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미국 육군참모총장)] ||||
<#003458> {{{#white 제18대 미합중국 육군참모총장[br]{{{+1 '''조셉 로턴 콜린스'''}}}[br]'''Joseph Lawton Collins'''}}}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000121299.jpg|width=100%]]}}} || ||<#003458><|2> {{{#white '''출생'''}}} ||<(> [[1896년]] [[5월 1일]] || ||<(>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 || ||<#003458><|2> {{{#white '''사망'''}}} ||<(> [[1987년]] [[9월 12일]] (향년 91세) || ||<(> [[미국]] [[워싱턴 D.C.]] || ||<#003458> {{{#white '''복무'''}}} ||<(> [[미합중국 육군]] || ||<#003458> {{{#white '''최종 계급'''}}} ||<(> 미국 육군 대장 || ||<#003458> {{{#white '''복무 기간'''}}} ||<(> 1917~1956 || ||<#003458> {{{#white '''학력'''}}} ||<(> [[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중퇴^^[br][[미국육군사관학교]]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군인. == 생애 ==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에 진학했지만 중퇴하고 1913년 육군사관학교에 진학했다. 1917년 육군 소위로 임관했다. 1917년 4월에 제 22 보병연대에 배속되었다. 1917년 5월에 중위로 승진하여 1917년 8월에 임시대위로 승진했다. 그는 포트 씰의 보병병기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1917년부터 1919년까지 각지에서 임무를 수행했다. 1918년 6월에 정식으로 대위로 승진해 9월엔 임시소령으로 제 22 보병사단 제 3대대를 지휘하면서 1919년에 프랑스에 주둔했다. 콜린스는 1920년부터 1921년까지 독일 주재군의 부참모장으로 일했다. 1921년에 글래디스 이스터 브룩과 결혼한 콜린스는 1921년부터 1925년까지 육군사관학교에서 화학 교관으로 일했다. 1926년에 포트 베닝의 보병학교 위관코스를 수료한 후 1927년에 포트 씰의 야포학교 상급코스를 이수한 콜린스는 1927년부터 1931년까지 병기 및 전술교관으로 일하면서 1932년에 소령으로 승진해 1933년부터 1934년까지 마닐라의 제 23여단장 부관 및 필리핀 사단의 부참모장으로 근무했다. 1937년에 육군산업대학을 졸업한 후 1938년에 다시 육군전쟁대학을 수료하여 1940년까지 이 대학에서 교관으로 일했다. 1940년 6월에 중령으로 승진한 콜린스는 1941년에 제 7군단의 수석보좌관이 되었다. 1941년에 대령, 1942년 2월에 준장, 3월에 소장으로 진급한 콜린스는 하와이의 제 25보병사단 사단장으로 [[과달카날 전역]]에서 일본군과 맞서는 작전에 투입되었다. 전투 후 [[은성훈장]]에 수여되었다. 그 후 유럽으로 전출되어 1945년까지 제7군단장에 임명되어 제1군 사령관 [[오마 브래들리]]와 함께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투입되었고 프랑스를 해방시킨 후 독일의 본토에 진격해 독일의 항복까지 전투에 임했다. 특히 [[벌지 전투]], [[휘르트겐 숲 전투]]에서 독일군과 혈전을 벌였다. 1943년 당시 47세로 미 육군 장성 중 어린 나이에 속했다. 1945년 4월에 임시중장으로 승진해 12월까지 임시 부사령관 및 육군지상부대 참모총장, 1945년부터 1947년까지 육군정보국 국장, 1949년까지 육군 부참모총장으로 일하다가 미육군 참모총장으로 승진하여 한국전쟁시 [[육군참모총장]]으로 미육군의 지휘를 담당했다 이후 참모직에서 1953년 휴전까지 임무를 수행했다. 미 육군참모총장으로써 6.25 전쟁을 수행하면서 2번 한반도 전선 시찰을 왔는데, 첫번째는 1950년 8월 낙동강 전선 [[다부동 전투]]가 진행중일때 전선을 시찰해 폴 프리먼,존 마이켈리스 대령,[[라울 마그랭베르느레|랄프 몽클라]] 프랑스부대 대대장,[[백선엽]] 원수등을 만났다. 이후 1951년 1월 [[1.4 후퇴]]로 혼란하던 한반도 전선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자원해 한반도 전선을 찾았고, 교통사고로 순직한 [[월튼 워커]] 8군 사령관의 후임 [[매튜 B. 리지웨이]] 중장이 울프하운드 작전을 수행하는 중 전선을 시찰해 울프하운드 작전의 성과를 확인하고, 중공군의 기세가 꺾였음을 확인하고 워싱턴과 UN 일부의 주장인 UN군 전면철수가 아닌 중공과의 전쟁을 속행해 주도권을 찾아온 뒤 휴전하는 대전략을 확인해 [[조지 C. 마셜]] 국방장관과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에게 보고한다. 1953년부터 1954년까지 NATO 군사위원회 미국대표로 일하다가 1954년부터 1955년까지 베트남에서 미대사관 특별대표로 취임한 후 다시 NATO로 돌아와 1956년 3월에 대장계급으로 퇴역했다. 콜린스는 1987년에 워싱턴 D.C에서 사망했는데 그는 사후 알링턴 국립묘지에 매장되었다. == 여담 == 우주비행사 [[마이클 콜린스(우주비행사)|마이클 콜린스]]가 조카다. 그의 형제인 제임스 로턴 콜린스 군인으로 일했고 소장까지 진급했다. [[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6.25 전쟁/군인]][[분류:미국의 군인]][[분류:1896년 출생]][[분류:1987년 사망]][[분류:뉴올리언스 출신 인물]][[분류:미국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아일랜드계 미국인]][[분류:알링턴 국립묘지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