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J-POP이란 [[서양]] 팝 가운데서도 소프트팝의 영향을 받아 [[일본 문화]]와 융화되어 탄생한 [[대중음악]]을 뜻한다. == 특징 == [[1988년]] [[10월]]에 개국한 도쿄의 [[FM방송]]국 J-WAVE에서 J-POP이란 단어를 처음 만들었다. 1989년 가을에는 J-WAVE에서 'J-POP 클래식'이 방송되기 시작했다. 저널리스트 우가야 히로미치에 의하면, 1985년 일본전매공사가 민영화되어 일본담배산업(JT)이 되거나 1987년 일본국유철도가 민영화되어 JR이 출범하는 등, "J"라고 하는 문자가 정착하던 시기였다고 한다. 이런 풍조에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냐는 의견을 냈다. 일본 가요계는 싱어송라이터의 비중이 매우 큰 편이다. [[오자키 유타카]], [[우타다 히카루]]가 대표적인 예다. 실제로 일본 연예계에서 싱어송라이터들은 최상급의 대우를 받으며 인기도 많다. 일본 싱어송라이터들의 작사 작곡 능력은 세계적으로 상당한 편이다. 싱어송라이터들 위주로 가요계가 발전했다. 문화나 언어에는 서열이 없기에 좋다 나쁘다를 논할 것은 아니다. [[일본어]]가 현대적인 '대중 음악'으로서의 '''서양 음악'''의 발성에 적합하지 않다는 견해가 알려져 있다. 발성의 핵심은 모음이다. 일본어의 모음은 다섯 개에 불과하며 (사실상 자음으로 치는) 반모음도 네 개에 불과하다. 그렇기 때문에 두성을 구사할 때 핵심적인 요소인 모음 변이(vowel modification)를 훈련하기 매우 불리하다. 이는 유사한 음가라 하더라도 더 깊고 어두운 배음을 가진 소리로 변환하는 것인데 (예를 들어 ɑ/ → /ɔ/) 한국어의 경우 유사한 음가로 밝고 어두운 배음의 차이가 있는 모음의 쌍이 확실히 존재하여(/ㅏ/와 /ㅓ/, /ㅗ/와 /ㅜ/, /ㅐ/와 /ㅔ/ 등) 한국어 화자는 소릿값의 밝음과 어두움에 대해 본능적으로 인지하지만(퐁당퐁당/풍덩풍덩 등) 일본어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일본어 화자에게 'あ'음을 더 어둡게 내라고 하면 당황하겠지만 한국어 화자라면 'ㅏ' 소리를 'ㅓ'에 가깝게 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일본어는 같은 음가라 하더라도 다른 언어에 비해 배음의 음형대(formant)가 좁다. 이는 즉 공명(resonance)이 적다는 뜻이며, '닫힌' 소리의 비중이 높다는 뜻이다. 실제로 일본어에는 닫힌 소리인 격음(청음)이나 비음의 비중이 많이 쓰인다. 물론 이런 언어의 한계를 뛰어넘는 [[천재]]나 근성인들은 언제나 있다. [[VOW WOW]]의 보컬 [[히토미 겐키]]나 [[엘르가든]]의 보컬인 호소미 타케시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다만 일반적인, 보편적인 차원에서 서양 발성을 배우기 어렵다는 것이다. == 역사 == === 1960년대 ~ 1990년대 === J-POP은 1960년대 중반 무렵부터 급속히 발전했으며 1980년대의 아이돌 [[황금시대]](이 시기에는 [[야마구치 모모에]], [[마츠다 세이코]], [[나카모리 아키나]], [[코이즈미 쿄코]]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을 것이다. 야마구치 모모에의 경우 1970년대를 대표하는 아이돌이었다)를 거쳐 1990년에 최전성기를 이뤘다. 일본의 영화는 정점을 찍었을 때가 1970년대라면, 가요계는 1990년대에 정점을 찍은 것이다. 이 시기에 걸쳐 주로 미국의 [[R&B]]와 소울, 재즈류에 영향을 받은 [[시티 팝]]이라는 유행 또한 존재했으며,[* 다만 [[시티 팝]]이라는 말 자체는 2000년대와 2010년대 이후의 레트로 열풍에 덧씌워진 마케팅 용어에 가깝다.] 이전까지는 100만장 이상의 판매량을 기록한 가요 싱글, 즉 밀리언 셀러도 흔치 않았지만 1990년대에는 밀리언 셀러는 물론이고 200만장의 판매량도 넘긴 더블 밀리언 셀러도 수두룩하게 나왔다. 이 시기를 대표한 가수들은 '''[[코무로 테츠야]]''', [[사잔 올 스타즈]], [[CHAGE and ASKA]], [[드림스컴트루]], [[B'z]], [[미스터 칠드런]], [[ZARD]], [[아무로 나미에]], [[하마사키 아유미]], [[우타다 히카루]] 등이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아직까지도 일본 가요계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 시기에는 일본의 모든 장르의 음악이 호황을 이뤄 아시아는 물론 미국과 유럽 등 서구권까지 진출하여 [[콘서트]]를 열기도 했다. B'z와 우타다 히카루가 대표적인 사례다. 다만 이들은 일본 내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가졌지만 해외에서는 진출은 했어도 별로 주목받지 못했다. 물론 이는 당시 대부분 J-POP 가수들이 그다지 외국 진출을 진지하게 고려하지 않은 탓도 있다. 일본은 꾸준히 세계 음악 시장에서 4위권 이내를 차지하고 있었기에 당시 일본 가수들과 레코드사는 외국 진출을 진지하게 생각했던 곳이 거의 없었다. 사실 시도는 있었지만 영미팝과 큰 차별성이 없었던 탓에 위축된 감이 크기도 했다. === 2000년대 ~ 2010년대 === 2000년대 이후로는 음악계를 이끌어갈 만한 재능과 카리스마 넘치는 뮤지션이 등장하지 않아서 J-POP은 갈수록 음악적 매력을 잃어가고 있다는 평이 있는데, 맞는 말이긴 하다. 2000년대 중반 이전처럼 전국민적인 사랑을 받는 아티스트는 나오지 않고 있다. [[쟈니스 사무소|쟈니스]] 소속의 [[아라시(아이돌)|아라시]]나 [[AKB48]] 등의 아이돌은 건재하지만 일본 아이돌은 대체로 가수라기보다는 단순한 예능인에 훨씬 가까운 지라...[* 일본에서 아이돌은 뮤지션이라기보다 일종의 엔터테인먼트 집단의 성격이 매우 강하다. 이런 경향은 특히 [[SMAP]]이나 [[아라시(아이돌)|아라시]] 같은 남자아이돌이 더 두드러진다.] J-POP의 인기하락과 더불어 일본의 음악 프로그램들도 하나둘씩 사라지고 있는 추세다. 한국 내에서의 J-POP의 인기는 예나 지금이나 낮다. 1960년대 후반에 [[블루 라이트 요코하마]]를 시작으로 일본 음악이 들어오면서 1990년대 초반에 잠깐동안 인기를 끈 여성 아이돌 [[wink]]나 그 이후 [[X JAPAN]] 등이 매니아층을 형성했지만 대중적으로 큰 인기를 누렸다고 보기는 힘들다. 오히려 한국보다는 중국과 홍콩, 대만 등 다른 중화권 국가나 태국같은 동남아 국가 등지에서의 인기가 훨씬 좋았다.[* 실제로 일본 음악이 황금기를 맞은 90년대 초부터 웬만한 급의 뮤지션은 중화권에서의 해외 공연을 많이 진행하곤 했었다. 반면 한국에서는 2000년 이전까지는 일본 가수들이 내한공연이 거의 전무했다.] 2000년대 초반 [[국민의 정부]]가 출범하고 [[일본 대중문화 개방]]이 되면서 국내에 J-POP이 많이 유입되긴 했으나 얼마 못 가 다시 매니아틱한 장르로만 남게 되었다. 2010년대에 와서는 더더욱 암울하다. 이전과는 달리 서점이나 음식점 등에서 일본 음악이 아주 가끔씩 들리긴 했으나 지금은 어딜 가도 거의 들리지 않는다. 그나마 국내 소수의 팬덤이 유지되고는 있으나 이 마저도 예전같지는 않은 상황이다. 2010년대 초~2010년대 중반까지 J-POP은 부진한 시기를 보냈지만, 2010년대 중반 이후부터 [[호시노 겐]], [[요네즈 켄시]][* 후술할 니코동 출신 뮤지션의 가장 대표적이자 성공적인 예시다.], [[SEKAI NO OWARI]], [[Official髭男dism]], [[아이묭]], [[King Gnu]], [[래드윔프스]], [[후지이 카제]][* 일본 가수 최초로 Spotify 월간 리스너 천만을 달성했다.] 등을 비롯하여 서브컬처씬에서 유명한 [[amazarashi]] 등 일본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인지도 있는 J-POP 가수들이 다수 나오면서 다시 기지개를 펴고 있다. === 2020년대 === [[2020년대]]에 접어들며 J-POP은 암흑기를 벗어나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yuuri]] 등 새롭게 데뷔한 인기 솔로 가수들의 노래가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보컬로이드]] 프로듀서나 [[우타이테]] 등 [[니코니코 동화]] 출신 뮤지션들이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대표적으로 [[요루시카]], [[Eve(우타이테)|Eve]], [[YOASOBI]], [[yama]], [[계속 한밤중이면 좋을 텐데.]][* 그녀 본인은 우타이테나 보컬로이드 프로듀서 출신이 아니나 협업하는 편곡자들이 대부분 보컬로이드 프로듀서들이기에 이쪽 계열로 분류된다.], [[Ado(가수)|Ado]], [[ツユ]], [[소라루]], [[마후마후]] 등이 있다. 일본 내에서는 이들을 넷출신 아티스트라고 분류한다. 이러한 신진 아티스트의 발굴을 통해 J-POP은 2020년대에 이전보다 훨씬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분위기며 새로운 전기를 만들고 있는 상황이다. [[애플 뮤직]] 글로벌 차트에서는 2020년대 이후 일본 노래가 연일 상위권에 등장하는 횟수가 증가했다. 특히 최근에는 [[Ado(가수)|Ado]]의 노래이자 애니메이션 [[원피스 필름 레드]]의 주제곡 [[신시대]]가 애플뮤직 글로벌 차트 1위를 차지했다. [[TikTok]]의 영향으로 일명 [[히키가타리]] 가수들의 곡이 역주행하는 경우도 꽤 많이 나오고 있는 편이다. 대표적인 가수로는 [[에이토]], [[카와사키 타카야]], [[모사오]], りりあ 등이 있다. 히키가타리 외에도 [[타카얀]], [[수요일의 캄파넬라]], [[MAISONdes]] 등 TikTok에서 얻은 인기를 기반 삼아 인지도를 더욱 높이는 가수도 많다. 2022-2023년에 들어 재패니메이션 붐이 다시 불면서 한국 음원 차트에도 일본 음악이 종종 보이며 대표적으로 [[KICK BACK]], [[愛を伝えたいだとか]], [[더 퍼스트 슬램덩크#s-8|第ゼロ感]], [[アイドル]], [[すずめ]] 등이 있다. [[imase]]의 [[NIGHT DANCER]]의 경우 본토보다도 한국에서 더욱 흥행하며 J-POP 최초로 멜론 일간차트 TOP100에 진입하는 기록을 세웠다. 또한 앞서 언급한 노래들이 서브컬처와 관련없는 매장에서 자주 흘러나온다는 목격담과 [[쏘플]], [[때잉]] 같은 인기 음악 소개 유튜버들이 J-POP 관련 영상을 만드는 등 과거와 비교해 한국에서의 제이팝 인기가 높아진 것을 체감할 수 있다. 유튜브 채널 [[THE FIRST TAKE]]가 노래와 가수의 인지도 상승에 영향을 주는 경향도 종종 보인다. == [[K-POP]]과 다른 점 == === [[정서]] === J-POP이 한국에서 비주류인 가장 큰 이유는 정서가 달라서이다. 한국의 경우 기본적으로 기승전결이 뚜렷하고 훅이 많이 강조되며 '''[[사랑]]으로 말미암은 감정'''(행복, 슬픔, 질투 등)을 적극적인 감정선으로 강조하는 반면, 일본은 훅이 없거나 잔잔한 느낌으로 흘러가는 노래들이 꽤 많다.[* 한국의 경우 곡 안에서 최소 한 번, 심하면 매 절마다 브릿지 부분이 전조한다. 대표적인 노래가 야생화. 보통은 발성에 강약을 주며 1절은 약하게, 2절은 강하게 부르고 3절부턴 아예 브릿지를 전조시켜 점점 감정이 고조되는 드라마틱한 효과를 주는 구조의 곡이 많다. 특히나 섬세한 감정선을 표현해야 하는 발라드에 이런 케이스가 많다. 그러나 J-POP은 1절부터 3절까지 단 한 번도 전조하지 않는 경우가 그다지 드물지 않다.] 그리고 일본 J-POP의 가사를 보면, '''다른 J-POP 노래를 봐도 비슷한 가사가 나오는 경우가 많다.''' J-POP의 가사는 사랑 노래 외에도 [[다테마에|인간 관계에서 서로 상처를 주지 않는 적당한 거리감]]과 이로 인해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외로움, 섬세하고 내성적이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날이 서 있는 정서(우라미)가 담긴 가사가 특징이다. 그 외에도 악기 본연의 소리를 강조하는 클래식한 사운드, 그러면서도 삶의 의지를 다잡는 희망찬 단어 선택이나 멜로디 등이 두드러진다. 게다가 그렇기 때문에 한국어를 몰라도 즐길 수 있는 [[K-POP]]과 달리 J-POP은 일본어를 모르면 즐길 수 없는 부분이 있기도 하다. 일본어를 어느 정도 할 줄 알고 이런 감정선에 한 번 빠지면 그것이 J-POP의 매력이기도 하다. 잔잔한 음악을 좋아하는 경우 J-POP에 빠지기도 한다. 그리고 일본은 한국에 비하면 [[랩(음악)|랩]], [[힙합 음악|힙합]] 쪽의 인기가 적어서 랩이 들어간 경우는 많은 편이 아니었으나 2010년대 후반부터 나오는 그룹들은 한국 아이돌의 영향을 받은 경우가 많은지라 랩의 비중이 어느 정도 느는 추세다. === [[창법]] === 일본의 특유한 [[코창력]] 창법도 한국인으로 하여금 진입장벽을 높인다는 의견도 있다. 서구권 팝의 영향이 강한 한국은 창법에서 성량이 풍부하고 비음없는 테크니컬한 보컬을 선호하는 반면, 일본은 비성이 많은 일본어 특성상 기본적으로 비음이 매우 짙기 때문에 이러한 스타일의 창법이 익숙하지 않은 한국인 입장에서는 거부감이 들 수 밖에 없다.[* 이 때문에 [[코다 쿠미]]나 [[아무로 나미에]]처럼 비음이 없는 가수들은 상대적으로 한국인에게도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물론 어디까지나 J-POP 커뮤니티의 이야기지만.] 또한 [[엔카]]의 영향을 받아 뽕삘이 묻어나는 경향도 있다. 이 때문에 일본 음악이 상대적으로 수준이 높았다고 여겨지던 2010년대 이전에 조차도 이런 이유로 일본 음악이 별로라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 비음이라는것이 너무나 이질적이어서 한국인이 느끼기에는 [[병맛]]이라나거나 [[겉멋]] 또는 [[허세]] 심하면 손발이 오그라든다든가, [[중2병]]인 듯한 느낌이었기 때문이다. 특히 90년대 전후해서 한국은 소위 '고음을 지르는' 샤우팅을 중시했고 사실 아직도 그런 경향이 남아있는데 일본은 이런 특징이 많지 않기 때문인것도 컸다. 종합적으로 말해 한국인이 원하는 창법에서 거리가 너무 멀었다. === [[갈라파고스화/일본|폐쇄적인 형태]] === [[일본 대중문화 개방]] 이후 [[엠넷]]이나 [[SBS MTV|MTV]] 같은 [[케이블TV|케이블 방송]]을 통해서 일본 대중음악이 들어오기는 했지만 [[지상파]]에서는 일본어 가사로 부른 곡은 방송에 내보내서는 안 된다는 규정이 남아 있던 탓에 여전히 외면받았고[* 다만 케이블 방송에서는 일본어 가사로 부른 곡도 방송에 내보낼 수 있었고, [[ELLEGARDEN]]같이 영어로 된 가사로 불렀거나 [[T-SQUARE]]같이 경음악만 나오는 J-POP은 지상파에서 잘 나왔다.], 거기에 더해서 일본 음악 업계의 [[갈라파고스화/일본|갈라파고스화]]가 시작되면서 J-POP의 황금기가 지나가버리고 말았다. [[K-POP]]이 그러했듯이 J-POP도 당연히 [[영미권]]의 영향을 받았고, 영미권의 영향이 아직 잔존하던 시기가 아이러니하게도 J-POP의 황금기였다. 이후 [[갈라파고스화]]로 인해 영미권의 영향이 단절되고 아이돌 음악 위주의 재편이 행해지게 되면서 J-POP의 황금기는 끝나게 되었는데, 이렇게 쇠락해가던 J-POP에 결정적으로 타격을 준 것이 바로 [[쟈니스 사무소|쟈니스]]와 48 사단이었다. J-POP은 현재도 [[유튜브]] 음원 공개에는 여전히 부정적이며 가장 큰 이유는 당연히 [[JASRAC]]으로 대변되는 세계적으로 엄격한 음원저작권 관리이다. 오히려 인디씬에서는 유튜브에서 음원 공개를 활발하게 이용하고 있다. 대중문화의 힘은 확산성에서 나온다. 케이팝과 한류로 대표되는 한국 대중 문화가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끈 건 케이팝 관련 업계가 저작권에 일본 업계처럼 엄격하게 대하지 않았던 탓에 그만큼 한국 대중 문화가 널리 퍼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일본 대중 문화가 황금기를 구가했던 1980년대의 일본 대중 문화 업계도 지금처럼 저작권에 엄격하게 집착하지 않았으며, 일본의 [[서브컬처]] 문화 역시 J-POP 만큼 엄격하게 저작권을 행사하지 않아서 2010~2020년대에 세계적 인기가 커졌다. 1990년대까지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었던 일본의 J-POP이 지금은 한국의 K-POP한테 밀려나게 된 것은, 일본의 연예기획사들이 저작권에 너무 집착을 해서 해외 팬들이 J-POP에 관련하여 올리는 각종 동영상들이나 사진들을 저작권 위반이라며 마구잡이로 고소해 벌금을 뜯어내는 식으로 탄압하다가, 해외 팬들이 이런 지독한 폐쇄성에 질려서 스스로 J-POP에 염증을 느끼고 떠나버렸던 것이 결정적인 원인이었다. ==== 변화 ==== 여전히 히트친 곡들도 많긴 했지만, J-POP은 그간 홍보가 부족한 점도 있었고 여전히 스트리밍으로 발매되지 않거나, 설령 하더라도 일본에서만 들을 수 있게 지역락을 건다거나, 전세계는 고사하고 대부분이 일부 [[마니아]]층 사이에서만 소비됐으며 아시아권에서도 대중적인 영향력이 크지는 않았다. 그런 J-POP도 서서히 변화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우선 [[PRODUCE 101 JAPAN]]을 통해 K-POP 스타일을 전면에 내세운 남성 아이돌 그룹 [[JO1]]이 데뷔하여 일본에서 활동 중이다. 또한 남성 아이돌계에서 독보적인 위치에 있었지만, 동시에 특유의 폐쇄적인 분위기로 인해 서서히 [[고인물]]이 되어가던 [[쟈니스 사무소|쟈니스]]도 [[유튜브]]에 [[뮤직 비디오]]나 연습 안무 영상을 올리는 등, 기존의 관행을 깨는 행보를 보여주며 주목받고 있다. J-POP이 한동안 [[유튜브]]나 [[스트리밍]] 서비스의 음원 공개에 부정적이었던건 사실이지만 이미 다른 J-POP 걸 그룹들, 가령 [[AKB48]]은 [[2010년]]부터, [[Perfume]]과 E-Girls는 [[2012년]]부터, [[캬리 파뮤파뮤]]는 2011년부터 유튜브에 영상을 꾸준히 공개해왔고, 그 밖에 여러 아티스트들과 레이블의 공식 유튜브 채널도 개설하고 있으며, [[2010년대]] 중후반과 [[2020년대]]부터 많은 수의 일본 음악들이 디지털로 발매되기도 하면서 유튜브에는 일본의 [[보컬로이드]] 영상들이나 애니메이션 [[OST]], 또는 [[마후마후]]같은 여러 일본의 음악들을 아주 쉽게 찾을 수 있게 되는 등 접근성이 많이 좋아지고 있다. 실제로 [[한국]]의 [[멜론]], [[지니]], [[벅스]] 등 음원 사이트에서도 인기 J-POP이 꾸준히 발매되고, 2020년대에도 일본의 음반사들이 새로이 진출하고 있으며 [[유튜브 뮤직]], [[스포티파이]], [[애플 뮤직]]과 같은 해외 스트리밍을 통하면 한국에서도 다양한 일본 음원들을 들을 수 있도록 선택지도 크게 늘어나는 모양이다. 일본 음악 업계의 [[갈라파고스화/일본|갈라파고스화]] 그리고 쟈니스와 48 사단의 존재로 인해 촉발되었던 J-POP의 암흑기는 상기한 대로 2020년대에 들어와서부터 끝나게 되었고 다시 J-POP의 인기가 회복되기 시작하는 추세인데, 이는 J-POP이 201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K-POP]]과의 정면대결이 도저히 불가능한 상황에 놓인 아이돌 음악 위주의 노선을 포기하고 대신 K-POP의 영향력이 아직 미진한 상황인 아티스트 음악 위주의 노선으로 다시 재편을 겪게 되었기에 가능했던 일이었기도 하다. 한국은 [[K-POP/평가]] 문서의 설명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인디씬의 성장이 처참할 정도로 미진한 반면, 일본은 넷출신 아티스트를 중심으로 인디씬이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인디씬이 활성화되어 있는 만큼 [[J-ROCK]]과의 연계성도 지니고 있었기에 그러한 재편이 가능했던 것이다. 아이돌 음악 분야에서 J-POP을 상대로 완승을 거뒀지만 한편으로는 K-POP/평가 문서에서도 비판하고 있듯이 아이돌 음악 이외의 타 분야에서는 여전히 발전이 미흡한 부분이 있었던 K-POP과, 아이돌 음악 분야에서는 완패했고 사실상 재기불능 상황에 빠지게 되었지만 대신 아이돌 음악 이외의 타 분야에서 돌파구를 모색하게 된 J-POP의 차이가 드러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호의적으로 평가하자면 K-POP과 J-POP은 양쪽 모두 [[선택과 집중]] 전략을 택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K-POP은 아이돌 음악 위주의 노선을 택했고 J-POP은 J-ROCK과의 연계성도 활용할 겸 인디씬을 중심으로 한 아티스트 음악 위주의 노선을 택했다는 차이가 있는 것이다. 이렇게 K-POP과의 장르적 차별화를 도모하지 않고 계속 아이돌 음악 위주의 노선을 억지로 유지하면서 K-POP을 상대로 되도 않는 정면대결을 시도하려 했었다면 2020년대의 J-POP의 부흥은 불가능했었으리라 볼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일본의 인디씬이 상술한 대로 유튜브를 이용한 음원 공개에 적극적으로 임하였었기에, J-POP이 긴 암흑기에서 벗어나는 계기가 비로소 조금씩 마련될 수 있었던 것이다. 반면, 이렇게 대중음악에 한정하면 많이 나아진 편이나 일본의 소위 [[오타쿠]], [[서브컬처]] 음악 같은 비주류층은 여전히 폐쇄적이기에 해외에서 유명한 일본 애니메이션이나 일본 게임의 음악들은 지금도 해외 IP에 지역락이 걸려있는 경우가 많다. 일본의 서브컬처 문화는 상술한 대로 J-POP 만큼 저작권 행사를 엄격하게 하지는 않는 편이긴 하지만 역시나 업계가 [[갈라파고스화/일본|갈라파고스화]]된 상황이며 일본 내수 시장의 수요층도 아직까지는 폐쇄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는 편이어서 해외 팬들이 일본 서브컬처 문화로 접근하는 것을 그리 달가워하지 않기에 그렇다. 특히 [[남덕]] 중심의 [[남성향]] 서브컬처의 경우 이러한 일본 국내 소비자들의 폐쇄성이 좀처럼 고쳐지지 않고 있는 편이나, 반대로 [[여덕]] 중심의 [[여성향]] 서브컬처의 경우에는 2010년대 이후부터 일본 사회에서 한국 문화가 소수의 소비자만이 향유하는 서브컬처의 영역을 넘어서서 다수의 일반 대중이 향유하는 대중문화의 반열에 오르게 된 것의 영향으로 인해 그러한 폐쇄성이 어느 정도 고쳐지기 시작하고 있는 상황이다. === [[템포]]와 [[러닝타임]] === 이 밖에 J-POP과 [[K-POP]]의 두드러지는 또 다른 차이는 바로 '''[[템포]]와 [[러닝타임]]'''으로, 일본 쪽이 한국보다 템포가 더 빠르고, 러닝 타임도 긴 편이다. 먼저 템포의 경우, 한국 대중음악은 빨라봤자 130~140 [[BPM]]을 넘지 않는 곡이 대부분이지만 J-POP의 경우 150~180 [[BPM]]이 매우 흔하며, 세계에서 [[BPM]]이 제일 느린 라틴팝과는 대척점에 있다.[* 라틴팝은 65~100 [[BPM]]이 매우 흔하다.] 특히 [[VOCALOID|보컬로이드]] 곡들 같은 경우 [[잡동사니 이노센스]]나 [[하츠네 미쿠의 소실]][* 이 곡 같은 경우 BPM은 240이지만 곡의 대부분이 12비트라 사실상 180 BPM이다. 다만 같은 작곡가의 [[하츠네 미쿠의 격창]]같은 경우 진짜 200 BPM의 16비트로 랩을 한다(...) 따라서 격창은 현재까지도 사람이 커버한 사례가 거의 없다.]같이 200 BPM을 거뜬히 뛰어넘는, 미친 듯이 빠른 곡들도 심심치 않게 보인다. 이는 한국과 다른 정서 또는 [[유로비트]]의 영향일 수도 있고, [[일본어]] 자체의 특징 때문일 수도 있다. 일본어 자체가 [[개음절]](받침 없는 소리) 중심이라 랩하듯이 빠르게 말하는 데 유리한데, 그렇다 보니 이처럼 템포가 빠른 곡이 정착하기 쉽다. 반면에 한국어는 제아무리 각종 음운 현상이 발음을 돕는다 한들 일본어에 비하면 [[폐음절]](받침 있는 소리)의 쓰임이 훨씬 많아서 템포가 높으면 노래를 부르기 힘들어진다. 또한 [[리듬 게임]]에서 일본곡의 고레벨 채보가 많은 이유이기도 하며,[* 예시로 든 [[하츠네 미쿠의 소실]]같은 경우 수록된 거의 모든 게임에서 준보스 이상의 위치를 갖고 있다.] 동시에 한국곡의 고레벨 채보가 적은 이유이기도 하다. 러닝타임의 경우, 한국 대중음악은 3분대[* 특히 2020년대에 들어서는 영미권과 마찬가지로 2분대 후반~3분대 초반대의 곡도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물론 한국도 아이돌이 아닌 일반 가수들의 곡이나 록과 같은 밴드 음악의 경우 4~5분대의 곡도 많다.]가 많은 반면, J-POP은 4~5분대가 많고 6분대인 곡도 꽤 있는 편이다. 다만 2023년 기준 최근에는 과거에 비해 많이 러닝타임이 줄어든 편인데 레코쵸쿠 인기 음원 10위 내 곡의 평균 러닝타임이 2010년에는 5분 12초였으나 2021년 상반기 기준으로는 3분 59초다. 물론 이 역시 최근에는 2분대 곡도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는 K-POP이나 영미권 팝에 비하면 여전히 상대적으로 긴 편. 또한 긴 러닝타임은 음악 방송에서도 영향을 미치는데, [[CDTV 라이브! 라이브!]] 정도를 제외하면 곡을 풀로 완창하는 경우가 드문 편이다. 다만 이 역시 러닝타임이 점차 줄어드는 근래의 추세에 힘입어 타 음악 방송에서도 완창하는 경우가 조금씩 늘고 있다. === [[음악 방송]] === 2010년대 중반에 접어들면서, 시청률 저하 등의 이유로 여러 음악 방송들이 종영되었다. 특히 '뮤직 드래곤' '[[MUSIC JAPAN]]'이 연이어 종영되어 해당 프로그램들의 출연 빈도가 높았던 한류 가수들의 타격도 적지 않았다. [[대한민국]]의 경우에는 '[[뮤직뱅크]]', '[[쇼! 음악중심]]' 등의 순위제 프로그램이 다수인 데 반해, [[일본]]은 '[[CDTV 라이브! 라이브!]]'를 제외하면 순위제 도입이 없다시피 한다. 이 때문에 해외 팬덤에서는 곡의 인기도를 파악하는 데 비교적 어려움을 겪어 [[오리콘 차트]]와 [[빌보드 재팬]]을 주로 참조한다. 일본의 음악방송은 토크쇼 형식의 프로그램이 다수이다. 그 중 인지도가 높은 프로그램은 '[[뮤직 페어]]', '[[뮤직 스테이션]]', '더 소년 클럽', 'Love music', '[[FNS 가요제]]', 'MUSIC BLOOD', '[[시부야 노트]]' 등이 있다. 또한 한 회 서너팀 정도 출연하며, 밴드씬이 큰 만큼 밴드의 출연 비중 또한 높다.[* '더 소년 클럽'의 경우, 쟈니스 소속사 가수 위주로만 섭외한다.] 아이돌은 주로 쟈니즈 소속사, AKB, 46 사단 소속이 많이 나오며, 최근에는 [[EXILE]]나 [[JO1]] 같이 메이저 그룹도 많이 출연한다. === [[여담]] === [[아라시(아이돌)|아라시]]의 [[마츠모토 준]]이 [[https://www.grammy.com/news/arashi-interview-whenever-you-call-bruno-mars-j-pop|그래미 인터뷰]]에서 [[K-POP]] 뿌리의 모든 것 [[쟈니스 사무소|쟈니스]]라고 말해서 논란이 됐었다.[[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12&aid=0003361677|#]] K-POP이 영미권 음악과 J-POP에게 지대한 영향을 받았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마츠모토 준]]의 주장은 지나친 비약이며 폄하이다. [[마츠모토 준]]이 주장하는 쟈니스의 J-POP도 족보를 올라가면 영미권 음악의 영향을 크게 받았기에 J-POP도 일부 혐한 주장처럼 팝을 따라한 것이 다름 없겠다. == 관련 문서 == * [[K-POP]] * [[오리콘 차트]] * [[일본 음악]] * [[코창력]]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일본 음악, version=473)] [[분류:일본의 음악]] [include(틀:포크됨2, title=J-POP, d=2022-12-09 21:2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