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인셉션)] [목차] == 개요 == 2010년 발매된 영화 [[인셉션]]의 [[사운드트랙]] 앨범. [[한스 짐머]]가 작곡에 참여하였다. 짐머의 말에 따르면 [[일렉트로닉 뮤직|전자적인 음악]]을 많이 차용하였다고 한다. [[엔니오 모리코네]]와 비슷한 기타 사운드를 만들기 위해 [[스미스]]의 전 [[기타리스트]] [[조니 마]]와 함께 작업하였다. 한스 짐머는 작곡을 할 때 기타 부분은 조니 마 같은 기타리스트가 그걸 연주하기를 바랐다. 완성되고 난 후 짐머가 [[크리스토퍼 놀란]]에게 조니 마 같은 기타리스트를 데려올 거라고 얘기했는데 그 순간 둘은 "[[우문현답|그냥 조니 마가 연주하게 하면 되잖아?]]"라고 생각했다고. == 트랙 리스트 == ||<-4> {{{#ff2424,#db0000 ''' ''Inception: Music from the Motion Picture'' '''}}} || ||<-4> [[한스 짐머|{{{#060e16,#99cbff ''' ''by 한스 짐머''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nception: Music from the Motion Picture.png|width=100%]]}}} || || '''순서''' || '''제목''' || '''시간''' || '''듣기''' || || 1 ||Half Remembered Dream || 1:12 || [[https://youtu.be/iaGLiXCIgb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We Built Our Own World || 1:55 || [[https://youtu.be/tSl0KjR5V9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3 ||Dream Is Collapsing || 2:28 || [[https://youtu.be/Jx5KJQb0pD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4 ||Radical Notion || 3:43 || [[https://youtu.be/ZEpYcwmUkz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5 ||Old Souls || 7:44 || [[https://youtu.be/9V1cO9LFUL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6 ||528491 || 2:23 || [[https://youtu.be/NX7yOVVr_d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7 ||Mombasa || 4:54 || [[https://youtu.be/CPgPxGX6nN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8 ||One Simple Idea || 2:28 || [[https://youtu.be/F7D5aSa-Ll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9 ||Dream within a Dream || 5:04 || [[https://youtu.be/sZYgsZPAPS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0 ||Waiting for a Train || 9:30 || [[https://youtu.be/mmIBoJfPx8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1 ||Paradox || 3:25 || [[https://youtu.be/NK2zamMIf8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2 ||Time || 4:35 || [[https://youtu.be/jgyShFzdB_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4> {{{#060e16,#99cbff '''보너스 트랙'''}}} || || 13 ||Projections || 7:04 || [[https://youtu.be/lj0kY5sKXX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4 ||Don’t Think about Elephants || 5:35 || [[https://youtu.be/ap_xYZLyCp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이와 별개로 트레일러에서 쓰였던 노래는 "Lorne Balfe - Inception" 및 "Zack Hemsey - Mind Heist"이다. == 해석 == [include(틀:스포일러)] 각각의 사운드 트랙의 제목은 모두 인셉션의 내용과 연결되어 있다. * Half Remembered Dream(반쯤 잊혀진 꿈) 코브가 림보에서 다 늙어가는 사이토와 재회했을 때 사이토가 토템을 보고 "반쯤 기억나는 꿈에서 남자가 가지고 있던 물건"이라고 언급한 대사에서 따온 것이다. 참고로 인셉션의 킥 노래인 [[에디트 피아프]]의 'Non, je ne regrette rien'를 길게 늘리면 Half Remembered Dream의 일부 파트와 비슷한 노래가 된다. * We Built Our Own World(우린 우리만의 세계를 지었어) 코브가 아리아드네에게 자신이 과거 맬과 림보에서 함께 살았을 때 자신들만의 세계를 만들었다는 것을 고백할 때 말하는 대사이다. * Dream Is Collapsing(꿈이 붕괴되다) 맨 처음 사이토 익스트랙션 작전에서 2단계 꿈(일본식 대저택)에서 1단계 꿈(사이토 개인 자택)으로 깨어난 아서가 내쉬에게 했던 대사. 참고로 이 곡은 여러 TV 쇼나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도 쓰이며 [[유튜브]]의 각종 [[밈]]에 BGM으로 쓰이는 일이 많아졌고 유튜브 덧글에는 죄다 이 곡의 클라이맥스가 시작되는 시간을 적은 다음에 ''''When -''''[* 한국어로 번역하자면 '~했을 때'가 적절하다.]으로 시작되어 이 BGM에 어울리는 적절한 상황을 도배하기까지 한다. 예를 들자면 '1:34 '''When''' you realize that you are in a wrong train and you are already leaving station.(1:34 열차를 잘못 탄걸 깨달았지만 이미 열차는 역을 빠져나가고 있을 '''때''')'. 이 중 제일 압권인 것은 'When you realise every comment starts with '''when'''(덧글이 전부 '''때'''로 시작하는 것을 깨달았을 '''때''')'. * Radical Notion(급진적인 관념) 아리아드네가 거리를 휘는 장면에서 사용됨. 제목 자체는 늙은 사이토가 코브의 토템을 회상하며 "아주 급진적인 관념을 가진 남자가 가진 것이었지"라는 대사에서 따온 것. * Old Souls(늙은 영혼들) 코브가 맬과 함께 림보에서 몇십 년을 살았던 것을 빗대어 육체적인 나이는 그대로일지라도 정신적으로는 몇십 년을 살았기에 영혼이 늙었다고 표현한 것. ~~또한 사이토를 구하느라 림보에서 또 몇십 년을 지냈으니 더 늙게 됐다. 이쯤 되면 뇌가 버틸 수 있을까 싶을 정도~~ * 528491 코브 일행이 피셔에게 존재하지 않는 금고 비밀번호에 대해 지속적으로 캐물으며 피셔가 결국 임의적으로 아무런 넘버나 말하게 만들고 그 넘버를 피셔의 무의식에 비밀번호라고 각인시킨 것. 이 덕분에 2단계 꿈에서 보면 코브 일행이 2단계 꿈으로 들어간 호텔 방의 번호가 528이며 바로 아래층에서 폭탄을 준비했던 호텔 방 번호는 491번이고 3단계 꿈에 있던 금고의 비밀번호가 528491이 되었다. * Mombasa(뭄바사) 코브가 코볼 사 직원들로부터 도망치는 뭄바사 추격전에서 사용된 노래. 이후 피셔 인셉션 작전 중 안전 지대에서 아서와 임스가 투사체들을 총으로 쏘는 장면에서도 일부 사용되었다. * One Simple Idea(한 가지 작은 생각) 코브가 인셉션에 대해 설명할 때 "A simple idea that I knew would change everything(하나의 작은 생각이 모든 것을 바꾼다)."라고 언급한 데에서 땄다. * Dream Within a Dream([[꿈속의 꿈]]) 인셉션의 메인 아이덴티티. * Waiting for a Train(기차를 기다리며) 코브가 림보에서 맬과 자살하여 현실로 깨어나기 위해 기찻길에 누워서 열차가 오기 직전 맬에게 했던 대사 "당신은 기차를 기다리고 있어, 당신을 멀리 데려다줄 기차를, 원하는 데로 데려다줄 건 알지만 그게 어디인지는 몰라 하지만 그건 상관없어. 왜일까?"에서 따온 것이다.[* 이때 맬은 "왜냐면 우리가 함께일 테니까!"라고 말하자마자 둘 다 열차에 치여 현실로 깨어난다.] 이후 맬이 코브의 눈앞에서 자살할 때도 같은 대사를 외쳤다. 이 트랙의 7분 4초경 Non, je ne regrette rien가 흘러나온다. * Paradox(역설) 아서가 꿈에 대해서 설계할때 투사체들을 잠시 피할 수 있는 꿈의 구조인 '패러독스'에 대해 설명한 것에서 따온 것. * Time(시간) 꿈속의 꿈으로 들어갈 수록 시간이 매우 빠르게 흐르며 림보에서는 거의 현실에서 불가능한 수준의 초고속도로 흐른다는 설정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이 OST가 흐른 장면이 코브가 여객기에서 깨어나 집으로 돌아가고 아이들과 만나는 장면에서 사용된 것이란 점을 감안하면 코브는 더 이상 아이들과 함께 했던 때(Time)로 돌아갈 수 없다며 한탄해 왔지만 그것을 이뤘기 때문에 해당 OST의 이름이 Time이라는 해석도 있고, 혹은 이 OST는 코브가 여객기에서 깨어나자마자 사용된 것이기에 지금까지 꿈속 '거짓된 시간의 흐름' 속에서 살다가 현실로 깨어나 드디어 '현실에서의 시간의 흐름'을 살게 되어 OST 이름이 Time이라는 해석도 있다. * Projections(투사체) 꿈속의 인물들을 뜻하는 말. 이 음악 전체가 사이토 미션에 쓰였다. * Don't Think About Elephants(코끼리는 생각하지 마) 아서가 사이토에게 인셉션은 불가능하다고 말할 때 사용했던 인용구. 언어심리학자 [[조지 레이코프]]의 유명한 이론이다. [[분류:2010년 음반]][[분류:영화 음악]][[분류:인셉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