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스포츠상]][[분류:경주마/일본]][[분류:일본중앙경마회]] [목차] == 개요 == [[일본중앙경마회]](JRA)에서 매년 우수한 성적을 거둔 경주마, 조교사, 기수 등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시상은 매년 1월에 이뤄진다. 1954년부터 1971년까진 경마 예상지를 발행하는 케이슈샤(啓衆社), 1972년부터 1986년까진 JRA 기관지 유슌(優駿)에서 주관했으며, 1987년부터 JRA에서 직접 주관하고 있다. 경주마의 경우 일본에선 2000년까진 [[세는나이]]를 사용하다 2001년부터 [[연 나이]]로 바꾸었다. 이 때문에 [[티엠 오션]]의 경우 2000년과 2001년에 최우수 3세 암말상을 두 번 받는 일이 있었다. == 역대 수상 목록 == === 경주마 부문 === ==== 연도대표마 ==== [include(틀:JRA 연도대표마)] ==== 최우수 2세 수말 ==== [include(틀:JRA상 최우수 2세 수말)] ==== 최우수 2세 암말 ==== [include(틀:JRA상 최우수 2세 암말)] ==== 최우수 3세 수말 ==== [include(틀:JRA상 최우수 3세 수말)] ==== 최우수 3세 암말 ==== [include(틀:JRA상 최우수 3세 암말)] ==== 최우수 4세 이상 수말 ==== [include(틀:JRA상 최우수 4세 이상 수말)] ==== 최우수 4세 이상 암말 ==== [include(틀:JRA상 최우수 4세 이상 암말)] ==== 최우수 단거리마 ==== [include(틀:JRA상 최우수 단거리마)] 2023년부터 최우수 단거리마가 최우수 스프린터(1400m 미만 경주)와 최우수 마일러(1400~1600m 경주)로 분화될 예정이다.[[https://news.netkeiba.com/?pid=news_view&no=216448&rf=news_top_pickup|#]] ==== 최우수 더트 호스 ==== [include(틀:JRA상 최우수 더트 호스)] ==== 최우수 장애물 경주마 ==== [include(틀:JRA상 최우수 장애물 경주마)] ==== 최우수 부내국산마(폐지) ==== [include(틀:JRA상 부내국산마)] 부내국산마(父内国産馬)는 아비와 자신 모두 일본 국내에서 태어난 말을 말한다. 2008년부터 부내국산마와 다른 일본산 말을 구분하지 않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 최우수 아랍(폐지) ==== [include(틀:JRA상 최우수 아랍)] 서러브레드가 아닌 앵글로아랍 경주마를 대상으로 하는 상이었으나, 1995년을 마지막으로 일본 내 앵글로아랍 경주가 폐지되면서 같이 폐지되었다. === 조교사 부문 === ==== 최다 승리 조교사 ==== [include(틀:JRA상 최다 승리 조교사)] ==== 최고 승률 조교사 ==== [include(틀:JRA상 최고 승률 조교사)] ==== 최다 상금 획득 조교사 ==== [include(틀:JRA상 최다 상금 획득 조교사)] ==== 우수 기술 조교사 ==== [include(틀:JRA상 우수 기술 조교사)] === 기수 부문 === ==== 최다 승리 기수 ==== [include(틀:JRA상 최다 승리 기수)] ==== 최고 승률 기수 ==== [include(틀:JRA상 최고 승률 기수)] ==== 최다 상금 획득 기수 ==== [include(틀:JRA상 최다 상금 획득 기수)] ==== 최다 승리 장애물 기수 ==== [include(틀:JRA상 최다 승리 장애물 기수)] ==== 최다 승리 신인 기수 ==== [include(틀:JRA상 최다 승리 신인 기수)] ==== 기수 대상 ==== [include(틀:JRA상 기수 대상)] 한 기수가 최다 승리 기수, 최고 승률 기수, 최다 상금 획득 기수 전 부문에서 수상할 경우 받는다. 해당되는 대상이 없을 경우 선정하지 않는다. ==== MVJ ==== [Include(틀:JRA상 MVJ)] Most Valuable Jockey의 약자. JRA와 지방, 해외 경주 성적을 승리 횟수, 승률, 획득 상금, 연간 기승 횟수 등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상자를 결정한다. 2013년 부터 실시. === 특별상 === [include(틀:JRA 특별상)] 1973년은 대중상, 1978년은 매스컴상, 1982년은 드림상, 2004년은 특별감투상[* 머리에 쓰는 게 아니라 용감히 싸웠다는 뜻의 敢闘다.]이라는 이름으로 시상되었다. || '''연도''' || '''이름''' || '''수상 이유''' || '''비고''' || || 1973년 || [[하이세이코]] || 중앙경마의 흥행에 기여 || [[타케 호프]]의 최우수 4세 수말 및 연도대표마 선출 || || 1978년 || [[텐 포인트]] || 일본 경제 신춘배에서의 부상 및 사망 || || || 1982년 || [[몬테 프린스]] || '무관의 제왕'이라는 오명을 벗은 [[천황상]] 봄 우승 || || || 1983년 || [[앰버 샤다이]] || 5번 도전한 [[천황상]] 제패 || || || 1989년 || [[오구리 캡]] || [[재팬 컵]]에서 세계 레코드와 동일한 시간 기록 || || || 1993년 || [[토카이 테이오]] || 363일만의 복귀전에서 우승 || || || 1995년 || [[라이스 샤워]] || [[천황상]] 봄에서의 부활과 [[타카라즈카 기념]]에서의 사망 || || || 1998년 || [[사일런스 스즈카]] || 마이니치 왕관 등에서의 압도적인 활약과 [[천황상]] 가을에서의 사망 || || ||<|2> 1999년 || [[그래스 원더]] || 양대 그랑프리 제패 ||<|2> [[엘 콘도르 파사(말)|엘 콘도르 파사]]의 최우수 5세 이상 수말 및 연도대표마 선출 || || [[스페셜 위크]] || [[천황상]] 춘추 연패 || || 2001년 || [[스테이 골드]] || 일본산마 최초의 해외 G1 경주 우승 || || || 2004년 || [[코스모 벌크]] || 지방 소속으로서 클래식 경주에서 활약 || || ||<|2> 2007년 || [[메이쇼 삼손]] || [[천황상]] 춘추 연패 || [[어드마이어 문]]의 최우수 4세 이상 수말 및 연도대표마 선출 || || [[보드카(말)|보드카]] || 64년만의 암말의 일본 더비 우승 || [[다이와 스칼렛]]의 최우수 3세 암말 선출 || || 2009년 || [[컴퍼니(말)|컴퍼니]] || 사상 최초의 8세로서 평지 G1 경주 우승 || || || 2016년 || [[모리스(말)|모리스]] || 홍콩 대회 2승 포함 G1 3승 || [[키타산 블랙]]의 최우수 4세 이상 수말 및 연도대표마 선출 || || 2020년 || [[크로노 제네시스]] || 양대 그랑프리 제패 || [[아몬드 아이]]의 최우수 4세 이상 암말 및 연도대표마 선출 || || '''연도''' || '''이름''' || '''직업''' || '''수상 이유''' || || 1994년 || [[미나이 카츠미]] || 기수 || 사상 최초의 연간 G1 5승[* [[나리타 브라이언]] 4승, 마블러스 크라운 1승] || || 2007년 ||<|2> [[타케 유타카]] ||<|2> 기수 || 사상 최초의 중앙경마 3000승 달성 || || 2013년 || 사상 최초의 중앙경마 3500승 달성[br]사상 최초의 G1 100승 달성[br]일본 더비 5번째 우승 || || 2016년 || [[쿠마자와 시게후미]] || 기수 || 장기간의 평지·장애물 경주에서의 활약 || || 2018년 || [[타케 유타카]] || 기수 || 사상 최초의 중앙경마 4000승 달성 || || 2020년 || [[후지사와 카즈오]] || 조교사 || 사상 2번째의 중앙경마 1500승 달성[* 사상 최초로 1500승을 달성한 조교사 오가타 토키치는 1981년에 사망했다.] || || 2022년 || [[시바타 요시토미]] || 기수 || 중앙경마 최고령 승리 기록 경신(56세 3개월 7일)[* 이전 최고령 승리 기록은 [[오카베 유키오]]의 56세 2개월 24일] || === 마사 문화상 === [include(틀:JRA상 마사 문화상)] 매년 다양한 방면에서 문화 활동으로 마사문화 발전에 기여한 개인 혹은 단체에게 시상한다. 기자 투표나 성적으로 결정되는 다른 부문과는 달리 문화상 선고위원회에서 자체적으로 선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