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K팝 스타]][[분류:2015년 방송 프로그램]][[분류:2016년 방송 프로그램]][[분류:2016년 종영]] || '''{{{#FFFFFF K팝 스타 시즌5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일요일이 좋다|{{{#FFFFFF 일요일이 좋다 2부}}}]]''' || || [[런닝맨]] || {{{+1 →}}} || '''K팝 스타 시즌5''' || {{{+1 →}}} || [[런닝맨]] || ---- [include(틀:K팝 스타)] ---- }}} || ||<-3> '''{{{+1 K팝 스타 시즌5}}}''' || ||<-3>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K팝스타 5.jpg|width=100%]]}}} || ||<-2> '''방송기간''' ||[[2015년]] [[11월 22일]] ~ [[2016년]] [[4월 10일]] || ||<-2> '''방송시간''' ||일요일 오후 6시 10분 || ||<-2> '''방송사 · 채널''' ||[[SBS]] || ||<-2> '''제작사''' ||[[초록뱀미디어]] || ||<|2> '''제작진''' || '''연출''' ||박성훈, 장석진, 류승호, 정익승 || || '''조연출''' ||백수진, 박소현 || ||<-2> '''스폰서''' ||현대자동차[* 매 에피소드를 시작할 때마다 '우승자에게 부상으로 매 시즌 함께해온 [[아반떼|준중형차]]를 준다'는 말이 나온다. 시즌2는 [[르노삼성자동차]]가 스폰서였기 때문에 이 말은 사실이 아니라는 의견이 있지만 엄밀히 따지면 전현무가 이 말을 할 때 역대 우승자들이 막 지나가면서 화면을 자세히 보면 시즌2의 우승자인 [[AKMU|악동뮤지션]]은 빠져있다. 그리고 화면을 빼고 멘트만 생각하면 시즌2도 준우승자였긴 하지만 [[SM3|준중형차]]를 준건 맞으니 결국 [[거짓말은 하지 않는다|거짓말을 했던 건 아니다.]]], 씨그램, 멜론 등 || ||<-2> '''우승 상금''' ||3억 원 || ||<-2> '''우승 상품''' ||[[현대자동차]] [[현대 아반떼|아반떼]] || ||<-2> '''우승자''' ||[[CHAI|이수정]] || ||<-2> '''링크''' ||[[http://program.sbs.co.kr/dynamic/programMainList.do?pgm_id=22000007885&shareUrl=http%3A%2F%2Fprogram.sbs.co.kr%2Fbuilder%2FprogramMainList.do%3Fpgm_id%3D22000007885&shareTitle=K%ED%8C%9D%EC%8A%A4%ED%83%805+%28KPOP+STAR+5%29+%3A+SBS&shareDesc=|SBS K팝 스타 공식 1]][br][[https://programs.sbs.co.kr/enter/kpopstar5/main|SBS K팝 스타 공식 2]]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K팝 스타]]의 5번째 시즌이며 [[2015년]] [[11월 22일]]부터 [[2016년]] [[4월 10일]]까지 방영했다. [[http://program.sbs.co.kr/dynamic/programMainList.do?pgm_id=22000007885&shareUrl=http%3A%2F%2Fprogram.sbs.co.kr%2Fbuilder%2FprogramMainList.do%3Fpgm_id%3D22000007885&shareTitle=K%ED%8C%9D%EC%8A%A4%ED%83%805+%28KPOP+STAR+5%29+%3A+SBS&shareDesc=|공식 홈페이지]] == 출연진 == * [[MC]] : '''[[전현무]]와 [[붐(연예인)|붐]][* 2년만에 보조 MC로 돌아왔다.]''' * 심사위원 : '''[[JYP]]'''의 '''[[박진영]]''', '''[[YG엔터테인먼트]]'''의 '''[[양현석]]''', '''[[안테나 뮤직]]'''의 '''[[유희열]]''' == 상세 == 세곳의 대형 기획사([[JYP]], [[YG엔터테인먼트]], [[안테나 뮤직]]) 수장인 [[박진영]],[[양현석]],[[유희열]]이 심사위원으로써 직접 인재를 뽑는 [[서바이벌 프로그램]]으로 올해로 5년차를 맞이하였으며 국내의 서바이벌 프로그램의 상황이 전혀 좋지 않은 상황에서도 주말 지상파를 통해 중계된다는 이점과 참여 회사들의 유명세, 참가자 인력풀의 우월성과 다양성등을 기반으로 4기에서 [[KATIE|케이티 김]], [[정승환(가수)|정승환]], [[이진아(가수)|이진아]] 등 여러 인재들을 뽑아내었으며[* 서바이벌 프로그램 랭커 출신이라도 정식 데뷔하는 것은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고 있어서 탑10위권내에서 화제성을 보유하거나 우승할경우 즉시 3곳의 대형기획사와의 계약을 통해 지원을 받아 빠르게 메인스트림으로 올라갈수있다는 매력으로 실력적으로 우수한 지원자가 K팝 스타에 편중되는 현상을 낳았다.] 다른 출연자들도 소속사에 들어가서 가수의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그 인기를 통해 5기가 방영되며 출연진은 이전 시즌과 동일. == 사전광고 == 지난 시즌에 감성적인 뮤지션들로 흥행해서 그런지 전번과는 다르게 감성적인 광고를 내보냈다. [youtube(FBjarkRynF4)] [youtube(-Wwdmh0lCU8)] == [[K팝 스타 시즌5/에피소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팝 스타 시즌5/에피소드)] == [[K팝 스타 시즌5/출연자|출연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팝 스타 시즌5/출연자)] == 논란 == === 여성 참가자 [[일진]] 논란 === 본선 1라운드부터 극찬을 받은 박민지라는 여성 참가자가 일진이라는 논란글이 올라와 인성에 문제가 있지 않았느냐라는 걸로 우려의 댓글이 있었다[[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5120517372811973|이후 박민지는 억울하단 인터뷰을 했고 제작진도 사정을 알았다면서 확인한 정황을 전했다.]] 이후 시즌3,4때 논란이 있던 참가자와는 달리 스테이지를 다 거쳐 박민지는 TOP 10의 자리에 진출했으며 일진설 논란은 출연이 끝난 이후 잠잠해진것 같다. == 평가 == 역대급이라는 수식어가 가장 많았으나 이전4시즌들보다 화제성은 부족했다고 할 수 있다.[* K팝 스타에서 "역사상 최초" 라는 수식어가 시즌5만큼 많이 붙은 시즌은 그다지 많지 않다. '''[[정진우(가수)|역대 최초 한 소절만에 올 패스 판정을 받은 참가자]]''', '''역대 최초 심사위원 3명+객원 심사위원 18명, 도합 21명 전원 만장일치 합격을 받은 참가자(박민지)''', '''[[CHAI|역대 최초 심사위원 전원 만점 판정으로 총합 300점 만점을 받은 참가자]]''', 그리고 최초는 아니지만 '''[[우예린|한 시즌에서 가장 파격적인 변신을 선보인 참가자]]도 있다.'''] 서바이벌 프로그램의 하향세가 심해졌어도 유일하게 살아남은 지상파에서 방영되는 서바이벌 프로그램답게 [[K팝 스타 시즌4]]는 시청률 면에서도 평가에서도 다행히 선방했다. 경쟁 프로격 [[슈퍼스타K]]가 시즌7에서 또다시 비극을 맞이한 가운데[* 사실 K5 흥행참패가 가장 컸으며 K4까지는 그래도 충분히 볼만 했지만 결국... K6도 [[곽진언]], [[김필]]이 겨우 먹여 살렸을 뿐, 매번 똑같은 포맷을 7년 동안 계속한 것이 컸다.] K팝 스타는 지상파에서 방영하고, 심사위원과 소속사가 대단한 라인업이며, 음원도 잘 나가고, 심지어 시간대도 목요일로 옮긴 슈스케보다 훨씬 유리했다. 이미 2015년에 방영한 시즌4도 --아빠 방송들-- [[아빠! 어디가?]]와 [[슈퍼맨이 돌아왔다]]를 상대했지만 그럼에도 아빠어디가를 이기고 동시간대 시청률 2위를 고수했다. 시즌5가 방영되는 2016년이 되자 슈돌은 약간 부진해졌고, 동시간대의 최강 코너인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복면가왕]]과의 정면대결이 관건인 줄 알았는데 SBS가 이를 고려했는지 [[런닝맨]]과 시간대를 바꿔버렸다. 하지만 런닝맨이 이미 K팝이 시작하기 전 1부에서 한자리를 찍었다(...) 시즌5는 여전히 잘 나가는 [[1박 2일]]과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진짜 사나이]]를 상대하느라 벅차겠지만 그래도 [[아빠를 부탁해]]보다는 시청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고, 첫회부터 11.5%를 찍어주며 선방을 했다. ~~1부에서 [[런닝맨]]만 홀로 고전했다.~~ 지속적으로 10%대의 시청률이 나오고 한때 진짜 사나이와 대등한 시청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러한 시청률에 비해 화제성은 초창기나 이전 만큼 뜨겁진 않아서 몇몇 참가자를 제외하면 당장 TOP 10이 누구인지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일 정도. 각종 커뮤니티에서도 언급은 전 시즌들보다 많이 줄어든 상황이다. 케이팝스타 역시 오디션의 시대가 이제 한물갔다는 것에 아주 완전히 예외가 되진 않은셈이다. 음원차트도 [[K팝 스타 시즌4|시즌4]]에서 정승환이나 이진아가 1위로 올킬했던 것에 비해 많이 부진했다. 아무래도 이전과 비슷한 스타일의 보컬들, 특히 여성 신청자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젊은 층의 주목을 확 끌기에는 부족한 것이 원인인데 이는 TOP 10에 남성이 정진우 딱 한 명인 것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반면 [[슈퍼스타K7]]에서 TOP 10은 남성이 대다수.) 다만 정진우도 시즌3에 도전했었던 재수생 도전자였고 당시에는 보컬리스트였으나 이번엔 싱어송라이터로 변신하고 참가해서 나름 좋은 평을 듣기도 했다. 유일한 남성 Top 10이 싱어송라이터라는 연장선상에서 보면 이번 시즌은 유난히 자작곡 참가자가 많은 주목을 받았다. 우승자 [[CHAI|이수정]]도 참가 전에 이미 미국에서 자작곡으로 싱글 음원을 낸 적이 있으며 Top 6 [[우예린]]도 초반엔 자작곡을 선보였다. 유일한 남성 Top 10 정진우도 이번 시즌에선 자작곡으로 도전했다. 특히 준우승을 차지한 [[안예은]]은 3라운드 팀 미션, 4라운드 캐스팅 오디션(우예린과 함께 임시로 팀을 이뤄 아이유의 분홍신을 선곡), 결승전 2차 경연의 미션곡(상대방의 곡 바꿔 부르기)을 제외한 전 라운드를 자작곡으로 도전하는 경악 그 자체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게다가 그녀는 3라운드까지 통편집 되었던 참가자여서 더욱 시청자들을 경악시켰다.[* 6라운드 Top 10 스테이지 오디션에서 미스터 미스터리라는 자작곡이 극찬을 받으면서 다크호스로 떠올랐다.] 이 4명 전부 4라운드에서 [[안테나 뮤직]]에 캐스팅되어 [[유희열]]의 트레이닝을 받고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Top 10에 진출했고 여성 발라더 참가자인 Top 4 이시은도 여기서 트레이닝을 받고 Top 10에 진출해 방송 내내 [[안테나 뮤직]]과 [[유희열]]도 주목을 받았다. 아무래도 발라드, 어쿠스틱 성향의 음악, 악기연주, 자작곡에 강점을 지닌 [[안테나 뮤직]]과 [[유희열]]이기에 가능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이 5명이 Top 10 진출팀의 반을 차지했다는 사실로 입증된다. ~~그런데 [[K팝 스타 시즌6 - 더 라스트 찬스|마지막 시즌]]에서는 [[안테나 뮤직]]과 [[유희열]]이 약간 저조했다.~~ [[1박 2일]]이 계속 시청률을 선방하고 있는 모습과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가 여군특집 4기로 돌입하던 시점에서 정작 TOP 10이 결정되던 방송 무대로 가는 관문인 배틀오디션 끝부분 14화의 시청률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참고로 [[런닝맨]]은 그 전주보다 시청률이 소폭 올랐었다.) 이후 시청자 청중단을 초청한 2번의 무대 이후 남은 여성 참가자들이 치르는 세차례의 생방송 무대가 관건이 되었으나 다행히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 여군특집 4기가 부진한 영향으로 [[1박 2일]]에 이어 시청률 2위를 유지하고 끝났다. == 시청률 추이 == || '''회차 (방영일)''' || '''AGB닐슨 전국''' || '''TNMS 전국''' || || 1회 (151122) || 11.5% || 10.1% || || 2회 (151129) || 12.0% || 9.7% || || 3회 (151206) || 12.6% || 9.3% || || 4회 (151213) || 11.4% || 9.3% || || 5회 (151220) || 12.7% || 10.0% || || 6회 (151227) || 12.4% || 9.6% || || 7회 (160103) || 13.3% || 9.6% || || 8회 (160110) || 12.4% || 9.9% || || 9회 (160117) || 12.4% || 10.6% || || 10회 (160124) || 13.1% || 11.2% || || 11회 (160131) || 12.5% || 11.8% || || 12회 (160207) || 11.2% || 9.6% || || 13회 (160214) || 14.4% || 8.1% || || 14회 (160221) || 10.8% || 9.5% || || 15회 (160228) || 11.7% || 10.1% || || 16회 (160306)|| 12.3% || 10.1% || || 17회 (160313)|| 13.1% || 10.9% || || 18회 (160320)|| 12.1% || 9.9% || || 19회 (160327)|| 12.2% || 9.9% || || 20회 (160403)|| 14.4% || 10.8% || || 21회 (160410)|| 12.1% || 10.1% || == 역대 TOP4 == [include(틀:역대 K팝스타 TOP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