를 다른 국가에 파병 형식으로 보내서 주둔하거나 다른 나라를 도와주는 일이 잦았기 때문이다. === [[아시아]] === ==== [[서아시아]] ==== ===== [[우즈베키스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ashkent Tank School IS-3.webp|width=100%]]}}} || || '''타슈켄트 전차 학교에서의 IS-3''' || [[우즈베크 SSR]] 시절 훈련용으로 사용하였다. == 평가 == 종합적으로는 적절한 등장시기를 놓친 전차다. 새로운 [[경사장갑]] 설계를 적극적으로 사용해서 중량은 거의 늘지 않은 상태에서도 [[IS-2]]보다 방어력을 증가시켰다는 점은 칭찬받을 만하다. 그리고 [[IS-4]][* IS-4의 경우 매우 두꺼운 경사장갑 덕분에 방어력 자체는 상당히 높지만 무게가 IS-3에 비해 15톤이나 더 나갔다. 강력한 엔진 덕분에 무게에 비해 기동력 자체는 나쁘지는 않았으나 배치 후 생긴 여러가지 문제로 IS-3에 비해 훨씬 빠르게 퇴역한다.]와 [[T-10]]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소련의 전차 중 방호력이 가장 높았다.[* 차체와 포탑 전면부 장갑이 움푹 파이는 피해를 입긴 했지만 [[중동전쟁]] 당시에 무려 [[로열 오드넌스 L7]] 전차포에서 발사된 105mm [[APDS]] 포탄을 막아낸 차량도 있다. [[https://www.reddit.com/r/TankPorn/comments/6lk0gv/is3_had_withstood_early_105mm_apds/|#]]] 한편 1945년 베를린의 종전 퍼레이드에서 연합국 모두에게 드러난 IS-3의 존재가 [[냉전시대]]의 시작을 알렸다는 의견들도 있다.[* 군사 전술가 남도현은 네이버캐스트 연재글을 통해 냉전의 시작을 알린 병기로 평가했다.[[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07&contents_id=81949|#]]] IS-3가 처음으로 서방에 존재를 드러낸 종전 직후 시점부터 서방권에서는 IS-3를 매우 위협적인 전차로 인식하였고, 당장 미국과 영국은 IS-3에 대항할 목적으로 [[M103 전차]]와 [[FV214 컨커러]]를 개발했다. 서방에서는 전례없던 IS-3의 경사장갑을 매우 위협적으로 평가하면서 한편 IS-3로 이루어진 기갑 웨이브가 유럽에 침공하는 무시무시한 경우에 대한 우려들도 생겨나면서 1950~1960년대까지 IS-3를 효과적으로 격파하기 위해 갖가지 노력을 기울였다. 소련이 IS-3로 처음 선보인 쐐기형 경사장갑 설계 역시 냉전 초기의 서방 전차들의 개발에 여러모로 영향을 주는 요소가 되기도 했고, 서방에서 IS-3를 매우 위협적으로 평가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프랑스의 [[AMX-50]](surblindé)와 [[로렌 40t]], [[파나르 EBR]], 스웨덴의 [[에밀 전차]](Emil 2 이후)에도 IS-3와 유사한 쐐기형 경사 장갑이 적용되었고, 미국의 [[T71 경전차]](디트로이트 아스날 버전)에도 이런 쐐기형 장갑 설계가 적용되었다. 미국에서 개발된 [[M103 전차]]와 [[M48 패튼]]의 곡면형 장갑도 IS-3의 쐐기형 경사 장갑의 영향을 받았다는 말이 있다. 이런 쐐기형 장갑 설계를 여러 서방 국가들이 프로토타입에 적용해본 경우들이 있다는건 1945년 베를린 전승 퍼레이드에서 보여진 IS-3의 쐐기형 경사장갑 설계가 여러 서방 국가들에게 큰 충격을 줬다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다만 IS-3도 여전히 소련 전차 특유의 단점들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다. 거주성 면에선 일단 [[IS-2]]보다는 나았다지만, 소련 전차 특유의 낮은 전고와 [[경사장갑]]으로 인한 거주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거주성이 여전히 서방 전차만큼 좋지는 못했다. 그리고 설계할 때 하중 분배를 잘못하여 차체가 버티질 못하고 찌그러지는 등의 결함도 일부 차량에서 발생했고, 생산될 때 QC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선지 차체의 강성이 떨어지거나 용접부위에 균열이 생기는 등 품질이 조악한 차량들도 많았다. == 미디어 == 영화, 만화, 소설, 게임 등 여러 곳에서 등장한다. IS-2보다도 인지도가 높은 것 같다. 편의상 [[가나다순]]으로 기재한다. === 영화 === ==== [[유럽의 해방]] 5부작 ==== 1970년대 [[소련]]에서 개봉된 영화로 [[독소전쟁]]의 발발부터 [[베를린 전투]]까지를 5부작으로 다룬 전쟁 영화다. 전차전에서 [[티거]]와 매우 비슷하게 개조된 [[T-44]]와 함께 [[IS-2]]가 [[5호 전차 판터]]로 대충 개조되어 등장하는데, 이 과정에서 너무 많은 IS-2를 개조했기에 IS-2의 대역으로 IS-3가 등장한다(...). === 소설 === ==== [[베어 & 드래곤]] ==== 중소국경지대에 [[KV-2]]와 함께 포탑이 토치카로 배치되어 중국 인민해방군 보병대를 저지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노인 학대]]인가 [[장수만세]]인가~~ ==== [[2차 한국전쟁]] ==== 북한군 전차학교에서 교육용 전차로 보관중이던 IS-3을 열세에 몰린 북한군이 급히 끌어내어 실전에 내보내서 한국의 최신예 장갑차 K-3([[K-21]])의 승무원들을 놀라게 하는 역할로 출연하신다. 대한민국 국군 중에 이 전차를 아는 사람이 몇몇 [[밀덕후|마니아]] 외에는 없어서 북한의 [[선군호|신형전차]]로 오인받았다. 이때 IS-3 5대를 포함한 전차 19대가 전차지원 없는 한국군 장갑차 1개 중대를 기습으로 덮쳤지만 근접전에서 한국군 장갑차가 [[현궁|대전차 미사일]]도 안 쓰고 40mm [[기관포]]로 사격을 가하자 주포 사격도 못해보고 얄짤없이 벌집이 되어 싹쓸이당한다. 이후 최소 1대가 한국군 장갑차들에게 사방에서 포위당하면서 전의를 상실하고 승무원들이 기어나와 항복하는데, 아마 [[사료(역사)|귀하신 몸 취급을 받아]] 국군 측에서 [[전쟁기념관]]으로 옮겼을 것으로 보인다. === 만화 === ==== 표범과 늑대 ==== [[우란프로옉트|독일의 핵개발]] 데이터를 가지고 미군측에 투항하는 독일군 주인공측의 [[5호 전차 판터|판터]] 전차를 추격하는 소련측 악역 포지션으로 등장한다. 주인공 판터의 500m 거리 포탑, 전면사격을 튕겨내며 100m 측면 사격까지 튕겨내버리는 절륜한 방어력을 자랑하는데 승무원 실신으로 놓쳐버린 주인공측을 쫒아 미군 전선까지 침투해 들어가 독일 전차대와 교전하며 재등장. [[티거 2]]의 포탑과 측면까지 뚫어버리는 포스를 보이며 '여기는 미군측 관할이니 투항하라'는 [[조지 패튼|패튼]]의 정전 권고를 거부하며 미군과 교전. 이에 패튼은 나름 결전병기인 [[M26 퍼싱]]을 끌고 대항하나 티거 2도 뚫리는 마당에 퍼싱이라고 상대가 될 리 없었고... 종국엔 사방에 휘발유를 뿌리고 불태워 길을 막고 연막을 뿌려 시야를 차단한채 돌격하는 주인공 판터의 충각전술에 당한다. 적 전차장 니콜라이도 '''"이런! 중(重)전차가 중(中)전차에게 밀려?"''' 라며 당황하나 판터와 IS-3 모두 45톤대에서 크게 차이나지 않는 중량이라 전차 궤도와 현가장치가 싸그리 박살나고 주포가 휘어지며 크게 손상되고, 결국 옆으로 전복되어 무력화되며, 니콜라이와 승무원 모두 미군의 포로 신세가 된다. === 게임 === ==== [[워 썬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iki.warthunder.com/IS-3_Garage.jpg|width=100%]]}}} || || '''IS-3''' || [[워 썬더/지상 병기/소련 트리]] 중전차로 122mm D-25T 전차포 1문과 7.62mm DT 기관총 1정 그리고 12.7mm [[DShK]] 중기관총 1정으로 무장하였다. IS-2 1944년형과 비슷한 가속력과 기동성을 지니고 있으며 쐐기 경사장갑과 반구형 포탑의 좋은 방호력, 여기에 RD-412D 포탄의 우수한 관통력과 5랭크 대비 낮은 배틀 레이팅을 적극 활용하면 킹 타이거나 M26 퍼싱 등 대전기 전차를 상대로 굉장히 위협적이다. 대전기 전차를 상대로는 사실상 정면에서 무적에 가깝지만 고관통 분리철갑탄과 대전차고폭탄을 날려대는 냉전기 전차들을 상대로는 점수자판기다. M46 패튼, T114, RU251, M48A2C 등 IS-3을 가볍게 관통할 수 있는 전차들이 7.0BR에 몰려있어서 자탑방에 걸려도 안심할 수는 없다. 승무원과 탄약이 좁은 차체 안에 모여있고 장전시간도 길어서 일단 뚫리면 한방에 죽을 확률이 높고 IS-3이 한발 쏠 동안 다른 중형전차나 경전차는 2발 이상을 쏠 수 있기 때문에 운용하기는 어려운 편이다. 장전할 동안 백업해줄 아군과 항상 함께 다니고 빠른 후진을 이용하여 치고빠지기 식으로 운용하면 밥값은 할 수 있다. ==== [[월드 오브 탱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iki.gcdn.co/%D0%98%D0%A1-3_scr_6.jpg|width=100%]]}}} || || '''IS-3''' || 소련의 8티어 [[월드 오브 탱크/소련 테크 트리/중전차#s-3.4|기동형 중전차]]로 등장한다. 속도도 중전차치곤 기동성이 있는 편이고 최종포인 122mm BL-9를 달면 좋은 관통력에 강력한 데미지로 적들을 놀라게 해줄 수 있다. 화력 인플레가 이미 극심해진 현재 1.14 패치 기준으로 디펜더나 obj.703v2같은 모든 면에서 숙삼을 뛰어넘는 괴물 프리미엄 전차들이 등장하며 현 시점에서는 위상이 많이 떨어졌다. 원래 차체가 약하긴 했지만 이제는 동티어에게 차체 상부가 뚫리고, 헐다운을 하자니 이마의 약점을 까인다. 그럼에도 여전히 준수한 기동성과 꽤 튼튼한 측면장갑으로 난전에서는 여전히 강력한 모습을 보인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iki.gcdn.co/%D0%9E%D0%B1%D1%8A%D0%B5%D0%BA%D1%82_704_scr_2.jpg|width=100%]]}}} || || '''Object 704''' || 파생형인 Object 704 또한 [[월드 오브 탱크/소련 테크 트리/구축전차|동 국가 화력구축전차 테크트리]] 9티어로 등장한다. --8티어에서 가져왔지만 여전히--[* 9.20 패치 이전까지 한정. 현재 전 단계인 ISU-152는 152mm D-4S로 교체되어 너프된 상태다.] 티어대비 관통력이 괴물인 BL-10과 실효장갑 184mm의 120mm 50° 장갑, 그리고 소련 구축전차의 특징인 엄청난 위장력이 맞물린 강력한 전차이다. 동티어 중전차에게 두발만 박아넣어도 실피이며 하위티어는 기본적으로 두방, 운이 나쁘면 세방으로 처리할 수 있다. ==== [[DUST]]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digital-sense.de/dustssu_is-48a_karlmarx001.jpg|width=100%]]}}} || || '''IS-48''' || 옆으로 잡아 늘리고 앞뒤로 길쭉하게 만든 SSU군 최고의 떡장 IS-48 초중전차로 등장한다. 특유의 포탑까지 사이즈를 부풀려 놓았으며 122mm를 넘어선 152mm 주포를 장착하거나 테슬라 캐논을 장착할 수 있다. 지원 전차의 차체마저 똑같은 것으로 보아 이 디자인이 양산형으로 채택된듯 하다. ==== [[바이오하자드 빌리지]] ==== [[칼 하이젠베르크]]의 공장 입구에 IS-3의 잔해들이 등장한다. 실제 작동하는 차량은 등장하지 않으며 직접 타볼 기회 또한 없다. == 모형 == 인지도에 비해서는 모형화가 적은 편이다. === 프라모델 === 1/35 스케일로는 타미야제 JS-3와 트럼페터제 JS-3M 둘 뿐이다. 타미야제는 대전기 생산형인 IS-3, 트럼페터는 전후 생산형인 IS-3M을 재현한 것이 특징이다. * [[타미야]], [[트럼페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modelsale.com/t3_TA35211.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modelsale.com/t3_TR00316.jpg|width=100%]]}}} || 타미야제는 타미야답게 키트의 전반적인 조립성은 나쁘지 않고 주조질감도 우수하나, 차체 내부의 본 장갑을 재현하지 않고 비워두어 논란이 있다. 또한 포탑 형상도 미묘하게 실물과 다르다. 트럼페터제는 타미야와 재규어 사의 키트를 참조 및 카피하여 만든 키트로, 일단은 있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는 정도. 트럼페터 [[K1A1]]만큼 끔찍하진 않겠지만 제대로 만들려면 역시 손이 많이 간다. 어찌되었건 [[타미야]]도 [[트럼페터]]도 나온지 꽤 오래 되었기에 두 키트 모두 새로운 결정판 키트가 발매되어야 할 듯 하다. 급성장중인 신예 메이커를 기대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 * [[E.T.Model]] 타미야 키트용으로 에칭 세트를 발매했다. 에칭 구성은 무려 연료탱크와 톱, 진흙밭이, 궤도 보호대, 두쉬카 대공기총, 빗물보호대로 3만원대 가격이다. 이거는 아직까지 인터넷에서 구할 수 있다. * [[Eduard]] 역시 타미야 키트용으로 자잘한 에칭들이 있으나 3만원대 가격으로 현재 인터넷에서도 구할 수 없다(...). 또한, 2만원대 가격으로 측면 공간장갑과 사물대 에칭을 발매하였으나, 역시 구할 수 없다.(...) ==== 페이퍼 크래프트 ==== [[워게이밍]] 러시아 서버에 IS-3과 IS-3 BN의 도면을 제공하고 있다. [[http://worldoftanks.ru/ru/media/10/is-3-paper-tank|(IS-3)]] [[http://worldoftanks.ru/ru/media/10/is_3_bn|(IS-3 BN)]] == 둘러보기 == [include(틀:소련의 중전차)] [include(틀:키로프 공장의 차량)] [include(틀:냉전/소련 기갑차량)] [include(틀:냉전/체코슬로바키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벨라루스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폴란드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이집트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이스라엘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도네츠크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지상 병기/세계 대전]][[분류:지상 병기/냉전]][[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스탈린 전차]][[분류:러시아군/기갑차량]][[분류:우크라이나군/기갑차량]][[분류:이스라엘군/기갑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