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 [[파일:external/s22.postimg.org/logo.png|width=150]][br]{{{#white '''[[각트]]의 싱글목록'''}}} || ||<-5> [[2009년]] |||||||||||| ||<:>[[GHOST(각트)|GHOST]]|| {{{+1 →}}} ||<:> '''[[Journey through the Decade]]''' || {{{+1 →}}} ||<:> [[小悪魔ヘヴン]] |||||||||||| [include(틀:헤이세이 라이더/주제곡)]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Journey_Through_the_Decade_CD_Cover.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ecade(back).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ecade(back-2).jpg|width=100%]]}}} || || {{{-3 {{{#white '''A타입 커버'''}}}}}} || {{{-3 {{{#white '''B타입 커버'''}}}}}} || {{{-3 {{{#white '''뒷표지'''}}}}}} || [youtube(D7T_Y49KrrQ)] [youtube(_nNCRHSAILM)] 뮤직비디오. [youtube(u9mT0ftPR7E)] [[이노우에 마사히로]] 버전. || '''발매일''' ||<:> 2009년 3월 25일 || || '''레이블''' ||<:> [[에이벡스|Avex Mode]] || || '''러닝 타임''' ||<:> 19분 15초|| || '''프로듀서''' ||<:> 고노 유스케 || || '''CD 번호''' ||<:> AVCA-29177/B || || '''오리콘 싱글차트 순위''' ||<:> 2위(주간)[br]4위(2009년 3월)[br]'''63위(2009년)'''|| ||총합 판매량||'''200,000장'''(2012년)|| [목차] == 개요 == 2009년 3월 25일 발매된 [[각트]]의 30번째 싱글이자 [[가면라이더 디케이드]]의 오프닝 주제가이다. 닛폰 크라운에서 [[에이벡스]]로 완전 이적 후 발매한 첫 작품이며, 프로듀싱 또한 외주로 제작되었던지라 전작 GHOST 발매 이후 2개월만에 발매된, 이례적으로 빠른 기간 내에 출시된 작품이다. 디케이드 자체가 작품성으론 빈 말로도 좋은 소리를 못들을 정도로 말이 많긴 하지만 [[GACKT]]의 비장미 넘치는 보컬과 관악기, 열정적인 일렉 기타의 조화로 오프닝만큼은 지금까지도 호평받고 있다. 마치 [[카도야 츠카사]]의 여정을 표현한듯한 가사의 비장함이 돋보이며 오프닝에서 디케이드와 헤이세이 라이더들이 전투하는 장면은 각종 매드의 소재로도 쓰인다. 한편 각트 개인적으로는 나름대로 의미가 깊은 싱글인데, 가면라이더 시리즈에 참여했다는 것 이외에도, [[Malice Mizer]] 시절 이후 처음으로 각트 본인이 아닌 '''타인에게 곡을 받아 작업한''' 곡이기 때문. 작곡가 Ryo는 당시 이 점을 의식하고 "영광이다"라는 소감을 남기기도 했으며, 각트 본인도 예상 이상으로 곡을 잘 만들어줘서 고맙다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이러한 파격적인 소식 덕에 매상 측면에서도 매우 좋은 결과를 거두었는데, 2년간의 공백 후 솔로데뷔 10주년을 맞아 대대적으로 활동을 시작한 각트 개인의 팬덤과, 가면라이더 팬층의 화력이 더해져 발매 첫주에 51,666장을 판매해 [[Perfume]]의 [[ワンルーム・ディスコ]]에 이어 오리콘 싱글차트 2위를 기록하였다.[* 발매 첫날에는 15,441장으로 데일리 2위로 데뷔했다가, 3월 27일 데일리 1위를 기록하였다. 대형 작품의 주제곡+에이벡스의 전격적인 푸쉬가 있었던지라, Returner 싱글 이후 2번째로 오리콘 싱글 1위를 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놓쳤다며 아쉬워하는 팬들이 매우 많았다.] 3월 마지막 주에 발매했음에도 월간 차트에서는 74,117장을 판매해 월간 4위, 2009년 연간으로는 97,616장을 판매해 상업적으로 매우 큰 성공을 거둔 작품이었다. 이후에도 판매량이 꾸준히 상승해, 2012년 12월 일본레코드협회(RIAJ)로부터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으며, 이는 현재까지 발매된 각트의 모든 작품들 가운데 '''마지막 플래티넘 인증'''작품이다. === 활동 === [youtube(armbEhK3QxE)]각트 본인의 메세지 [youtube(2JVCa0DANGo)]090424 [[뮤직 스테이션]] 라이브 [youtube(xTyaGDrW16U)]2013 GACKT Best Of The Best Live - MILD - 실황. 방송 활동은 방송사 사정으로 인해서, 가면라이더 시리즈와 같은 방송사에서 하는 뮤직 스테이션 이외에는 없었는데, 그래도 팬들 반응이 좋아서 2013년 에이벡스와 계약 만료 전 진행한 베스트앨범의 라이브 투어에서 선보인 적이 있었다. [youtube(uXVgJ9PmJPU)]TV판 오프닝. 스토리 중반부부터는 2절로 바뀌게 되었다. === 리메이크 === [youtube(pHVZ37NzvPk)] 2015년 라이더 칩스에 의해서 리메이크 되었다. == 트랙리스트 == ||'''트랙 번호'''||'''제목'''||'''작사'''||'''작곡'''||'''편곡'''|| ||1||Journey through the Decade||藤林聖子||Ryo||Ryo[br]中川幸太郎|| ||2||J.t.D. Re-Mix RIDE "Distort"||-||Ryo||Ryo[br]中川幸太郎|| ||3||J.t.D. Re-Mix RIDE "Symphony"||-||Ryo||Ryo[br]中川幸太郎|| ||4||Journey through the Decade (Instrumental)||藤林聖子||Ryo||Ryo[br]中川幸太郎|| == 스태프 == Performanced by [[Gackt]] -Music- Guitar Playing : AYANO Chorus : Rei Hyuga Programing : komachi Recording engineer: Masahiro Shimbo(MIXER'S LAB) Mix Engineer : Teruaki Ise (A.K.A STUDIO) Mastering engineer : Kazuhiro Yamagata (CD -design STUDIO) Coordinate : Motohide Tanaka (egg) Music&Sound Produce : Yusuke Kohno ([[AVEX]] entertainment) -FILM- Director : Tomoo Noda Action Director : Takeshi Miyazaki Coordinate : Kentaro Suzuki (avex entertainment) Cast : [[이노우에 마사히로|Masahiro Inoue]] as [[카도야 츠카사|Tsukasa Kadoya]] [[타카이와 세이지|Seiji Takaiwa]] as [[가면라이더 디케이드(가면라이더)|Masked Rider Decade]] Hair&Make-up : Kaoru Mitsukura (be-glee), Yuji Mitsui (be-glee) Stylist : Rockey Scenario : Yusuke Kohno (avex entertainment) -TV- Producer : Atsushi Kaji ([[TV아사히|TV Asahi]]), [[시라쿠라 신이치로|Shin-ichiro Shirakura]] ([[토에이|TOEI]]), Naomi Takabe (TOEI), Kenichi Wasano (TOEI) -PACKAGE- Jacket Design : Duke Okada (TRiCEP Graphics) Photograph : Emiko Morisaki Coordinate : Hideki Umezu (avex marketing) Merchandising : Mie Sugihara (TOEI), Daisuke Ishii (TOEI) Promotion : Natsu Oi (avex entertainment) Desk: Keiko Sano (avex entertainment) Artist Management : Kimiko Ikegami (GORDIE ENTERTAINMENT), Mai Koishi (GORDIE ENTERTAINMENT), Jun Makabe (GORDIE ENTERTAINMENT) Exuecutive Producer : Hiroshi Hasegawa (GORDIE ENTERTAINMENT) General Prodicer : Kenichiro Hori (avex entertainment) == 가사 == === 원곡 === ||<:> '''가사''' || ||<:> 見上げる星 それぞれの歴史が輝いて (미아게루호시 소레조레노레키시가 카가야이테) 올려다 본 [[가면라이더|별들]]엔 [[가면라이더 쿠우가|제]][[가면라이더 아기토|각]][[가면라이더 류우키|기]][[가면라이더 555|의]] [[가면라이더 블레이드|역]][[가면라이더 히비키|사]][[가면라이더 카부토|가]] [[가면라이더 덴오|빛나]][[가면라이더 키바|고]] [[헤이세이 라이더|있네]] 星座のよう 線で結ぶ瞬間 始まる Legend (세이자노요오 센데무스부슌칸 하지마루 Legend) 별자리처럼 선으로 잇는 순간 시작되는 Legend オーロラ揺らめく 時空越えて[br]飛び込む 迷走する Parallel world (오로라유라메쿠 지쿠우코에테 토비코무 메이소오스루 Parallel world) 오로라 흔들리는 시공을 넘어 뛰어들고 미주하는 [[패러렐 월드|Parallel world]] On the road 誰も旅の途中[br]本当の自分自身 出会うため (On the road 다레모타비노토츄우 혼토오노지분지신 데아우타메) On the road 누구든 여행을 하며[br][[카도야 츠카사|진정한 자신]]과 [[가면라이더 디케이드(가면라이더)|마주하기]] 위하여 歩き続けるのさ今を We’re all travelers (아루키츠즈케루노사이마오 We're all travelers) 계속 걷고 있어 지금을 We’re all travelers 僕の目の前に広がる (보쿠노메노마에니히로가루) 내 눈 앞에 펼쳐진 9つの道はいつか 重なって (코코노츠노미치와이츠카 카사낫테) [[헤이세이 라이더|9개의 길]]은 [[가면라이더 디케이드|언젠가 겹쳐져서]] 新しい夜明けへと続く 道に変わるのだろう 目撃せよ Journey through the decade (아타라시이요아케에토츠즈쿠 미치니카와루노다로오 모쿠게키세요 Journey through the decade) 새로운 새벽으로 이어지는 길로 변하겠지 지켜보는거야 Journey through the decade レンズ越しに 切り取った景色を見つめても 真実とは 心の目の中に 写る物さ (렌즈고시니 키리톳타케시키오 미츠메테모 신지츠토와 코코로노메노나카니 우츠루모노사) 렌즈 너머로 끊긴 경치를 바라본들 진실이란 마음의 눈 안에 떠오르는 법이지 どこかで 戦いの幕が開き 僕という 現実さらう Halation (도코카데 타타카이노마쿠가아키 보쿠토이우 겐지츠사라우 Halation) 어딘가에서 싸움의 막이 열리고 나라는 이름의 현실을 유혹하는 Halation On the road 旅に出る理由は 世界が滅びる未来 変えるため (On the road 타비니데루리유우와 세카이가호로비루미라이 카에루타메) On the road 여행을 떠나는 이유는 [[라이더 대전의 세계|세계가 멸망하는 미래]]를 바꾸기 위해 もっと強く夢を抱け We’re all dreamers 僕の運命はかならず (못토츠요쿠유메오이다케 We're all dreamers 보쿠노운메이와카나라즈) 더 강하게 꿈을 품어라 We’re all dreamers [[디케이드 격정태|나의 운명]]은 틀림없이 10度目に立ち上がった その時に 新しい風通り抜ける 道がひらくのだろう (쥬도메니타치아갓타 소노토키니 아타라시이카제토오리누케루 미치가히라쿠노다로오) [[가면라이더 디케이드|10번째로 일어난 그 순간]] 새로운 바람이 지나갈 길이 펼쳐지겠지 目撃せよ Journey through the decade (모쿠게키세요 Journey through the decade) 지켜보는거야 Journey through the decade 自分が瞬間ごとに 決断する そのすべてで (지분가슌칸고토니 케츠단스루 소노스베테데) 자신이 매 순간마다 결단하는 모든 행동으로 未来は 理想にも絶望にも 変わってゆく (미라이와 리소니모제츠보오니모 카왓테유쿠) 미래는 이상으로도 [[라이더 대전의 세계|절망으로도]] 바뀌어가지 だからきっと 信じた道走れ (다카라킷토 신지타미치하시레) 그러니 반드시 믿는 길을 달려나가 On the road 誰も旅の途中 本当の自分自身 出会うため (On the road 다레모타비노토츄우 혼토오노지분지신 데아우타메) On the road 누구든 여행을 하며 진정한 자신과 마주하기 위하여 歩き続けるのさ今を We’re all travelers (아루키츠즈케루노사이마오 We're all travelers) 계속 걷고 있어 지금을 We’re all travelers 僕の目の前に広がる 9つの道はいつか 重なって (보쿠노메노마에니히로가루 코코노츠노미치와이츠카 카사낫테) 내 눈 앞에 펼쳐진 9개의 길은 언젠가 겹쳐져서 新しい夜明けへと続く 道に変わるのだろう 目撃せよ Journey through the decade (아타라시이요아케에토츠즈쿠 미치니카와루노다로오 모쿠게키세요 Journey through the decade) 새로운 새벽으로 이어지는 길로 변하겠지 지켜보는거야 Journey through the decade|| === 더빙판 === [youtube(Ax8gfLqGd5A)] 한국판은 가수 오용운이 불렀다. ||<:> '''더빙판 가사''' || ||<:>저 멀리 보이는 빛나는 별은 저마다의 사연이 있어[br]별자리와 같이 선으로 이어지는 순간 전설이 되네[br] 흔들리는 빛을 지나 시공을 넘어서 뛰어들어 길을 잃은 또 다른 세계로[br] On the road 인생은 여행같은 것[br]진정한 나 자신을 만나러 가는 여행[br]하나가 된 세상으로 이어진 새로운 길로 변하겠지?[br] 지켜봐줘 Journey through the decade|| == [[D4DJ Groovy Mix]]에서 == [include(틀:D4DJ Groovy Mix의 14 수록곡)] * [[D4DJ Groovy Mix/수록곡]] ||||<:>{{{+1 {{{#4b0082,#violet J}}}ourney through the Decade}}}{{{#!wiki style="margin:-9px -10px auto;margin-bottom:-7px"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border-right:1px solid;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margin-left: -10px;float:left" {{{#373a3c,#afeeee BPM}}}}}} {{{#373a3c,#afeeee 17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border-left:1px solid;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margin-right: -10px;float:right" {{{#373a3c,#afeeee 02:15}}}}}} ||}}}{{{#!wiki style="margin:0px -12px -16px" ||<-4> [[파일:Decade_Groovy_Mix_Cover_Art.jpg|width=100%]] || || [[파일:d4dj_Easy.png]][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blue;display:block;, 곡률=1em, 사이즈=0.8em; margin: 3px -5px 2px, 글자색=#fff, 내용=3)] 192 [br] (NTS) || [[파일:d4dj_Normal_2.png]][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darkGreen;display:block;, 곡률=1em, 사이즈=0.8em; margin: 3px -5px 2px, 글자색=#fff, 내용=7)] 313 [br] (DNG) || [[파일:d4dj_Hard.png]][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Chocolate;display:block;, 곡률=1em, 사이즈=0.8em; margin: 3px -5px 2px, 글자색=#fff, 내용=11)] 517 [br] (NTS) || [[파일:d4dj_Expert.png]][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Crimson;display:block;, 곡률=1em, 사이즈=0.8em; margin: 3px -5px 2px, 글자색=#fff, 내용=14)] 882 [br] (NTS) ||}}}|| ## 채보 경향은 NTS / DNG / SCR / EFT / TEC 중 레이더 차트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가지는 수치를 적습니다. 높은 수치가 세 개 이상일 경우 ALL을 적습니다. || 수록 || 2020년 11월 28일 || || 유닛 ||<:> [[燐舞曲|[[파일:logo_rondo.png|width=30%]]]] || || 해금 방법 ||<:> 상점 구입 || || 카테고리 ||<:> 커버 || || 기타 || 없음 || |||| {{{#!folding [ 레이더 차트 & 채보 디자이너 ] [[파일:레이더 차트.png|align=center]] || [[파일:d4dj_Easy.png]] || [[파일:d4dj_Normal_2.png]] || [[파일:d4dj_Hard.png]] || [[파일:d4dj_Expert.png]] || ||<-4> すばとす || }}} || [[燐舞曲|[ruby(燐舞曲, ruby=RONDO)]]]의 커버곡으로 수록. [[NIGHTMARE]]의 사키토와 eMPIRE SOUND SYSTeMS[* [[SiM(밴드)|SiM]]의 MAH와 [[드래곤 애쉬]]의 사쿠라이 마코토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프로듀싱 팀.]가 공동으로 편곡했다. === 채보 === [youtube(dnvaHav0W0s)] HARD PFC 영상. [youtube(16CeuOy1pfw)] EXPERT PFC 영상. == 기타 == 뮤직비디오 맨 마지막에서 츠카사는 각트의 라이더 카드를 받는데, 정작 각트 라이더 카드는 실제로 발매되지 않았다. 아무래도 초상권/저작권 문제가 있는건지 상품화가 계속 되고 있는 DX, CSM 그리고 CSM 버전 2인 [[디케이드라이버]]가 발매 되었을때도 포함되지 않았다. [[분류:가면라이더 디케이드]][[분류:헤이세이 라이더/주제곡]][[분류:각트의 음반]][[분류:2009년 음반]][[분류:2009년 노래]][[분류:일본의 록 음반]][[분류:D4DJ Groovy Mix의 수록곡]][[분류:D4DJ/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