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1.bp.blogspot.com/Chinese+J-15+Flying+Shark+and+Varyag+Aircraft+Carrier++takoff+operational+carrier+landing+missile+sd-10+pl-12+pl-10+asr+bvr+ramjet+pgm+ls-6+(1).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15_l5.jpg|width=100%]]}}}|| || {{{#white '''J-15'''}}} || [목차] == 개요 ==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항공대]]의 [[함재기]]. [[001형 항공모함]]과 [[002형 항공모함]]에 탑재되었다. 별명은 '''나는 상어'''^^(飞鲨, 페이사)^^, [[NATO 코드명]]은 [[Su-27|플랭커-X2]]이다. == 제원 == |||| 승무원 || 1명 / 2명 || |||| 길이 || 21.9m || ||||<|2> 날개폭 || 14.7m || || 접었을 경우 7.4m || |||| 높이 || 5.9m || |||| 주익면적 || 62.04m2 || |||| 경하중량 || 17,500 kg || |||| 만재중량 || 27,000 kg || |||| 최대이륙중량 || 33,000 kg || |||| 엔진 || 2 × WS-10A 애프터버너 터보팬 || |||| 드라이 추력 || 89.17 kN (20,050 lbf) 각각 || |||| 애프터버너 추력 || 135 kN(33,000 lbf) 각각 || |||| 최고속도 || 마하 1.98 || |||| 항속거리 || 3,500km || |||| 운용고도 || 20,000m || |||| 상승률 || 325m/s || ||<|4> 무장 || 기관포 || 1 × 30 mm GSh-30-1 기관포, 150 발 || || 하드포인트 || 12개 || || 공대공 미사일 || 8 × PL-12 또는 8 × R-77, 4 × PL-9 또는 4 × R-73 || || 전자전 || ECM 포드 || == 상세 == 본래 중국은 바랴그의 항공모함을 재생하기로 결정하면서 함재기로서 [[Su-27]]의 함재기형인 [[Su-33]]을 라이센스 생산하려고 했다. 그러나 Su-27의 라이센스 사업인 J-11 사업에서 러시아 측은 중국이 계약을 어기고 지적 재산권을 침해했다고[* 몰래 부품을 뜯어봤다는 이야기.] 주장하며 중국과 더 이상의 라이센스 계약을 하지 않기로 방침을 정했다. 그래서 중국은 함재기를 도입할 길이 막히게 된다. 그러다 2001년 중국 측에서 [[우크라이나]]에 손을 뻗어 우크라이나가 보유하고 있던 Su-33의 원형기인 T-10K-3을 손에 넣었다.[* 당시 우크라이나는 소련 붕괴 이후 갑작스레 떠안게 된 구 소련군의 막대한 양의 군수물자를 사방에 헐값으로 팔아치우고 있었다.] 마침 중국은 이 시험기의 원형기인 Su-27 복제 사업을 해봤기 때문에 T-10K-3을 분석하는 일은 그다지 어렵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러시아가 애비오닉스 부품공급을 중단했기 때문에 J-15는 껍데기만 Su-33의 모습이고 안의 부품은 중국산이 들어간다. 그러나 초도비행시 장착했던 엔진은 러시아제 AL-31[* 중국 국산 [[J-10]]에도 이 엔진이 들어간다.]이며, 양산형에는 중국제 FWS-10가 들어간다고 한다. 러시아인들은 이런 중국 측의 불법복제에 대해 "짝퉁이니 원판에 못미치겠지"라고 시니컬하게 반응하고 있다. [youtube(FK84FrDe5_0)] 2010년 모의 항공모함에서의 발착을 성공적으로 수행했고, 201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001형 항공모함]]에 탑재되어 운용되기 시작했다. 일부 해외 전문가들이 중국제 함재기는 몇년간 항공모함에서 이착륙을 못할 것이라고 예상했던 것을 비웃듯이, 중국은 2012년 11월 25일 J-15가 001형 항공모함에서 성공적으로 발착하는 것을 공개했다. [[파일:J-15_CATOBAR.jpg]] 중국이 2개의 항공모함을 성공적으로 운용한 뒤 이후에 도입할 [[캐터펄트]] 방식의 항모인 [[003형 항공모함]]을 위해서 캐터펄트에 대응하기 위해 [[랜딩 기어]]가 강화된[* 사진의 회색 기체와 항목 최상단의 기체의 전방 랜딩 기어를 비교하면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캐터펄트 사출에 대응하기 위해 전방 랜딩 기어가 무지막지하게 굵어진 것이 눈에 띈다.] J-15 또한 확인되었기에 J-15는 앞으로도 장기간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항공대의 주력 전투기로 활약할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003형 항공모함]]에는 기존의 초기형 J-15를 대신하여 캐터펄트 이함에 대응하도록 [[랜딩 기어]] 강화 등의 개수가 행해진 개량형인 J-15B와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의 [[선양 J-16|J-16D]] 또는 [[미 해군]]의 [[EA-18G]]에 대응하는 [[전자전기]] 사양인 J-15D가 탑재될 것이라고 전망되고 있다. == 양산 및 배치 == 001형 항공모함이 처음 배치된 2012년에는 J-15는 20여기가 생산되었다고 추정되었으며, 2016년 12월 서해에서 출발해 서태평양까지 나와서 훈련을 하고 있는 [[001형 항공모함]]에는 10여 대가 실려져 있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2010년대 중반 홍콩 언론인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는 J-15가 여러 결함 때문에 양산이 어렵다고 보도했다. 2014년 10월 "중국군의 WS-10A 엔진에 대한 인내심은 한계에 도달했으며, 중국 공군 및 해군 항공대는 WS-10A를 포기하고 AL-31F 엔진을 도입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중국 정부가 거부하고 있고, AL-31F 엔진의 보유 수량마저 부족해 충분한 양을 확보할 때까지 J-15/16 전투기의 양산을 중단해야 할 판" 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http://www.wantchinatimes.com/news-subclass-cnt.aspx?id=20140909000029&cid=1101|#]] 캐나다에 서버를 둔 중국 군사 전문 매체인 [[칸와 디펜스 리뷰]]는 양산 계획이 엎어져버렸다고 주장했다.[[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104&oid=003&aid=0007204005|#]] 중국 국방부는 7월 공식 매체를 이용하여 4월에 있었던 J-15의 추락 사고를 발표했다. 조종사 장차오 대위(29세)는 사망했다. 이 때문에 J-15에 기술적인 문제가 있는게 아니냐는 분석이 있다. 물론 어차피 신형기의 사고는 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거기에 함재기는 중국이 처음으로 만드는 것이다.] 생산 초기의 잦은 사고는 불가피하다. 그러나 2018년 7월 J-15가 양산 문제를 극복하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소식이 홍콩의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를 통해 흘러나왔다. 이 보도에 따르면 J-15의 추락은 언론을 통해 공개된 2건이 아니라 4건이며 중국 항공 전문가들도 이러한 잦은 추락이 설계상 결함에 기인한 것임을 인정한 뒤 [[FC-31]]을 염두에 두고 대체 기종을 연구하고 있다는 것이다.[[https://www.scmp.com/news/china/diplomacy-defence/article/2153803/china-working-new-fighter-jet-aircraft-carriers-replace|#]] '''그러나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의 보도는 중국의 2번째 항모인 [[002형 항공모함]]이 취역한 현재는 사실무근으로 보인다.''' J-15가 양산 중단되었다는 보도에도 불구하고 002형 항공모함의 함재기로 J-15가 탑재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최초의 자력 건조 항모인 [[https://www.asiae.co.kr/article/2019122614131240026|산둥함의 함재기로 결정되었다고 한다.]]. 2018년 개발된 양산용 엔진 WS-15H의 품질이 [[https://news.joins.com/article/22952270|러시아제 AL-31F에 근접한 점]]이 양산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즉 산둥함에 탑재되는 J-15는 기존의 WS-10A가 아닌 WS-15H 엔진이 탑재하여 양산된다. 다만 문제가 되는 플라이바이와이어는 개선이 얼마나 이루어질 것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2020년 2월 21일에 제조사인 선양사가 J-15의 생산을 재개한다고 발표했다.[[https://milidom.net/index.php?mid=news&page=15&document_srl=1192443|관련내용]] 아마도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7/05/2018070501071.html|현재 개발되는 차기 함재기]]는 일단 항모에 J-15를 채우고 난 다음에 생각하려는 모양이다. J-15의 양산이 2018년에 일시적으로 중단된 건 사실로 보인다. 하지만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의 보도대로 기체 결함 문제때문에 양산이 중단된게 아니라, 새롭게 개발된 신형 WS-15H 엔진의 양산 계획에 맞추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위 기사들을 종합하면 WS-15H 엔진이 본격적으로 양산되자 J-15도 다시금 양산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의 J-15 양산 중단 보도는 오보로 판명되었다. 현재 J-15의 추정생단대수는 50여기 이상으로, 원판 Su-33의 30여대보다 더 많으며, 중국의 3번째 항공모함인 [[003형 항공모함]]도 배치가 임박했기 때문에 앞으로도 더 많이 생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당국은 이 전투기를 일단 배치하고 문제점을 개선해 나가는 것이 전략적으로 더 이익이라는 결론을 내린 듯 하다. 2020년 야간 동종 공중 급유(J-15끼리의 공중급유)에 성공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https://www.defenseworld.net/news/27525/China_s_Carrier_Borne_J_15_Jets_Qualified_for_Night_time_Buddy_refueling#.YFfYJK9KiUk|#]] 중국의 항공모함 운용이나 배치가 여러가지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이는 불가피한 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어차피 경험 없는 나라가 항공모함을 제대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시행 착오를 거쳐야 하며, 항공모함 운용국중에서 초기 운용에서 시행착오를 안 겪은 나라가 거의 없다. 미국도 제2차 세계대전 이전에 초기 항공모함 초기 건조 당시 엄청난 시행착오를 겪었으며[* 미국이 건조한 본격적인 항모라고 볼 수 있는 [[렉싱턴급 항공모함]]은 취역후 10년 동안인 1930년대 내내 비행갑판, 동력시스템, 항공기 이착륙 장치등 여러군데를 뜯고 고치기를 반복했다. 당시 미국도 처음 건조해보는 항공모함이라서 이런저런 시행착오를 겪었다.], [[아카기]]에서 보듯이 일본도 마찬가지였다. 소련도 [[키예프급]]을 처음 건조하면서 저지른 시행착오가 유명하고 이런 현상은 항공모함을 수십년 간 운용해온 프랑스와 영국도 마찬가지였다. 최근에도 프랑스는 [[샤를 드 골급 항공모함]]을 건조하며 시행착오를 겪었고, 영국도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을 건조하며 함재기 운용 때문에 갑판을 뜯고 다시 만드는 등의 문제를 보인 바 있다. 오히려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착실히 항공모함 운용능력을 확실하게 기르는 것이야말로 동아시아 군사력경쟁에 가장 큰 위협이 되는 요소이다. 항공모함 운용능력이 안정되고나면 항공모함의 유무가 주변국에 대한 영향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중국으로서는 J-15 이외의 다른 대안도 없는데, 현재 함재 전투기를 만드는 세 나라 중 미국과 프랑스는 서방 진영이라서 외계인이라도 쳐들어오지 않는 이상 중국에 함재기를 팔 리 없고, 러시아는 J-11 사업에서 중국이 불법 복제를 했다고 주장하며 함재기 판매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남중국해의 급박함을 생각하면 함재기든 항공모함이든 우선 배치하고 시행 착오를 고쳐나가는 방향으로 나갈 듯 하다. == 등장매체 == * 게임 [[모던 워쉽]]에서 2티어 공격기로 등장한다. 1사이클 당 딜량이 77000이지만 왠지 사용하는 사람이 없다. == 관련 문서 == * [[제트전투기]] * [[함재기]] * [[J-11]] * [[항공 병기/현대전]] * [[001형 항공모함]]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중국 항공병기)] [include(틀:제트전투기/아시아)] [Include(틀:항공병기 둘러보기)] [각주] [[분류:4세대 / 4.5세대 전투기]][[분류:항공 병기/현대전]][[분류:중국군/항공기]][[분류:Su-27]][[분류:2009년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