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 [include(틀:MBTI 경고)] [include(틀:16가지 성격 유형)] [목차] == 개요 == '''성격 유형 검사'''([[MBTI]], [[16 Personalities]], [[TRUITY]] 등)에서 통용되는 16가지 유형 중 '''ISFJ 유형'''을 설명하는 문서. ## Extraver'sion', Introver'sion'이 아닌 이유는 모바일 줄바꿈 문제 때문입니다 ||<-4> '''{{{+1 선호 지표의 비교}}}''' || || [[ESFJ#개요|{{{#000,#fff {{{+1 E}}} }}}]] || 외향 {{{-1 Extrovert}}}[br]{{{-2 외부 · 표출}}} || '''내향 {{{-1 Introvert}}}[br]{{{-2 내면 · 생각}}}''' || '''{{{+1 I}}}''' || || '''{{{+1 S}}}''' || '''감각 {{{-1 Sensing}}}[br]{{{-2 현실 · 실용 · 실천}}}''' || 직관 {{{-1 iNtuition}}}[br]{{{-2 이상 · 이론 · 예측}}} || [[INFJ#개요|{{{#000,#fff {{{+1 N}}} }}}]] || || [[ISTJ#개요|{{{#000,#fff {{{+1 T}}} }}}]] || 사고 {{{-1 Thinking}}}[br]{{{-2 논리 · 사실판단}}} || '''감정 {{{-1 Feeling}}}[br]{{{-2 인간관계 · 가치판단}}}''' || '''{{{+1 F}}}''' || || '''{{{+1 J}}}''' || '''판단 {{{-1 Judging}}}[br]{{{-2 목적 · 계획 · 절차}}}''' || 인식 {{{-1 Perceiving}}}[br]{{{-2 자율성 · 유동성}}} || [[ISFP#개요|{{{#000,#fff {{{+1 P}}} }}}]] || ||<-4> {{{#!wiki style="margin: -5px" [[ENTP#개요|'''{{{#fff {{{-2 뒤집기}}}}}}''']]}}} || ||<-4><^|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4가지 선호 지표에 의한 설명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text-align: left" * '''내향형''' ('''{{{+1 I}}}'''ntroversion) * 깊이 있는 대인관계를 유지하며 조용하고 신중하며 이해한 다음에 경험한다. * 자기 내부에 주의를 집중함. * 내부 활동과 집중력. * 조용하고 신중함. * 말보다는 글로 표현하는 편. * 이해한 다음에 경험함. * 서서히 알려지는 편. * '''감각형''' ('''{{{+1 S}}}'''ensing) * 오감에 의존하여 실제의 경험을 중시하며 지금, 현재에 초점을 맞추고 정확, 철저히 일처리한다. * 지금, 현재에 초점. * 실제의 경험 중시. * 정확하고 철저한 일처리. * 사실적 사건묘사. * 숲보다 나무를 보려는 경향. * 가꾸고 추수함. * '''감정형''' ('''{{{+1 F}}}'''eeling) * 사람과 관계에 주 관심을 갖고 상황적이며 정상을 참작한 설명을 한다. * 사람, 관계가 주관심사. * 의미와 영향을 중시. * 상황적, 포괄적. * 좋고 나쁨(선악). * 나에게 주는 의미를 중시함. * 우호적 협조. * '''판단형''' ('''{{{+1 J}}}'''udging) * 분명한 목적과 방향이 있으며 기한을 엄수하고 철저히 사전계획하고 체계적이다. * 정리 정돈 및 계획. * 의지적으로 추진함. * 신속한 결론. * 통제와 조정. * 분명한 목적의식과 방향감각. * 뚜렷한 기준과 자기의사. * 출처: [[https://www.career4u.net/tester/mbti_intro.asp#|어세스타]]}}} || }}}}}}}}} || ##위의 표 형식은 16개 유형이 통일된 템플릿이므로 내용이나 양식 수정 시 가급적 16개 유형 모두 일관적으로 바꾸어 주시기 바랍니다. ##모바일 배려하여 사이즈 수정한 것은 기타 유형에 추후 일괄 적용 예정. ||<-3> '''{{{+1 기능의 서열}}}''' || || '''순서''' || '''기능''' || '''설명''' || || '''주 기능''' || '''{{{+1 Si}}}''' ||'''내향 감각'''[br]{{{-2 '''과거의 경험'''을 토대로 '''안정적'''인 선택을 하거나 '''기존에 반복'''되던 전통의 가치를 존중하는 데에 가장 두각을 드러냄.}}} || || '''부 기능''' || '''{{{+1 Fe}}}''' ||'''외향 감정'''[br]{{{-2 보편적이고 평균적인 가치의 추구, '''일반적'''이거나 '''상황에 적합'''한 행동양식을 취하는 데에 뛰어난 편임.}}} || || '''3차 기능''' || '''{{{+1 Ti}}}''' ||'''내향 사고'''[br]{{{-2 '''엄밀한 논증'''과 '''사고 활동의 전개''', 어떠한 현상이나 문제의 원인 등을 '''논리'''적으로 파고들어 '''분석'''하는 데에 서투른 편임.}}} || || '''열등 기능''' || '''{{{+1 Ne}}}''' ||'''외향 직관'''[br]{{{-2 연관성이 희박한 여러 항목의 연결 고리를 찾아내거나 발산적이고 '''자유로운 상상''', '''개방적 사고'''에 큰 어려움을 겪음.}}} || ||<-3><^|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각 기능의 우위 결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text-align: left" * MBTI에서는 어떠한 정보를 인식(INPUT)하거나 판단(OUTPUT)하는 방식 차이를 토대로 유형을 분류하였다. * ISFJ는 인식기능이 '''S(감각)''', 판단기능이 '''F(감정)'''이므로 (자주 쓰는) 주/부기능이 감각 기능과 감정 기능이 된다. * 또한, ISFJ는 '''J(판단)'''유형이기 때문에 인식 기능을 내향으로, 판단 기능을 외향으로 쓴다.[* MBTI에서의 마지막 지표 J/P는 각각 (외향)판단형과 (외향)인식형을 의미한다. 따라서, J유형은 내향인식/외향판단, P유형은 외향인식/내향판단 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눈여겨볼 점은 인식/판단 기능 지표가 같아도 마지막 지표의 차이로 인해 사용하는 기능이 아예 반대가 된다.] 그러므로 주/부기능이 '''내향 감각(Si)'''과 '''외향 감정(Fe)'''이 된다. * 마지막으로, ISFJ는 '''I(내향)'''유형이므로 주기능이 내향 기능이 된다. 따라서, 주기능이 Si, 부기능이 Fe가 되고 자주 사용하지 않는 3차 및 4차 기능은 반대인 Ti, Ne가 된다. }}} || }}}}}}}}} || ||<-3> Se · '''{{{#50b1b3 Si}}}''' | '''{{{#58c3c4 Fe}}}''' · Fi | Te · '''{{{#60d4d6 Ti}}}''' | '''{{{#67e3e6 Ne}}}''' · Ni || ##위의 표 형식은 16개 유형이 통일된 템플릿이므로 내용이나 양식 수정 시 가급적 16개 유형 모두 일관적으로 바꾸어 주시기 바랍니다. ##모바일 배려하여 사이즈 수정한 것은 기타 유형에 추후 일괄 적용 예정. == 설명 == {{{+1 용감한 수호자, '''실용적인 조력가'''}}}[* [[https://www.truity.com/personality-type/ISFJ|#]]][* [[https://www.psychologyjunkie.com/the-isfj/|#]]] ISFJ 유형 성격의 소유자는 조용하고 차분하며 따뜻하고 친근하다. 책임감과 인내력 또한 매우 강하다. 본인의 친한 친구나 가족에게 애정이 가득하다. 이들은 언제나 진솔하려 노력하고 가볍지 않기 때문에 관계를 맺기에 가장 어려우나 가장 믿음직스러운 유형이다. 사회생활 시 외부 환경에 대해 내향형 중에서 가장 방어력이 강하다. 상대방의 감정을 파악하는 데는 능숙하지만 표현하는 데는 서툴기 때문에 관계에 있어서 걱정을 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적이고 꼼꼼하게 [[계획]]적이며 협조적으로 일을 처리한다. 완벽한 결과물을 도출하지 못할 경우 스트레스를 상당히 받으며, 이상과 달리 귀차니즘이 생겼을 시, 자신에게서도 극심한 괴리감을 느낀다.[* 예를 들자면, 자신이 공부계획을 세웠는데 계획을 지키지 못했을시에 극심한 괴리감을 느낀다.] 경험을 통해서 자신이 틀렸다고 인정할 때까지 꾸준히 밀고 나가는 편이다. [[대한민국]]에서는 MBTI 유형 중 [[ISTJ]], [[ESTJ]] 다음으로 흔한 편[* 흔하다는건 여자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나오는 통계 수치다.]이며 정의내리기 어려운 유형이다. 부드럽고 다정한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대상에 따라 단호하고 차가울 때도 있기 때문에 감정이 쉽게 탄로나기도 한다. === 일반적인 특징 === ## 특징을 서술할 때 각 문장마다 출처를 기재해주시기 바랍니다. 이를 위해 16개 유형에 출처 표기를 위한 각주 템플릿을 통일하였으니 이 방향으로 수정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정보 오염의 우려가 있는 내용(출처가 불분명한 서술, 신뢰도가 떨어지는 개인적 견해 등)가 난립해 누적되었을 때 이를 구분해내기 위함입니다. '''주의 - 아래 항목은 다른 사람이 각 유형들을 보았을 때 일반적으로 느끼는 특성 위주로 서술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하며, 명확한 출처를 표기를 할 것.'''[* [[https://www.truity.com/personality-type/ISFJ|#]]][* [[https://www.psychologyjunkie.com/the-isfj/|#]]] '''심리유형은 자신의 진정한 장점을 알고 활용하는 데에 그 의미가 있다. 읽는 건 자유이지만 판단은 스스로 하자.''' {{{+1 '''개요'''}}} * ISFJ는 혼자 있는 시간에 활력이 넘치고(I), 아이디어와 개념보다 사실과 세부 사항에 중점을 두며(S), 감정과 가치에 따라 결정을 내리고(F), 계획과 조직을 선호하는 사람을 나타내며, 자발적이고 유연하다(J). ISFJ는 사람들을 안전하고 잘 보살피는 데에 관심이 있기 때문에 때때로 보호자 성격이라고도 한다.[*TR] * 전통과 조직에 충실한 관리적인 성격이다.[*TR] * 실용적이고 동정심이 많으며, 다른 사람들을 보살피며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려고 한다.[*TR] * 관습적이고 근거가 있으며, 사회의 확립된 구조에 기여하는 것을 좋아한다.[*TR] * 검증된 방법과 확실한 가치에 기인하고, 사회에 받아들여진 일을 하는 것을 원한다.[*TR] * 확립된 제도에 적응하고, 안정적인 사회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일을 중요시 여긴다.[*TR] * 안정적인 삶을 지향하지만, 본인이 이해 또는 존경받는다고 생각되는 범위에서 변화를 수용할 수 있다.[*16P] * 다른 사람들에 대한 깊은 책임감을 가지며 꾸준하고 헌신적이다.[*TR] * 부기능이 외향감정 (Fe)으로, 상대방에 대한 배려가 넘치고 공감적이지만, 3차기능이 내향사고(Ti)로 속으로는 비판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모든 감정형 중에 가장 사고형에 가깝다.[* 부기능이 외향감정 (Fe)이며 3차기능이 내향사고(Ti)는 INFJ와 공통점이다. INFJ와 다른점은 INFJ는 탁월한 공감능력과 통찰력으로 매우 이상적인 인간관계를 갈망하지만, ISFJ는 객관적인 사실과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상대방의 감정을 정리하는 점이다. 때문에 훨씬 현실적인 눈높이를 가지고 개연성을 따지는 경향이 있다. INFJ 보다 사고형적인 모습을 보인다.] * 특히 다른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때 의무를 다한다.[*TR] *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이 믿을만 하고, 나에 대한 신뢰가 있기를 바란다.[*TR] * 타인을 향한 연민이나 동정심이 있으면서도, 가족이나 친구를 보호해야 할 때는 가차 없는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이들을 정의하는 성격 특성에 꼭 들어맞지 않는다.[*16P] {{{+1 '''가치관 및 생활에서'''}}} * 개인적인 가치에 따라 행동하며 양심적이다.[*TR] * 관계를 중요시 여기고 조화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한다.[*TR] * 조용하고 내성적인 반면 관계술에 뛰어나 인간관계를 잘 만들어간다.[*16P] * 길고 안정적인 관계를 원하며, 가족에 대한 깊은 헌신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TR] * 대체로 기존의 관계를 지향하지만, 새로운 사람들과도 함께 할 수도 있다.[*TR] * 장기적으로 의지할 수 있는 사람들과 가장 연결되어 있다고 느낀다.[*TR] * 그룹에서 역사가의 역할을 맡아 새로운 회원이 기존의 관습을 존중하고 가치있게 여기도록 한다.[*TR] * 종종 자신에게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며, 절제된 방식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을 제공하는 것을 볼 수 있다.[*TR] * 가족, 친구 및 사회에 도움이 될 목적으로 일에 전념한다.[*TR] * 무엇을 받으면 몇 배로 베푸는 이타주의자며, 열정과 자애로움을 바탕으로 일단 믿는 이들이라면 타인이라도 잘 어울려 일에 정진한다.[*16P] * 일반적으로 사교 집단에 참여는 하지만 주목받는 것은 꺼린다.[*TR] * 자신의 역할을 완수하기 위해 열심히 일하기 때문에 주로 뒤에서 발견될 가능성이 더 크다.[*TR] * 맡은 바 일에 책임감을 가지고 업무에 임하며, 회사나 가정에서 자신에 대한 기대치를 넘어 주위 사람들을 만족시키고자 최선을 다한다.[*16P] * 일반적으로 뒤에서 일하는 것을 선호하며, 성과를 공개적으로 발표하지 않고도 인정을 받는 것을 좋아한다.[*TR] * 자신의 의무를 다했다고 다른 사람들에게 인정받고 싶지만, 주목을 받고 싶지는 않다.[*TR] * 본인의 업적이나 실적을 다른 사람들이 알아차리게 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16P] * 종종 자신이 이룬 성취를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겸손한 태도로 종종 다른 이들로부터 존경을 받기도 하는가 하면, 이기적인 사람들은 이들의 겸손함을 역으로 이용하여 수호자형 사람이 세운 공을 자신의 것으로 돌리는 경우도 있다.[*16P] *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것을 불편해하며, 다른 이들과 함께 달성한 업무에 있어 공을 인정받는 데에 어색해 하기도 한다. 하지만 자신의 노력을 알리는 데 조금만 더 열중한다면 다른 유형의 사람이었을 때 그저 상상만 하고 있을 법한 일을 성취해 냄으로써 더 큰 자신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16P] * 대화를 할 때 개인적인 정보를 빨리 공개하지 않는 편이다.[*TR] * 주변 환경에 집중하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으며, 개인적인 경험에서 세부 사항을 연관시킨다.[*TR] * 세부 사항에 주의를 기울이고, 확립된 절차를 지키는 일을 선호한다.[*TR] * 신중한 성향[* ISFJ-T]을 가진 사람은 완벽주의자만큼이나 세심하고 꼼꼼한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이로 인해 일을 지연하는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일을 시간 내에 마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16P] * 일어난 일 또는 직접 본 것에 대해 이야기하는 편이다.[*TR] * 경험한 것에 충실하며, 종종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관점을 공유한다.[*TR] * 정보의 실제적인 사용을 보거나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할 때 정보를 이용한다.[*TR] * 관계를 맺는 과정에서 다른 사람들에 대한 사실을 듣는 것을 좋아하고, 사람들에 대한 세부 사항을 기억한다.[*TR] * 내성적이지만 사회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16P] * 뛰어난 기억력으로 단순히 데이터나 사소한 정보를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만나는 사람들이나 그들과 관련한 소소한 사항들을 모두 기억해 놓는다.[*16P] {{{+1 '''이성관계에서'''}}} * 대체로 관대하고 수용적이며 충실하다.[*TR] * 사랑하는 사람을 돌보는 일에 전념하고 가족으로써 책임감을 진지하게 생각한다.[*TR] * 무언가를 제공하고 도울 방법을 찾고 상대방의 세부 사항에 주의를 기울인다.[*TR] * 전통적인 이상향을 반영하는 관계를 만들고 싶어한다.[*TR] * 도와주려는 욕구가 있으며 상대방의 필요를 자신보다 우선시 할 수 있다. [*TR] * 일반적으로 상대가 "해야 할 일"에 대해서는 명확한 생각을 하지만, 자신에게 "해줬으면 하는 일"에 관해서는 요구할 가능성이 낮다.[*TR] * 조화를 중시하며, 갈등을 일으키기보다는 종종 한 발 물러나 회피하며 참는 경향이 있다.[*TR] *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헌신에 도움이 되고 모든 걸 쏟아부을 수 있는 관계를 원한다.[*TR] * 나의 헌신과 신뢰를 인정해주는 사려 깊은 사람을 높게 평가한다.[*TR] === ISFJ 부모 === * 부모로서 ISFJ는 헌신적이고 전통적이며 책임감이 있다.[*TR] * 확고한 규율주의자이며, 자녀들에게 올바른 일을 하고 사회의 규칙을 준수하도록 가르치기를 원한다.[*TR] * 자녀를 삶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려는 동기에서 지나치게 보호적일 수 있으며, 자녀가 경험하는 문제에 대해 부모로서 충분히 열심히 일하지 않았다고 느껴 자신을 탓할 수 있다.[*TR] * 양육적이고 실용적이며 일반적으로 자녀의 일상적인 필요를 제공하는 데 탁월한다.[*TR] * 자녀를 키울 때 의무감과 책임감에 사로잡혀 자식을 키운다. [* https://audioclip.naver.com/channels/4119] * 자식의 입장에서 부모는 말 하나하나에 일일이 반응하여 피곤하고 진지하다고 느낄 수 있다. [* https://audioclip.naver.com/channels/4119] * 부모의 보호가 너무 지나쳐 자식의 입장에서는 부담스럽고 벗어나고 싶다고 느낄 수 있다. [* https://audioclip.naver.com/channels/4119] * 부모는 자기자신과 자식 모두를 독립된 하나의 인격체로 생각할 필요가 있다. [* https://audioclip.naver.com/channels/4119] === ISFJ 자녀 === * 대체로 말을 잘 듣고 조용한 편이다. * 부모에게는 착한 아이, 친구에게는 조용한 아이, 교사에게는 [[모범생]]으로 평가 받는다. * 초반에는 친구 사귀기를 어려워 하지만 세심하고 관계술에 뛰어나 인간관계를 잘 만들어 나간다. * 성실하고 계획적이다. * 재미없고 의미없는 일이라도 끝까지 한다. * 완벽주의 성향이 강하여 자신에게 주어진 일을 열심히 한다. * 집에서 지내는 것을 좋아한다. * 노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 편이다. * 타인에게 칭찬과 인정을 받는것에 상당히 민감하다. * [[호기심]]이 적은 편이다. * 자유를 추구하지 않고 부모가 정한 틀에 잘 맞추는 편이다. * 갑작스러운 변화에 대해 기존질서가 무너진다고 생각하며, 이를 잘 따르기 힘들어 한다. * 다른 사람 앞에서 발표하는 것을 두려워 한다.[* 발표할 기회를 많이 만들어 주어야 하며, 실수를 지적하기 보다 스스로 극복하게끔 내버려둬야 한다.] == 통계 및 여담 == * 테스트별 별칭은 다음과 같다. || || '''[[MBTI|{{{#fff MBTI}}}]]''' || '''[[16Personalities|{{{#fff 16Personalities}}}]]''' || '''[[TRUITY|{{{#fff TRUITY}}}]]''' || || '''영어''' || The Practical Helper[br]{{{#gray {{{-2 실용적인 조력가}}}}}} || Defender[br]{{{#gray {{{-2 수호자}}}}}} || The Protector[br]{{{#gray {{{-2 구호자}}}}}} || || '''한국어''' || 임금 뒷편의 권력형 || 용감한 수호자 || - || * 다음은 테스트 참여도에 따른 [[인구]] 통계를 추론한 것이다. ('''평균 배분율'''은 100{{{-2 {{{#888 (%)}}}}}}을 16으로 나눈 '''6.25'''{{{-2 {{{#888 (%)}}}}}}임.) ||<-3> '''대한민국''' ||<-2> '''세계''' || ||<-2> [[16Personalities|{{{#193234,#cde6e7 '''16Personalities'''}}}]][* [include(틀:16 Personalities 인구 비율/대한민국)] ][* 다만 16Personalities 통계는 중복검사를 반영하지 않은 자료라 정확한 인구수 추정에는 큰 의미가 없다. 중복검사를 반영하는 거의 모든 국가 통계에서 [[ISTJ]], [[ISFJ]], [[ESTJ]]가 가장 많은 인구수를 차지하며 애초에 특정 IN 유형이 8프로를 넘는 경우 자체가 일본을 제외하면 거의 없다. 이는 가장 많은 표본을 가진 미국 역시 마찬가지다. 나라마다 각 유형별 분포차이가 있지만 아주 큰 차이는 아니다. 그러나 16Personalities 통계를 중복검사를 반영한 여러 국가들의 통계와 비교해보면 한국이 혼자 외계행성이여야만 가능한 극심한 차이가 나오게 된다. 따라서 1위에 있는 [[INFP]]와 2위에 있는 [[ENFP]]는 그만큼 중복검사를 많이하는 유형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전체적으로 NF유형이 성격검사에 관심이 많은 편이며, 세계적으로 매우 희귀한 유형에 속하는 [[INFJ]]와 [[ENFJ]]가 저 통계에서 각각 8위와 9위로 잡힌 것 역시 중복검사의 영향으로 보는 것이 옳다. 다른 모든 나라에서는 거의 항상 인구수 1위부터 3위 사이에 위치하는 [[ISTJ]], [[ESTJ]] 가 한국에서만 5프로 이하라는 건 말이 되지 않는다. 애초에 MBTI별 인구수에는 세계적인 경향성이 있다. N이 S보다 적고, 근면성실하고 룰을 따르는 것에 민감하여 사회의 중추를 유지하게되는 [[ISTJ]], [[ISFJ]], [[ESTJ]] 유형들이 인구의 다수를 차지한다. ][* 16Personalities 통계가 최신 통계이니 정확하고 국내 MBTI연구소 등 다른 통계는 10년 전 통계이니 부정확하다는 의견도 있는데, 상식적으로 후천적 영향만큼 DNA풀의 영향도 큰 성격이 10년만에 대규모 세대교체되고, 그것도 인구 대교체 수준으로 폭이 크게 변화한다는 것도 말이 되지 않는다. 우리나라도 그렇고 외국도 그렇고 성격과 관련된 인구분포 통계는 그정도로 쉽게 요동치지 않는다. 따라서 이 통계는 유형별로 MBTI 검사를 받은 횟수의 총합 순위를 나타내는 수치로 해석하는 것이 적절하다. 인구수 추정에는 16Personalities 통계보다는 차라리 MBTI연구소 통계 자료가 훨씬 더 정확하다고 보는 것이 옳다. ] || {{{#448b01,#b1d223 '''한국 MBTI 연구소'''}}} ||<-2> [[TRUITY|{{{#c4933b,#f4e9e2 '''TRUITY'''}}}]] || ||<-2> '''{{{+1 7.66%}}}''' {{{#51a9ab,#cde6e7 ('''4'''위)}}} ||<|3> '''{{{+1 8.4%}}}''' {{{#448b01,#b1d223 ('''3'''위)}}} ||<-2> '''{{{+1 14%}}}''' || ||<|3> 5.02%[br]{{{-2 (Turbulent) }}} ||<|3> 2.64%[br]{{{-2 (Assertive) }}} || 8%[br]{{{-2 (남성) }}} || 19%[br]{{{-2 (여성) }}} || * 평균 [[지능 지수|지능 지수(IQ)]]는 16개 유형 중 12위로 중하위권이지만, 평균 학업 성취도는 전체 6위로 중상위권에 속한다. * [[에니어그램]]의 경우 '''[[6번(에니어그램)]]''' 유형이 29.03%로 가장 높았으며 그 중 '''[[6번(에니어그램)#s-6.1|6w5]]'''(방어자) 유형이 81%로 다수를 차지하고 6w7(친구) 유형이 19%를 차지했다. [[https://thoughtcatalog.com/heidi-priebe/2016/01/mbti-and-the-enneagram-2/10/|출처]] * [[대학수학능력시험/MBTI]] 기준으로 입시 성적은 [[이과]]로 지망해야 유리하게 나오는 것으로 밝혀졌다. * xSxJ 중에 [[수학]] 성적(학업성취도)이 안 좋은 사람들은 '''[[마인드맵]]''' 등의 ‘'''여러 개념'''을 서로 '''연결 지어서 이해'''하는 학습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된다.[*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28937|강윤수. (2020). 고등학생들의 수학 학습 양식과 MBTI 성격 기질 별 특징. 수학 교육 논문집, 34(3), 299-324.]] SJ형 학생들은 마인드맵 등의 학습 전략, SP형 학생들은 장, 단기 학습 목표를 꾸준히 실천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NT형 학생들은 SRN(자기성찰노트)이나 수학 일지를 활용한 학습 전략, NF형 학생들은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는 수학 학습 노트 쓰기 활동과 대수 학습에 더 많은 시간 투자가 필요하다.] == 타 유형과의 비교 == '''{{{+1 1)}}}''' {{{+1 '''I'''}}}SFJ vs [[ESFJ|{{{+1 '''E'''}}}SFJ]] * 비교 : [Si Fe Ti Ne] vs [Fe Si Ne Ti] * 공통점 : 두 유형 모두 '''동일한 기능'''을 사용한다. * 차이점 : 기능의 순서만 A-B-C-D / B-A-D-C로 다르다. * '''I'''SFJ - 독립적이고 소수의 사람들과 가깝게 지낸다. 평상시에는 조용해 보이지만, 친한 친구나 코드가 맞는 사람이 나타났다 싶으면 말을 많이 하기 시작한다. 3차 기능은 Ti(내향 사고)로 객관적이고 논리적이고 분석적이다. * '''E'''SFJ - 밝고 활동적이며 다수의 사람들과 가깝게 지낸다. 3차 기능은 Ne(외향 직관)으로 창의적이고 다방면에 관심이 많다. == 타 유형과의 관계 == === 사회인격학 === || '''◎ 이 문단에서 {{{#red 유의할 점}}} ◎''' {{{#!wiki style="text-align: left" {{{-1 ## 기존의 [include(틀:사회인격학 주의사항)]이 삭제되면서, 소시오닉스 이론에 대한 주의사항을 문단 내에 서술하기로 한 편집지침[[https://namu.wiki/thread/ObnoxiousTellingLyingParty]]이 위배된 상황입니다. ## 이에 따라 틀의 내용을 가져와 문서 내에 삽입했으나, 근본적으로 소시오닉스 이론이 가진 논란이나 신빙성 문제를 감안하면 해당 이론이 MBTI 문서에 서술되는 것 자체가 적합한지에 대한 토론이 다시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 '''사회인격학'''[*SO] 이론은 각 유형의 심리 기능의 위계만으로 관계를 분석한 이론이며, '''검증되지 않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해당 이론에 기반한 내용(특히 좋은 관계/나쁜 관계 등에 대한 서술)은 실제 인간관계에서는 적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함. * 이미 '''해당 이론 자체에 많은 논란'''이 있으며, 같은 성격 유형 내에서도 심리 기능의 위계는 천차만별이다. 이를 차치하더라도 어떠한 인간관계를 성격 유형만으로 점치는 행위는 관계에 대해 노력하지 않거나 시작도 하기 전에 포기하도록 만들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함.[* 실제 인간관계는 성격만으로 결정되는 것도 아닐 뿐더러 영향을 끼치는 변수가 셀 수 없이 많기 때문에 '이러한 이론도 있구나' 정도로만 받아들이기 바랍니다.]}}} }}} || || '''{{{+2 {{{#f5f5f5 Alpha}}}}}}''' || '''{{{+2 {{{#f5f5f5 Beta}}}}}}''' || || '''{{{+1 {{{#000000 {{{#d900ee ISFJ}}}[br]ENTP[br]INTP[br]ESFJ}}}}}}''' || '''{{{+1 {{{#000000 ISTP[br]ESTP[br]INFJ[br]ENFJ}}}}}}''' || || '''{{{+2 {{{#f5f5f5 Delta}}}}}}''' || '''{{{+2 {{{#f5f5f5 Gamma}}}}}}''' || || '''{{{+1 {{{#000000 ISTJ[br]ESTJ[br]{{{#000000 INFP}}}[br]ENFP}}}}}}''' || '''{{{+1 {{{#000000 ISFP[br]ESFP[br]INTJ[br] ENTJ}}}}}}''' || ||<-2> {{{#f5f5f5 ▲ '사회인격학'의 '''쿼드라(Quadras) 그룹 모형'''}}} || || {{{#!wiki style="text-align: left" {{{-1 * 이 문단에서는 '''사회인격학'''[*SO] 이론에서 주장하는 각 유형 간의 관계를 __심리 기능을 토대로 분석__하는 내용과, '''TRUITY'''[*TR]에서 언급된 각 유형 간의 __공통점/차이점__ 등에 대한 서술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 '동일 관계', '이중성 관계' 등의 표현은 사회인격학 이론에서만 사용되는 명칭이며, TRUITY에 의거한 서술 내용과는 '''__전혀 무관__'''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사회인격학의 쿼드라 그룹 모형으로는 Alpha 그룹에 속한다. 해당 접근 방법에 의하면 MBTI식 기준으로 [[ESFJ]], [[ENTP]], [[INTP]]인 사람과 집단을 형성했을 때 가장 큰 심리적 편안함을 느낀다.[*주의사항 단, '사회학'과 'MBTI'는 J-P의 어떠한 차이를 구분하고 있다. 쿼드라 모형에서의 J와 P는 각각 판단(J)과 인식(P)을 의미한다. MBTI에서는 J-P가 J('''외향적''' 판단)과 P('''외향적''' 인식)을 의미한다. 난해함을 막기 위해 나무위키에서는 MBTI로 변환한 결과를 기재하였다.] 사회인격학의 갈등 관계(Conflict, Conflicting Relations) 분석에서, 가장 상극인 MBTI 유형은 [[ENTJ]](MBTI식 지표)이다. === 편안한 관계 === * {{{+1 같은 '''{{{#800000,#d0d0ff Alpha}}}''' 그룹}}} : 동일한 심리 기능 4개를 사용한다. || '''{{{+1 ISFJ ― ISFJ}}} 동일(Identical) 관계''' {{{#!wiki style="text-align: left" '''{{{+1 - 사회인격학[*SO]}}}''' * '''기능 비교''' : [Si Fe Fi Ne] vs [Si Fe Ti Ne] * '''의미''' : 주기능부터 열등기능까지 '''전부 동일'''한 관계 * '''설명''' : 같은 기능을 같은 순서로 사용하는만큼 서로 잘 통하고 친구로서는 매우 좋겠지만 상호 보완을 기대하기는 힘들 것이다. 그리고 한 쪽이 불건강하다면 당연히 관계 역시 불편해질 수 있다. }}} || || '''{{{+1 ISFJ ― [[ENTP]]}}} 이중성(Duality) 관계''' {{{#!wiki style="text-align: left" '''{{{+1 - 사회인격학[*SO]}}}''' * '''기능 비교''' : [Si Fe Ti Ne] vs [Ne Ti Fe Si] * '''의미''' : 네 기능의 순서가 아예 거꾸로 되어 있는 관계'''(ABCD vs DCBA)''' * '''설명''' : 기본적으로 같은 심리 기능을 사용하면서 상호 보완이 완벽하게 되기에 양쪽 다 심리적으로 건강하고 포용력이 좋을 경우에 최상의 궁합이다. 상대의 최강점이 자신의 최약점, 자신의 최강점이 상대의 최약점인 관계. }}} || || '''{{{+1 ISFJ ― [[INTP]]}}} 활동(Activity) 관계''' {{{#!wiki style="text-align: left" '''{{{+1 - 사회인격학[*SO]}}}''' * '''기능 비교''' : [Si Fe Ti Ne] vs [Ti Ne Si Fe] * '''의미''' : 주+부기능 <-> 3차+열등기능이 세트로 뒤집혀 있는 관계'''(ABCD vs CDAB)''' * '''설명''' : 상대의 강점이 자신의 약점, 자신의 강점이 상대의 약점인 관계라고 볼 수 있다. 이중성 관계와 비교했을 때 이질감이 적으면서도 그에 못지 않은 상호 보완이 가능할 것이다. }}} || || '''{{{+1 ISFJ ― [[ESFJ]]}}} 거울(Mirror) 관계''' {{{#!wiki style="text-align: left" '''{{{+1 - 사회인격학[*SO]}}}''' * '''기능 비교''' : [Si Fe Ti Ne] vs [Fe Si Ne Ti] * '''의미''' : 주<->부기능과 3차<->열등기능이 각각 뒤집혀 있는 관계'''(ABCD vs BADC)''' * '''설명''' : 성격, 가치관, 취향 등이 비슷하면서도 동일 관계에 비해 좋은 시너지를 낸다. }}} || == 성격의 장단점 == {{{+1 '''장점'''}}} '' 실용적임.'' * 예리한 기억력, 관찰을 위한 독수리의 눈, 모든 세부 사항을 설명하려는 절대적인 결의를 갖춘 ISFJ는 탁월한 실천가이다.[*TR] * 임무에 집중할 때, 구체적인 사실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탐정 같은 성향을 가지고 있다.[*TR] ''근면함.'' * 작업을 완료해야 할 때 강렬하고 진지한 ISFJ는 다른 사람들에게는 과도해 보일 수 있는 엄격한 접근방식을 자신의 일에 가져오는 유능한 수집가이다.[*TR] ''지원적임.'' * ISFJ는 유능한 도우미이다. 시간과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사람과 기꺼이 나누고 문제와 목표에 공감하는 접근 방식을 취한다.[*TR] * 부모, 파트너, 친구, 학생, 노동자, 기업가, 이웃, 지역 사회 구성원, 공무원 및 시민으로서 ISFJ는 항상 탁월함을 위해 노력하며, ISFJ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고유한 능력을 부여하는 것은 비전의 포괄성이다.[*TR] ''충성적임.'' * 이제 우리 모두는 ISFJ가 소중히 여기는 가치인 명예, 성실, 책임, 충성도 및 헌신에 대해 잘 알고 있다. 이것은 모두 좋은 일이지만 ISFJ에게는 이론보다 실제가 더 중요하며, ISFJ가 가장 밝은 별처럼 빛나는 곳이다.[*TR] {{{+1 '''단점'''}}} '' 변화에 취약함.'' * 관습과 전통을 최대한 존중하며 너무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과 확립된 표준을 따르기를 거부하는 사람들에 대해 불안해할 수 있다. [*TR] * 완전한 불만모드[* "tut-tut/tsk-tsk mode"]에 있는 ISFJ는 도덕적 부패와 개인적인 책임에 대한 존중의 상실이 우리 사회를 안팎으로 파괴하고 있다고 스스로 확신하며, 깊은 비관주의에 빠질 수 있다.[*TR] ''너무 이타적임.'' * 충성심은 분명히 훌륭한 인격적 특성이다. 그러나 그것은 양갈래 길이며, 우리가 신뢰하기로 선택한 사람들이 부정직하거나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손절 준비를 한다. 그러나 ISFJ는 그런 사람을 놓아주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안좋은 상황의 끝까지 머무르는 경향이 있다.[*TR] ''개인적임.'' * 수줍음과 경계를 이루는 사적인 사람들이며, 이것이 더 개방적이고 예측할 수 없는 성격 유형과 항상 잘 어울리는 것은 아니다. 개방적인 이들이 거주하는 환경의 사회적 복잡성은 ISFJ를 압도할 수 있으며, 둥근 구멍의 우주에 있는 사각형 못처럼 안맞게 느낄 수도 있다.[*TR] * 갈등에 대처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고 사소한 비판도 개인적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 상대의 완고한 성격에 취약함을 느끼고 부담을 느낄 수 있으며, 방어 메커니즘으로 자기 비판과 의존성에 빠질 수 있다.[*TR] ''번아웃.'' * 훌륭한 직업 윤리를 가진 것으로 유명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긍정적인 특성은 일 중독으로 변해, 너무 과부하되어 시야가 좁아질 수 있다.[*TR] * 완벽주의적 성향으로 인해 오히려 주의가 산만해질 수 있으며, 드물게 사무실에서 벗어나 잠시 집에 돌아와도 최근의 프로젝트나 과제에 계속 집착하게 된다.[*TR] == 조언 == {{{+1 '''ISFJ 성장과 발전'''}}} ISFJ는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해 다음을 수행해야 한다. * 새로운 접촉을 받아들이기.[*TR] * 자신의 세계관에 얽매이고 자신의 머리 속에서 사는 데에 너무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사고방식과 이념적 성향이 다른 사람들과의 사회적 접촉이 필요하다. 이러한 형태의 건설적인 사회적 상호 작용은 다양성과 사회변화를 더 편안하게 받아들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감정표현을 자주 하기.[*TR] * 다른 사람들을 대할 때, 때로 자신의 삶의 목적이 평화를 유지하고 모두를 행복하게 만드는 것처럼 행동한다. 즉, 자신을 제외한 모든 사람이다. 자신의 감정을 억제하고 다른 사람의 필요를 따르는 습관은 고상해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본인을 행복하게 만들지 못하는 일이 일어난다. 따라서, 인간으로서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자신을 표현해야 한다. * 자신감과 열정을 지키기 위해서는 이들도 '아니요'라고 말해야 할 때와 자기 자신을 방어해야 할 때를 정확히 인지할 필요가 있다.[*16P] * 때론 위험하게.[*TR] * 안정적인 것은 일반적으로 좋지만, 특히 재미와 모험을 위해 남은 시간이 없을 정도로 일상 생활에 얽매이는 경향이 있기에, 더욱 모험이 필요하다. 자발적이고 창의적인 면과 연결되도록 노력하고 새로운 것을 시도하여 검증된 사실에 대한 자신의 관념이 굳어지지 않도록 해야한다. * 때론 가볍게![*TR] * 진지함과 냉철한 태도는 선의일 수 있지만, 약간의 유머는 누구에게도 상처를 주지 않는다. 당신은 방에서 인생을 빨아먹는 사람이 되고 싶지 않을 것이기에, 특히 업무에 있을 때 재미, 웃음, 계획에 없던 가끔의 커피를 홀짝이는 휴식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동료애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며, 장기적으로 직장 효율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 세상이 완벽할 순 없어![*TR] *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주의해야 할 것은 ISFJ의 계획적 운영절차이며, 이는 개인의 성장을 방해하여 침체될 수 있다. 때로는 걱정하는 것이 합리적이지만, 끊임없는 걱정은 행복에 대한 기생충과도 같다. 이따금 완벽주의를 버리고 느슨하게 살자. 엄격한 기준을 풀 때만이 진정한 행복이 찾아온다. == 커뮤니티 == * [[http://gall.dcinside.com/isfj|디시인사이드 갤러리/ISFJ 마이너 갤러리]] == ISFJ에 해당하는 인물 == || {{{#!wiki style="text-align: left" {{{-1 * [[나무위키:기본방침/토론 관리 방침#s-2.3|나무위키 기본방침 규정]]에 따라 '__해당 인물 문서의 프로필 및 여담 참조.__'와 같은 식으로 다른 문서의 내용이 있었다는 사유만으로 근거를 제시할 수 '''없습니다'''. }}}}}} || === 체육인 === * [[곽윤기]] [[https://youtu.be/DFhvGJYQ_aI|출처]] [* 전에 본인 채널에서 MBTI 검사를 했을 때는 [[ISTP]]가 나왔다. 사실 모든 항목이 반반으로 나온 희귀한 케이스라서 결과가 크게 의미가 있는 경우는 아니다. 예전 성격을 고려하면 ISFJ가 더 어울린다는 반응이 우세하다. ] * [[이대형]](前 야구선수) * [[허경민]](야구선수) [[https://youtu.be/jZniABrBhj4|출처]] * [[최성영]] * [[오선진]][* [[https://youtu.be/dNvkz-oM_hY?t=92|#]]] === 연예인 === * [[강승식]] [[https://www.vlive.tv/video/206068|출처]] * [[곽동현(가수)]] * [[규진]] [[https://www.vlive.tv/video/185207|출처]] * [[김강민(1998)]] * [[김경호]] [[https://youtu.be/1-GFbVIBiP4|출처]] * [[김동현(골든차일드)]] [[https://twitter.com/Hi_Goldenness/status/1277214226369544193?s=19|출처]] * [[김시훈(BDC)]] [[https://www.vlive.tv/post/1-18270072|출저]] * [[김재형(아나운서)|김재형]] * [[김진우(WINNER)]][* 라이브 방송을 통해 밝힘.] * [[나르샤(브라운아이드걸스)]] [[https://youtu.be/k3kJz88XuMo|출처]] * [[나플라]] [[https://www.youtube.com/watch?v=E136W4OVG8U|출처]] * [[노정의]] * [[다현(로켓펀치)]] [[https://www.vlive.tv/video/182916|출처]] * [[다현]] [[http://www.vlive.tv/video/198841|출처]] * [[대성(BIGBANG)]][[https://youtu.be/T6W3g587onw|출처]] * [[도영]] [[https://www.vlive.tv/video/182033|출처]] * [[도운]] [[https://twitter.com/dw_day6_drummer/status/1521438243056939008|출처]] * [[루다|루다(우주소녀)]] [[https://youtu.be/LgUH6vA1eNY|출처]] * [[류수정]][* 본인 인스타그램 스토리를 통해 밝힘.] * [[문채원]] * [[메이(체리블렛)]][* [[걸스플래닛999]] 참가자 소개에 적혀있음.] * [[모노그램(가수)]][* 본인 인스타그램 스토리를 통해 밝힘.] * [[민서(세러데이)]] * [[박우진]] * [[백지헌|백지헌(프로미스나인)]] [[https://youtu.be/3RI7hqHjNEk|출처]] * [[벨(시그니처)]] * [[샤오팅|샤오팅(Kep1er)]] [[https://twitter.com/M2MPD/status/1466014232487497728?s=20&t=IiVuWX-R7c0wpNmv6SUnbQ|출처]] * [[소희(로켓펀치)]] [[https://www.vlive.tv/video/182916|출처]] * [[수윤(로켓펀치)]] [[https://www.vlive.tv/video/210045|출처]] * [[시우민]][* 211006 본인 bubble을 통해 밝힘] * [[신지(가수)]] [[https://youtu.be/daVvwHTbuhY|출처]] * [[아이사(STAYC)]] [[https://youtu.be/5F5NvLGchgs|출처]][* [[https://youtu.be/5F5NvLGchgs|출처]]에서는 ISFJ라 언급하는데, 본인이 ISFJ와 [[ESFJ]] 둘 다 나온다고 한다.] * [[아이엔]][* 브이앱을 통해 [[ESFJ]]에서 바뀌었음을 언급했다.] * [[아연(세러데이)]] * [[안영미]] [[https://theqoo.net/square/1472889585|출처]] * [[앨런(CRAVITY)]] [[https://twitter.com/minimanimo_mh/status/1259064293896581120|출처]] * [[야부키 나코]][* [[아이즈원 프라이빗 메일]]을 통해 공개.] * [[여름(우주소녀)]] * [[영재(GOT7)]]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hzl_you&logNo=221235767120&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출처]] * [[유(온앤오프)]] [[https://theqoo.net/onoff/1416255131|출처]] * [[유나(브레이브걸스)]][* [[2021년]] [[4월 27일]] 방영된 [[더쇼]]에서는 [[ESFJ]], ISFJ라고 응답했다. 둘 다 맞는 것 같다고.] [[https://youtu.be/wcXfQ7ZbePo|출처]] * [[유빈(오마이걸)]] [[https://m.dcinside.com/board/ohmygirl/1632218?headid=&recommend=&s_pos=-1626844&s_type=all&serval=Mbti|출처]][* 팬카페에서 답변한 바로는 [[ISTJ]]와 ISFJ가 번갈아서 나왔다고 한다.] * [[유채(NATURE)]] [[https://www.youtube.com/watch?v=9l3_n1JKSNM|출처]] * [[윤경]]([[로켓펀치(아이돌)|로켓펀치]])[* [[로켓펀치(아이돌)|로켓펀치]] 멤버인 [[연희(로켓펀치)|연희]]가 [[https://www.vlive.tv/video/182219?begin=360|[[파일:V LIVE 아이콘.svg|height=20px]]켓치들 모여라아🐶💗]]에서 [[2019년]] 12월에 검사한 결과를 얘기하면서 알려졌다.] * [[윤채경]][* [[ESFP]]에서 ISFJ로 바뀌었다고 언급했다.] * [[위하준]] [[https://youtu.be/Y8omBfarjGI|출처]] * [[이강성]] [[https://youtu.be/xJh-c6S_VXM|출처]] * [[이기광]] [[https://youtu.be/xO0UjsFtCRU?t=447|출처]] * [[이민혁(비투비)]][* 본인 인스타그램을 통해 밝힘.] * [[이석원]] [[https://blog.naver.com/dearholmes/221788132666|출처]] * [[이승재(아나운서)|이승재]][* 일요음악특급을 통해 밝힘.] * [[이우진(GHOST9)]] [[https://youtu.be/xJh-c6S_VXM|출처]] * [[이진우(GHOST9)]] [[https://youtu.be/xJh-c6S_VXM|출처]] * [[장도연]] [[https://youtu.be/0gqqBNMO8h4|출처]] * [[장민호(가수)]] [[https://youtu.be/IgVNItPhdPc|출처]] * [[재민]][* 리슨을 통해 밝힘.] * [[정연(TWICE)]] [[https://youtu.be/in5_9-loKxg|출처]] * [[정채연]] [[https://mobile.twitter.com/leopoldgif/status/1222019285851099138|출처]] * [[정한]] [[https://youtu.be/8YLINCSBaDY|출처]] * [[정화(EXID)]] [[https://mobile.twitter.com/dotdotdot24/status/1130113703355899906|출처]] * [[지수연]] [[https://youtu.be/L5AxmUTmVEs?t=2770|출처]] * [[지아이(FANATICS)]][* [[걸스플래닛999]] 참가자 소개에 적혀있음.] * [[진영(GOT7)]]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hzl_you&logNo=221235767120&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출처]] * [[진솔(이달의 소녀)]][* 2022년 01월 03일 인스타 라이브에서 ISFJ라고 밝힘] * [[진지희]][* 해당 문서 참고] * [[차훈]] [[https://youtu.be/dPf2w-CJR48|출처]] * [[최강창민]] [[https://youtu.be/giC_X1hd6vM|출처]] * [[태연]]([[소녀시대]]) [[https://youtu.be/akotTL0wBYQ|출처]][* 본인 인스타그램 스토리에서 언급한 바로는 [[INFJ]]와 ISFJ가 번갈아서 나왔다고 한다.] * [[하승리]] [[https://www.youtube.com/watch?v=oeUAjTP0io8|출처]] * [[한승연]] [[https://youtu.be/JWrK03zi9Yk|출처]] * [[한승우]] [[https://www.vlive.tv/video/206068|출처]] * [[헤이즈]] * [[후이]] [[https://www.melon.com/musicstory/inform.htm?mstorySeq=10767&startIndex=0&musicToday=Y|출처]] * [[SORN]] [[https://www.instagram.com/s/aGlnaGxpZ2h0OjE3ODU1NjQyMTM4MTYyNTQy?igshid=1sinnvfztdti0&story_media_id=2385388574747902212|출처]] * [[고정현]] : 인스타 스토리 질의응답에서 나온 결과 === 인터넷 방송인 === * [[가온(유튜버)|가온]] [[https://youtu.be/cwcsmI7Gl_o|출처]] * [[개인팟]][* [[9월 14일]]자 [[트위치]] 생방송 중 말함] * [[갱이와]][* [[1월 15일]]자 생방송 중 말함] * [[견자희]] [[https://youtu.be/qRsX9Bon73A|출처]] * [[금사향(인터넷 방송인)|금사향]][* [[2월 13일]]자 [[트위치]] 생방송 언급] * [[김성현(프로게이머)]] [[https://youtu.be/nNmgmaEQmbI|출처]] * [[파뿌리(유튜버)#s-2.3|노랭이]] [[https://www.youtube.com/watch?v=ujMv3FVRQCY|출처]] * [[닼발]] * [[디바제니]] [[https://www.youtube.com/watch?v=V8G1y8Rr_I8|출처]] * [[램램]][* [[1월 21일]]자 [[트위치]] 생방송 중 밝힘] * [[마뫄]] * [[빅페이스]] [[https://www.youtube.com/watch?v=_PoAyfkcS04|출처]] * [[솜살랑]] * [[슬돌이]] [* [[2021년]] [[8월 20일]]자 아프리카TV 공지 게시글에서 밝혔으며, 본인이 성격 유형 테스트에서 러시안블루가 나왔다고 본인의 공지 댓글에서 언급했다.[[https://bj.afreecatv.com/seul0316/post/76627366|출처]]] * [[시몬(유튜버)|시몬]] [[https://www.youtube.com/watch?v=REXM6NE8BnU|출저]] * [[썸앤쿡#s-2.1|써미]] * [[얏따]] [[https://tgd.kr/yattaa_/36605832|출처]] * [[여행가 제이]] [[https://youtu.be/ivWoUESPy2s|출처]] * [[연츄]] [[https://youtu.be/gnBPOP7YujM?t=225|출처]] * [[임선비]] [* [[4월 21일]]자 [[아프리카 TV]] 생방송 중 밝힘] * [[조은(유튜버)|조은]] [[https://youtu.be/SinqceZOb6g|출처]] * [[찐며든사랑]][* 본인의 인스타그램 프로필에서 밝힘.[[https://instagram.com/lovely_srx_|출처]]] * [[느낌적인 느낌|주랄라]] * [[주호민]] [[https://youtu.be/AnXM9fV7n1o|출처]] * [[피글로그]] [[https://youtu.be/76Ls2LCD_vs|출처]] * 박지현 [[https://youtu.be/qBD9OrTXfHY|출처]] * [[곽보성]](프로게이머) [* 2022년 2월28일 개인방송에서 밝힘] * [[다즈비]] * 이샛별 [[https://www.youtube.com/watch?v=O4dKUAMt9vE&t=89s|출처]] * [[자까]](웹툰작가)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751013&no=1&weekday=wed|출처]] * [[허수(프로게이머)]][* 도유 라이브 방송에서 나온결과] * [[서넹]] [[https://clips.twitch.tv/SincereHelpfulCarabeefPipeHype-XJ6AV4Ns3t1T0reD|출처]] === 캐릭터 === 개인의 독자연구가 아닌, '''작중에 명시되었거나 작가 측에서 공인한 경우'''만을 등재할 것. * [[걸어서 30분]] - 박현준 * [[고래별]] - 허수아 * [[겨울 지나 벚꽃]] - 서해봄 * [[내일(웹툰)|내일]] - [[구련]] * [[대학일기]], [[독립일기]] - [[자까]], 자까의 아버지 * [[데뷔 못 하면 죽는 병 걸림]] - [[선아현]] * [[랜덤채팅의 그녀!]] - [[박하민(랜덤채팅의 그녀!)|박하민]] * [[바니와 오빠들]] - 박경휘(휘) * [[바른연애 길잡이]] - 정바름, 신재현 * [[베리드 스타즈]] - [[한도윤]], [[민주영]] * [[아홉수 우리들]] - 김우리 * [[어글리후드]] - [[줄리아 마틴]],[[헨리 브라이언트]] * [[연애혁명]] - [[최한별]], [[방예슬]] * [[와이키키 뱀파이어]] - 이언주 * [[이두나!]] - [[김진주(이두나!)|김진주]] * [[인소의 법칙]] - [[권은형]], [[신서현(인소의 법칙)|신서현]] * [[인어를 위한 수영교실]] - 이이슬 * [[취향저격 그녀]] - 지찬열 * [[캡틴 아메리카]] * [[테일즈런너]] - [[빅보]], [[유키(테일즈런너)|유키]], [[하랑(테일즈런너)|하랑]] === 기타 === * '''[[엘리자베스 2세]]''' * '''[[테레사 수녀]]''' == ISFJ 정서문화를 가진 지역 == *[[스위스]] *[[오스트리아]] *[[웨일스]](에니어 9w8) *[[캐나다]](에니어 9w1) *[[일본]](에니어 9w1) *[[베트남]] *[[말레이시아]] *[[리히텐슈타인]] *[[호주]] 서부 (퍼스 등) *[[미국]]의 [[미네소타]] 등 북부내륙, *[[우크라이나]] == 문서 작성 시 유의사항 == || {{{#!folding ◎ 출처 표기에 대한 설명 ◎ {{{#!wiki style="text-align: left" {{{-1 [br]'''{{{+1 0) 공통 사항}}}''' * 원문을 직역했을 때 오히려 이해가 흐려지는 부분이 있으므로, 일부 진술을 이해 목적에 맞게 '''각색하거나 추론'''한 부분이 있음. * 예상 독자들로 하여금 문서 정독에 지루함을 느끼지 않게 한다는 차원에서 원본의 문장 구조를 변형하거나 순서를 재조합, 이에 따른 적합한 접속사의 추가 등이 수반되었음. 비슷한 내용은 가급적 ^^{{{[∑]}}}^^ 각주로 묶거나 다루지 않았음.[br] '''{{{+1 1) 출처 표기용 각주}}}''' * [*16P [[https://www.16personalities.com/infp-personality|infp-personality]][br]© 2011-2021 NERIS Analytics Limited.[br] '''1.''' 영국(잉글랜드·웨일즈) 법에 따라 규율된 내용으로 수백 가지 선구적 연구를 통하여 해석되는 항목들임.[br] └ 심리 테스트의 기반이 된 [[Big5]]보다는 신뢰도가 낮으나 [[https://www.16personalities.com/articles/reliability-and-validity|16personalites의 ‘관계성과 타당성’]] 설명문에서 여러 통계적 수치를 제공하면서 신뢰도가 입증되었다고 밝힘.[br]'''2.''' [[나무위키:기본방침/토론 관리 방침#s-2.7.5|나무위키 토론 관리 방침 '신뢰성 판단' 조항 중 8순위 내용 중 하나인 '해당 분야에 대한 준전문가가 저술한 자료(해당 분야 경력자 등)']]에 준하는 내용.] '''[[16Personalities]]''' : 심리 테스트의 기반이 된 [[Big5]]보다는 신뢰도가 낮으나 [[https://www.16personalities.com/articles/reliability-and-validity|16personalites의 ‘관계성과 타당성’]] 설명문에서 ‘일관성(응답자: 10,000명 이상)’ 부문 크론바흐 알파 계수가 0.75와 0.87 사이로 높게 나타남. ‘검사-재검사 관계성(응답자: 2,900명 이상)’의 부문 상관 계수가 0.74와 0.83 사이로 높게 나타남. 척도별 독립성을 나타내는 ‘판별 타당성(응답자: 10,000명 이상)’ 부문에서도 오차의 범위는 -0.29에서 0.37 사이로 나타남(참고로 오차 허용치는 0.70에서 0.80). 또한 재평가를 받은 사람은 약 6개월 정도 휴식을 취한 후에도 모든 척도에서 비슷한 점수를 받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밝힘. * [*TR [[https://www.truity.com/personality-type/INFP|The INFP Personality Type]][br]COPYRIGHT © 2020, TRUITY. ALL RIGHTS RESERVED.[br][[나무위키:기본방침/토론 관리 방침#s-2.7.5|나무위키 토론 관리 방침 '신뢰성 판단' 조항 중 8순위 내용 중 하나인 '해당 분야에 대한 준전문가가 저술한 자료(해당 분야 경력자 등)']]에 준하는 내용.[br]└ [[상담심리학]] 석사 학위를 가지고 있는 ‘몰리 오웬스(Molly Owens)’가 세운 기관. 양질의 성격 테스트를 더 저렴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립한 기관이라고 소개함(2012).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 홀랜드 코드, [[Big5]], 디스크, [[애니어그램]]에 기반한 평가 개발을 주도해 왔음.] '''[[TRUITY]]''' : [[상담심리학]] 석사 학위를 가지고 있는 ‘몰리 오웬스(Molly Owens)’가 세운 기관. 양질의 성격 테스트를 더 저렴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립한 기관이라고 소개함(2012).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 홀랜드 코드, [[Big5]], 디스크, [[애니어그램]]에 기반한 평가 개발을 주도해 왔음. * [*AS [[https://www.career4u.net/tester/mbti_intro.asp#|어세스타]]] '''어세스타''' : 한국의 기업으로 인간의 생각과 마음을 연구하는 심리평가 및 서비스 기관이라고 소개함. 자체 연구 인력을 통해 심리평가 도구를 개발하거나 해외의 검증된 도구를 국내화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전문가를 양성하는 교육과 현장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적용프로그램을 체계화하여 운영하고 있음. * [*MKR [[https://www.mbti.co.kr/|한국 MBTI 연구소]]] '''한국 MBTI 연구소''' : 1990년 6월 1일 심혜숙 박사와 김정택 박사에 의해서 설립됨. 설립 이후 MBTI에 관련된 꾸준한 교육, 저술, 연구 및 번역활동을 진행중. * [*MM [[https://jinsengjellyfish.tistory.com/42|MBTI Form M]]] ''''MBTI Form M 책자''''의 사진이 첨부된 블로그 * [*INT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xkX1YAgTk1ngy2RHReuBxcR-eRtoTq6_|MBTI 시즌 1 # 16가지 성격 유형]][br]나무위키 토론 관리 방침 '신뢰성 판단' 조항 중 8순위 내용 중 하나인 '해당 분야에 대한 준전문가가 저술한 자료(해당 분야 경력자 등)'에 준하는 내용.[br]└ '저술하다'의 정의는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글이나 책 __따위__를 쓰다'인데, 해당 영상은 대부분의 분석 내용이 영상 자막에 '''글로써''' 작성되어 있음. 또한, '자료'의 정의에 의거하면 영상 자료 역시 자료의 범주에 부합한다고 볼 여지가 충분함.] '''인터TV''' 내의 MBTI 시즌 1 영상 리스트 : '심리 분석 전문가'를 자처하고 있으며, 'MBTI GCP 과정 수료', '심리분석사 1급', '심리상담사 1급' 등의 경력을 보유하고 있음. 또한, 심리 분석 상담 등을 진행중이므로 '준전문가' 이상의 지위에 부합함.[*증거 [[https://www.youtube.com/watch?v=naBN1mG-zkM|영상]]] INFP 영상 뿐 __아니라__ 각 심리 기능에 관한 비교 및 분석, 타 유형에 대한 분석 등의 자료 역시 '''일부 포함되어 있음'''. * [*SO [[http://www.socionics.com/rel/rel.htm|사회인격학 공식 페이지]] '소시오닉스(Socionics)'라고도 하며,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유전학적으로 타고난 심리 유형에 따라 결정지을 수 있다고 보는 실험적 이론임. 또한, 해당 출처는 각 성격 유형관의 관계를 분류해놓은 웹 페이지임. Relations between Psychological ("personality") Types, 해석하면 '성격 유형 간의 관계'] * [*ETC] 기타 출처 : 상기한 출처 이외의 사이트에 기반한 출처에 첨부하였음. {{{#!folding ▼ '기타 출처'에 해당하는 출처 목록 * [*ETC1 [[https://students.usask.ca/documents/secc/ISTJ.pdf]]] (설명) * [*ETC2 [[https://personalityjunkie.com/06/cognitive-type-functions-eye-movements-ni-ne-fi-ti-se-si-fe-te/|출처]]] (설명) * [*ETC3 [[https://www.typeinmind.com/fine|출처]]] (설명) }}} '''{{{+1 2) 편집 도구용 각주}}}''' * [*∑ 출처가 있는 서술은 아니나 모두 출처를 밝힌 하위 리스트의 공통점만 추출하였기에 토론 합의 사항에 부합함.] __출처를 밝힌__ 하위 리스트들의 '''공통적 특성을 종합'''하여 상위 리스트로 진술한 것. 하위 리스트 각 항목이 출처를 밝혔으므로 출처를 따로 표기하지 않을 수 있음. * [*⊃ 해당 서술의 하위 항목들은 전부 이 서술과 같은 출처를 가지고 있음.] 하위 리스트의 서술이 상위 리스트의 서술과 '''전부 같은 출처'''를 가지는 경우에만 하위 리스트의 출처를 표기하지 않고 상위 리스트에 이 각주를 함께 첨부함. 이 때, [*∑] 각주가 첨부된 서술은 고려하지 않는다. * [*(번호)] '통계 자료' 또는 '참고용'으로 밝히는 출처. 이 경우엔 사실관계를 재확인하여 신뢰성이 낮을 경우 삭제할 수 있음.}}} }}} }}} || || {{{#!folding ◎ 지표 및 기능 관련 각주에 대한 설명 ◎ {{{#!wiki style="text-align: left" {{{-1 [br] '''※ 이 각주는 반드시 첨부할 필요는 없습니다!''' 어디까지나 자신이 어떠한 특성에 대한 '''부연 설명'''을 덧붙이고 싶을 때만 문장으로 따로 쓰지 말고 이 각주를 첨부하면 됩니다. [br]'''{{{+1 1) 4가지 선호 지표}}}''' * [*I 내향형의 특징] : '''I유형'''이기 때문에 나타날 법한 특성 * [*S 감각형의 특징] : '''S유형'''이기 때문에 나타날 법한 특성 * [*T 사고형의 특징] : '''T유형'''이기 때문에 나타날 법한 특성 * [*P 판단형의 특징] : '''J유형'''이기 때문에 나타날 법한 특성 '''{{{+1 2) 4가지 심리 기능}}}''' * [*1Si Si가 주기능이기 때문] : '''Si가 주기능'''이기 때문에 나타날 법한 특성 * [*2Te Te가 부기능이기 때문] : '''Te가 부기능'''이기 때문에 나타날 법한 특성 * [*3Fi Fi가 3차 기능이기 때문, 혹은 3차 기능에 불과하기 때문] : '''Fi가 3차 기능'''이기 때문에 나타날 법한 특성 * [*4Ne Ne가 열등 기능이기 때문] : '''Ne가 열등 기능'''이기 때문에 나타날 법한 특성}}} }}} }}} || || '''◎ 편집에 있어서 유의해야 할 점 ◎''' {{{#!wiki style="text-align: left" {{{-1 * 편집 지침에 따라 성격 유형을 해설하는 모든 서술은 [[나무위키:기본방침/토론 관리 방침#s-2.7.5|나무위키 토론 관리 방침 '신뢰성 판단' 조항 중 8순위]] 이상의 근거를 반드시 출처로 제시하여야 합니다. * 성격 유형에 관한 이슈 등에 관한 서술은 주관적 평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INFP, version=3069, title2=ISFP, version2=1759)] [[분류:16가지 성격 유형]] [include(틀:포크됨2, title=ISFJ, d=2022-07-13 18:17: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