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리듬 게임 음악]] [include(틀:상위 문서, top1=Just Shapes & Beats)] [include(틀:Just Shapes & Beats/수록곡)] [[Just Shapes & Beats]]에 수록된 곡을 다루는 문서이다. * 업데이트로 새로운 곡이 추가되었을 경우 [[템플릿:Just Shapes & Beats/수록곡]]을 사용해서 문서를 생성하고 링크를 걸어 주세요. [목차] == 개요 == 보스전을 제외한 모든 곡(일반 곡)은 맵 곳곳마다 체크포인트가 1~4개 정도씩 존재한다. 체력은 총 3이고, 체력을 모두 소모하면 목숨이 1씩 줄어들고 가장 최근에 지나간 체크포인트에서 부활한다. 3개의 목숨을 모두 써버려 게임 오버 화면이 나오면 그 맵의 처음으로 돌아간다. 1.1 업데이트 이후로는 그 맵 안에 들어가 있는 채로 처음부터 시작한다. 보스전은 체크포인트가 없는 대신 처음부터 체력이 6이기 때문에 영상 촬영을 위해 안죽고 깨는 건 오히려 보스곡이 더 쉽다. == 스토리 곡 == 스토리 모드에 등장하는 곡이다. 스토리는 [[Just Shapes & Beats#s-3]] 문서 참조. 캐주얼 모드를 켰을 경우 스토리 진행 중 한정으로 보스전을 포함한 모든 곡의 체력이 2배가 된다. 분홍색 배경으로 표시한 보스전 곡은 일반 곡들과 다르게 곡 중간에 체크포인트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죽을 경우 곡 처음부터 진행해야 하지만, 일반 곡에 비해 두 배의 체력(HP 6)을 갖고 시작한다. 모두 각자 특이한 패턴을 가지고 있다. 즉, 보스전은 '''서로 겹치는 패턴이 거의 없다.''' 아예 상태가 똑같은 보스가 등장한 [[New Game]]과 [[Final Boss]]의 보스도 형태 변화 빼곤 닮은 패턴이 없다! === 튜토리얼(Tutorial) === ||<-3><:>
{{{+1 '''튜토리얼'''}}}[br]Tutorial || ||<-3><:> '''[[Corrupted]]'''[* 무한 목숨이며, 스토리 모드를 시작하면 무조건 이 곡부터 시작한다.][br]{{{-2 Danimal Cannon & Zef}}} || ||<-3><:> ▼ || ||<:> '''[[Chronos(Just Shapes & Beats)|Chronos]]'''[br]{{{-2 Danimal Cannon & Zef}}} ||<:> '''[[Milky Ways]]'''[br]{{{-2 [[Bossfight]]}}} ||<:> '''[[Logic Gatekeeper]]'''[br]{{{-2 Danimal Cannon & Zef}}} || ||<-3><:> ▼ || ||<-3><:> {{{-2 보스전}}}[br]'''[[Long Live The New Fresh]]'''[br]{{{-2 Danimal Cannon}}} || [각주] === 낙원(Paradise) === ||<:>
{{{+1 '''낙원'''}}}[br]Paradise || ||<:> (일반 곡 없음) || ||<:> ▼ || ||<:> {{{-2 보스전}}}[br]'''[[New Game]]'''[br]{{{-2 Nitro Fun}}} || === 섬(Island) === ||<-3><:>
{{{+1 '''섬'''}}}[br]Island || ||<-3><:> '''[[The Art of War]]'''[br]{{{-2 Chipzel}}} || ||<-3><:> ▼ || ||<:> '''[[Termination Shock]]'''[br]{{{-2 Sabrepulse}}} ||<:> '''[[Sevcon]]'''[br]{{{-2 Big Giant Circles}}} ||<:> '''[[Cascade(Just Shapes & Beats)|Cascade]]'''[br]{{{-2 Kubbi}}} || ||<-3><:> ▼ || ||<-3><:> {{{-2 보스전}}}[br]'''[[Barracuda]]'''[* 맵상에서의 실제 위치는 화산 내부이다.][br]{{{-2 Noisestorm}}} || [각주] === 화산(Volcano) === ||<:>
{{{+1 '''화산'''}}}[br]Volcano || ||<:> '''[[Dubwoofer Substep]]'''[br]{{{-2 Omnitica}}} || ||<:> ▼ || ||<:> '''[[Cheat Codes(Just Shapes & Beats)|Cheat Codes]]'''[br]{{{-2 Nitro Fun}}} || ||<:> ▼ || ||<:> '''[[Clash(Just Shapes & Beats)|Clash]]'''[br]{{{-2 Trip40}}} || ||<:> ▼ || ||<:> {{{-2 보스전}}}[br]'''[[Lycanthropy]]'''[br]{{{-2 Cardi}}} || === 공장(Industry) === ||<-3><:>
{{{+1 '''공장'''}}}[br]Industry || ||<-3><:> '''[[Cool Friends]]'''[br]{{{-2 Silva Hound (Murtagh & Veschell Remix)}}} || ||<-3><:> ▼ || ||<:> '''[[The Lunar Whale]]'''[br]{{{-2 Danimal Cannon & Zef}}} ||<:> '''[[Spectra]]'''[br]{{{-2 Chipzel}}} ||<:> '''[[Unlocked]]'''[br]{{{-2 Flesco}}} || ||<-3><:> ▼ || ||<-3><:> {{{-2 보스전}}}[br]'''[[Close To Me]]'''[br]{{{-2 Sabrepulse}}} || === 탑(Tower) === ||<-3><:>
{{{+1 '''탑'''}}}[br]Tower || ||<:> '''[[Into The Zone]]'''[br]{{{-2 Shirobon}}} ||<:> '''[[Vindicate Me]]'''[br]{{{-2 Big Giant Circles}}} ||<:> '''[[Try This]]'''[br]{{{-2 Pegboard Nerds}}} || ||<-3><:> ▼ || ||<-3><:> {{{-2 보스전}}}[br]'''[[Final Boss]]'''[br]{{{-2 Nitro Fun}}} || ||<-3><:> ▼ || ||<-3><:> {{{-2 보스전}}}[br]'''[[Annihilate|Annihilate (Original Mix)]]'''[br]{{{-2 Destroid}}} || ||<-3><:> ▼ || ||<-3><:> {{{-2 보스전}}}[br]'''[[Till It's Over]]'''[* 보스전이지만 예외적인 규칙이 적용된다. 스포일러가 있으므로 자세한 사항은 해당 문서 참조.][br]{{{-2 Tristam}}} || [각주] === 로스트 챕터(Lost Chapter) === ||<:>
{{{+1 '''로스트 챕터'''}}}[br]The Lost Chapter || ||<:> '''[[Airborne Robots#Just Shapes & Beats]]'''[br]{{{-2 [[F-777]]}}} || ||<:> ▼ || ||<:> '''[[Interlaced]]'''[br]{{{-2 [[MDK]]}}} || ||<:> ▼ || ||<:> '''[[Last Tile 海底撈月]]'''[br]{{{-2 Kommisar}}} || ||<:> ▼ || ||<:> '''[[Born Survivor]]'''[br]{{{-2 Shirobon}}} || ||<:> ▼ || ||<:> {{{-2 보스전}}}[br]'''[[Spider Dance]]'''[br]{{{-2 Shirobon}}} || == 엑스트라 곡 == 이 곡들은 스토리 모드에서 등장하지 않으며, 도전 모드로 선곡해서 플레이하거나 도전 모드에서 다음 조건을 달성하고 재생목록에서 플레이해야 한다. * '''기본 해금''': 말 그대로 기본적으로 해금. 처음부터 열려있다. * '''대시 횟수''': 도전 모드에서 대시를 한 횟수 * '''구출 횟수''': 도전 모드에서 친구를 구한 횟수 * '''도전 완료 횟수''': 도전 모드를 완료한 횟수. 보스곡을 완료한 횟수로 집계되므로 세 곡을 모두 플레이할 필요는 없다. * '''보유 비트포인트''': 플레이어가 모은 비트포인트 개수 하늘색 배경으로 표시한 곡은 1.1 업데이트에서 새로 추가되었다. 노란색 배경으로 표시한 곡은 1.4 업데이트에서 새로 추가되었다. ||<-13><:>
{{{+1 '''엑스트라'''}}}[br]Extra || ||<:> '''기본 해금''' ||<-12><:> '''[[Creatures Ov Deception#Just Shapes & Beats]]'''[br]{{{-2 Rainbowdragoneyes}}} || ||<:> '''대시 횟수''' ||<-4><:> {{{-2 1,000회}}}[br]'''[[Legacy(Just Shapes & Beats)|Legacy]]'''[br]{{{-2 Danimal Cannon & Zef}}} ||<-4><:> {{{-2 2,000회}}}[br]'''[[Wicked(Just Shapes & Beats)|Wicked]]'''[br]{{{-2 Avenza}}} ||<-4><:> {{{-2 5,000회}}}[br]'''[[Deadlocked#Just Shapes & Beats]]'''[br]{{{-2 [[F-777]]}}} || ||<:> '''구출 횟수''' ||<-4><:> {{{-2 50회}}}[br]'''[[First Crush]]'''[br]{{{-2 Sabrepulse}}} ||<-4><:> {{{-2 250회}}}[br]'''[[Yokuman Stage]]'''[br]{{{-2 Kevin Phetsomphou}}} ||<-4><:> {{{-2 350회}}}[br]'''[[Granite]]'''[br]{{{-2 Shirobon}}} || ||<:> '''도전 완료 횟수''' ||<-3><:> {{{-2 10회}}}[br]'''[[Paper Dolls]]'''[br]{{{-2 Shawn Daley}}} ||<-3><:> {{{-2 25회}}}[br]'''[[Commando Steve]]'''[br]{{{-3 [[Bossfight]]}}} ||<-3><:> {{{-2 50회}}}[br]'''[[Houston]]'''[br]{{{-2 Big Giant Circles}}} ||<-3><:> {{{-2 75회}}}[br]'''[[Lightspeed]]'''[br]{{{-2 [[MDK(작곡가)|MDK]] & Sterrezo}}} || ||<|3><:> '''보유 비트포인트''' ||<-3><:> {{{-2 1,000BP}}}[br]'''[[HYPE]]'''[br]{{{-2 Tokyo Machine}}} ||<-3><:> {{{-2 2,000BP}}}[br]'''[[Tokyo Skies]]'''[br]{{{-2 Chipzel}}} ||<-3><:> {{{-2 3,500BP}}}[br]'''[[Dance Of The Incognizant]]'''[br]{{{-2 FantomenK}}} ||<-3><:> {{{-2 5,000BP}}}[br]'''[[FOX(Just Shapes & Beats)|FOX]]'''[br]{{{-2 Shirobon}}} || ||<-3><:> {{{-2 7,500BP}}}[br]'''[[Core(Just Shapes & Beats)|Core]]'''[br]{{{-2 Zef}}} ||<-3><:> {{{-2 10,000BP}}}[br]'''[[Crystal Tokyo]]'''[br]{{{-2 FantomenK & meganeko}}} ||<-3><:> {{{-2 12,500BP}}}[br]'''[[On The Run]]'''[br]{{{-2 Shirobon}}} ||<-3><:> {{{-2 15,000BP}}}[br]'''[[Mortal Kombat(Just Shapes & Beats)|Mortal Kombat]]'''[br]{{{-2 The Immortals}}} || ||<-12><:> {{{-2 17,500BP}}}[br]'''[[Katana Blaster]]'''[br]{{{-2 Big Giant Circles}}} || === [[Shovel Knight]] === 1.3 업데이트에 [[Shovel Knight]]와의 콜라보로 네 곡이 추가로 수록되었다. 네 곡 모두 실제 작곡가는 Jake Kaufman이고, 해당 곡을 리믹스한 작곡가의 명의가 표시되어 있다. ||<-4><:>
{{{+1 '''[[삽질 기사|Shovel Knight]]'''}}}[br],,Shovel Knight 콜라보레이션 수록곡,, || ||<:> {{{-2 1,200BP}}}[br]'''[[Strike the Earth!]]'''[br]{{{-2 Danimal Cannon}}} ||<:> {{{-2 1,400BP}}}[br]'''[[Flowers of Antimony]]'''[br]{{{-2 Rainbowdragoneyes}}} ||<:> {{{-2 보스전 / 1,600BP }}}[br]'''[[La Danse Macabre]]'''[br]{{{-2 Shirobon}}} ||<:> {{{-2 1,800BP}}}[br]'''[[In the Halls of the Usurper]]'''[br]{{{-2 Kubbi}}} || == 스테이지 외 사운드트랙 == JS&B 전용으로 만들어진 오리지널 사운드트랙은 미포함한다. * 낙원(Paradise) 맵: Danimal Cannon - [[https://www.youtube.com/watch?v=Ayw8BJ8NUEU|Agrobacter]] * 섬(Island) 구간: Kubbi - [[https://www.youtube.com/watch?v=p4ULHggfbxk|Warm Hugs in Court]] * 배 언락 이후 배를 조종하는 구간: Omnitica - [[https://www.youtube.com/watch?v=98P3VVBdIcw|I'm being reelistic]] * 화산(Volcano)에서 식물이 Lycanthropy 보스로 변하기 전 오염된 물에 떨어지는 장면: Danimal Cannon - [[https://www.youtube.com/watch?v=GASs8E9uGXk|Frantic Theme]] * Lycanthropy 보스전 이전 미니게임 구간: Big Giant Circles - [[https://www.youtube.com/watch?v=9OquWmdUYXw|Chip Zeal]][* 이 미니게임의 원본 브금에서 중간부분을 생략 시켰다.]--브금이 좋다.-- * 공장 구간 브금: Danimal Cannon - [[https://www.youtube.com/watch?v=HCYlA-JzrwQ|Factory Theme]] * Lycanthropy, Close To Me 보스전 이후 삼각형을 정화할 때: nanobii - [[https://www.youtube.com/watch?v=a0Aauep0VWs|Rainbow Road]] * Final Boss 보스전 이전, 주인공과 동료들이 작별 인사를 할 때: Tristam - [[https://www.youtube.com/watch?v=59M5z0c8YtE|Once Again (초반부)]] * Final Boss 이후, 탑 꼭대기에서 왕관을 탈취하기 직전: Big Giant Circles - [[https://youtu.be/5avJG7hqKvA|Relapse]] * 로스트 챕터의 미니게임 구간: Shirobon - [[https://youtu.be/2sZHTdRUtXo|Pursuit]] * 엔딩: Tristam - [[https://www.youtube.com/watch?v=59M5z0c8YtE|Once Again]] * 엔딩 크레딧: Let's Be Friends - [[https://www.youtube.com/watch?v=oO10eNicsfQ|FTW]] * 게임 오버 화면의 It's Over 파트: Kubbi - [[https://www.youtube.com/watch?v=Or0yKOUXcNo|Formed by Glaciers]] * It's NOT Over 파트: Kubbi - [[https://www.youtube.com/watch?v=KRm2zCqwd1c&t=119s&ab_channel=Kubbi|Pathfinder (1:59)]] * 플레이리스트 맵 클리어 후/멀티 플레이 대기화면에서: Pixl - [[https://youtu.be/-WR0o7NWUy8?t=217|Sugar Rush (3:37부터)]]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Just Shapes & Beats, version=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