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K리그/드래프트]] [include(틀:상위 문서, top1=K리그/드래프트)] ||<-5><:> '''{{{#ffffff 역대 K리그 드래프트}}}''' || ||<:> [[K리그/드래프트/1999년|1999 드래프트]] ||<:> {{{+1 ←}}} ||<:> '''2000 드래프트''' ||<:> {{{+1 → }}} ||<:> [[K리그/드래프트/2001년|2001 드래프트]] || [목차] == 개요 == 1999년 12월 3일 시행된 K리그 드래프트. 총 신청자 수 332명 중 82명이 K리그 팀에 지명되었다. 처음으로 고졸 선수 드래프트와 대학-실업 선수 드래프트가 분리되어 치러졌다. == 진행방식 == * 고교선수 임의지명 제도가 확대되어 각 클럽이 연고지 내의 최대 3개의 고등학교를 지명해 졸업자들을 우선 지명할수 있게 되었다. 각 학교당 3명으로 총 9명을 지명할 수 있는 시스템. * 일반 드래프트와 번외 드래프트의 개념이 사라졌다. 대신 한 라운드에 지명자가 한 명도 안 나올때까지 드래프트는 진행되며 이 표에선 편의상 12라운드 이후의 드래프트는 번외로 표기하고 대신 13라운드 이후의 지명자 이름에 주석을 달아 지명 드래프트 라운드를 표기한다. * 지명은 한 라운드에 1명만 지명 가능하다. * 4라운드 지명은 연고 대학의 선수를 드래프트 시작 전 미리 지명하는 '''[[우선지명]]'''으로 진행된다. 우선지명이 없을 경우 다음 라운드로 자동 패스된다. * 추첨과 순위 역순을 혼합한 방식으로 순번이 정해졌다. 먼저 [[K리그/1999년|지난 시즌]] 8위~10위 3팀은 추첨을 통해 1~3순위의 순번을 정하고, 나머지 7팀은 성적 역순을 통해 4~10순위의 순번을 정한다. 공교롭게도 1~3순위는 지난 시즌 순위 역순 그대로 정해졌다. * 1. [[안양 LG 치타스]] * 2. [[대전 시티즌]] * 3. [[천안 일화 천마]] * 4. [[전북 현대 다이노스]] * 5. [[울산 현대 호랑이]] * 6. [[포항 스틸러스]] * 7. [[전남 드래곤즈]] * 8. [[부천 SK]] * 9. [[부산 대우 로얄즈]] * 10.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지명결과 == * 대학-실업 선수 드래프트 || '''구단''' || '''1차''' || '''2차''' || '''3차''' || '''4차[br]{{{-3 (우선지명)}}}''' || '''5차''' || '''6차''' || '''7차''' || '''8차''' || '''9차''' || '''10차''' || '''11차''' || '''12차''' || '''번외''' || || [[안양 LG]] || [[이영표]] || 김주영 || 이재천 || [[원종덕]] || [[백민철]] || 이동준 || - || 최승범 || - || - || - || - || - || || [[대전 시티즌]] || [[이관우]] || [[김성근(축구)|김성근]] || 박내철 || - || 송창남 || 이상규 || [[이승준(축구)|이승준]] || - || - || - || - || - || - || || [[천안 일화]] || [[김대의]] || 황인수 || 김재구 || 조주년 || 김대건 || 지성민 || 심민석 || - || - || - || - || - || - || || [[전북 현대]] || 양현정 || 손동현 || 윤근호 || 안대현 || 정재훈 || 고재영 || 김은익 || 이유성 || 김종혁 || - || [[안재석]] || - || - || || [[울산 현대]] || 최철우 || 김건형 || 연재천 || 박원길 || 이호규 || 김범준 || 김태순 || - || 한부희 || 한정일 || - || 이범수 || - || || [[포항 스틸러스]] || 하용우 || 이순행 || 오세웅 || - || 박한동 || 문도영 || 허제정 || - || - || - || - || - || - || || [[전남 드래곤즈]] || [[김남일]] || 윤용구 || 김태진 || 김대욱 || 이치영 || 송윤석 || 배진수 || 이준철 || - || - || - || - || - || || [[부천 SK]] || 김대철 || 김기형 || 신현호 || 최정민 || 조재권 || - || - || 박신영 || 남창훈 || 이영민 || 김부석 || 김대건 || 김인우[*13] [br]정원기[*14] [br]김재환[*15] || || [[부산 대우]] || [[심재원]] || 장기봉 || 박상신 || 정석근 || 박영순 || - || - || - || - || - || 오병훈 || - || - || || [[수원 삼성]] || 강대희 || 남기성 || 이상태 || - || 황정민 || 최남철 || 이광호 || 임세진 || 김대현 || 문태혁 || 곽인식 || 황성범 || 조성찬[*13] || * 고교졸업 선수 드래프트 * [[천안 일화]]는 참여하지 않았다. || '''구단''' || '''지명 고고''' || '''프로진출 선수''' || '''대학 입학 선수''' || ||<|3> [[안양 LG]] || [[안양공고]] || [[김동진(1982)|김동진]] || 김태영 함두진 || || [[부평고]] || [[최태욱]] [[박용호(축구)|박용호]] || [[이천수]] || || [[동북고]] || [[김병채]] [[최원권]] || 김상우 || ||<|3> [[대전 시티즌]] || [[대전상고]] || - || - || || [[청주상고]] || - || - || ||<-3> 지명고교 2개만 운영 || ||<|3> [[전북 현대]] || [[이리고]] || 유원섭 고관영 최영훈 || - || || [[경희고]] || - || - || ||<-3> 지명고교 2개만 운영 || ||<|3> [[울산 현대]] || [[울산현대고]] || 김성규 박민영 || 장현규 || || [[학성고]] || 한봉현 || [[조병국]] [[한태유]] || || [[서울체고]] || 박규선 || 김희호 황정희 || ||<|3> [[포항 스틸러스]] || [[포철공고]] || 김주형 || - || || [[청구고]] || - || 신동근 나경호 김완수 || || [[보인정보고]] || [[이원영(축구)|이정호]] || - || ||<|3> [[전남 드래곤즈]] || [[광양제철고]] || 김대륜 박준영 최봉근 || - || || [[금호고등학교(광주)|금호고]] || 하성룡 || 박정남 차동윤 || ||<-3> 지명고교 2개만 운영 || ||<|3> [[부천 SK]] || [[정명고]] || - || 이병덕 조재훈 [[조한선]][* 링크 잘못 걸린거 아니다. 그 연기자 조한선 맞다.] || || [[인천대중예술고등학교|운봉공고]] || - || 이정기 남덕우 박길성 || || [[문일고]] || 강산들 이정수 || 전행수 || ||<|3> [[부산 대우]] || [[경남상고]] || 김지혁 김현우 || 황달영 || || [[거제고]] || - || 박동석 황태영 이대성 || ||<-3> 지명고교 2개만 운영 || ||<|3> [[수원 삼성]] || [[수원공고]] || 이창덕 || - || || [[통진종고]] || - || - || || [[대신고]] || [[조재진]] || 구경현 || 대학-실업 선수 드래프트와 고교 지명선수 드래프트를 한날에 따로 시행한 최초의 드래프트다. 이는 그만큼 실업리그 선수들 중 프로지원을 한 선수들이 많았다는 이유기도 하지만, 당시 유소년 축구에 이른바 '''초고교급 선수'''라 불리는 유망주들이 유난히 많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실제 고교 드래프트에서 [[안양 LG]]의 [[김동진(1982)|김동진]]과 [[최태욱]], [[수원 삼성]]의 [[조재진]], [[울산 현대]]의 박규선 등 쟁쟁한 선수들이 많았고 모두 프로에 올라가 몇 시즌 지나지 않아 각 팀의 주전급 선수로 발돋움한다. 또한 지금의 우선지명과 같은 고교선수 지명제가 확대 도입되어 총 9명까지 우선지명으로 구단이 묶어둘 수 있었는데, 만약 우선지명대로 모두 프로행을 확정지었다면 우리는 안양의 [[이천수]], 울산의 [[조병국]], 심지어 부천 골키퍼 [[조한선]]을 볼 수도 있었을 일이다. 대학-실업 드래프트에서도 주목할 자원들이 많았다. 당시 2000 시드니 올림픽을 준비하면서 허정무 감독이 이끌던 올림픽 대표팀에 자주 뽑히는 인재들이 이 때 드래프트에 많이 등장했는데, 대표적인 선수들이 [[이영표]], [[심재원]], [[김남일]], 최철우 등이다. 이들은 모두 1라운드 때 지명을 받아 특급 유망주임을 증명했다. 또한 양현정, 김건형 등이 주목할 선수였으며 [[이관우]]는 J리그 행이 예정되어있었으나 결국 대전의 지명을 받아 [[대전 시티즌]]에 입단하게 된다. J리그와 실업리그를 거친 [[김대의]]도 늦깎이 K리그 데뷔를 [[천안 일화]]에서 하게 되었다. == 특이사항 == 당시 드래프트는 끝장 드래프트였는데, 과거 10라운드까지 마치고 드래프트를 번외지명으로 전환했던 것과 달리, 구단들이 모두 라운드를 포기할 때 까지 드래프트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때문에 2군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던 [[수원 삼성]]이 13라운드까지 선수를 지명했고, 한술 더 떠 [[부천 SK]]는 무려 15라운드까지 선수를 지명해, 드래프트는 16라운드가 되어서야 끝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