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교통]][[분류:윤석열 정부]][[분류:국토교통부]] [include(틀:대한민국의 대중교통비 지원 정책)] {{{#!wiki style="word-break:keep-all;" ||<-2> '''{{{+2 K-패스}}}''' || ||<-2>[[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 '''주관''' || [[국토교통부]] || ||<-2> '''[[https://www.molit.go.kr/USR/NEWS/m_72/dtl.jsp?lcmspage=1&id=95088747|{{{#fff 국토교통부 설명자료}}}]]'''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3년]] [[8월 29일]]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사업으로 [[2024년]] [[5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 특징 == * 기존의 [[알뜰교통카드]] 사업을 개선한 사업으로, 알뜰교통카드에 존재했던 도보/자전거 이동거리 기준 적립 방식 대신 정률 적립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월 60회 사용분까지 일반 20%, 청년(만 19~34세) 30%, 저소득층 53%가 마일리지로 적립된다. * [[기후동행카드]] 등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한 사업과 달리, 전국의 시내교통수단에서 마일리지 적립이 가능하다. * 재원은 정부와 지자체가 50%:50%로 분담한다. 단, 서울특별시는 지자체 분담 비율이 60%다. === 할인요금 환산표 === 기존에 알려진 할인율을 단순 환산해 나온 금액으로 실제 시행시 세부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기준요금 || 일반기준^^80% 적용^^ || 청년기준^^70% 적용^^ || 저소득층기준^^47% 적용^^ || || 1,400원 || 1,120 원 || 980원 || 658원 || || 1,500원 || 1,200 원 || 1,050원 || 705원 || || 1,600원 || 1,280 원 || 1,120원 || 752원 || || 1,700원 || 1,360 원 || 1,190원 || 799원 || || 1,800원 || 1,440 원 || 1,260원 || 846원 || || 1,900원 || 1,520 원 || 1,330원 || 893원 || || 2,000원 || 1,600 원 || 1,400원 || 940원 || || 2,100원 || 1,680 원 || 1,470원 || 987원 || || 2,200원 || 1,760 원 || 1,540원 || 1,034원 || || 2,300원 || 1,840 원 || 1,610원 || 1,081원 || || 2,400원 || 1,920 원 || 1,680원 || 1,128원 || || 2,500원 || 2,000 원 || 1,750원 || 1,175원 || == 사업 대상 지역 == * 인구 10만 명 이상인 기초자치단체와 [[세종특별자치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및 [[서귀포시]]의 주민은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 인구 10만 명 미만인 기초자치단체 중 주민등록 상 아래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은 사용이 불가능하다. *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평창군]], [[정선군]],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고성군]] *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고창군]], [[부안군]],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임실군]], [[순창군]] * [[경상북도]] [[문경시]], [[예천군]], [[의성군]],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 [[청도군]], [[고령군]], [[성주군]], [[봉화군]], [[울진군]], [[울릉군]] * [[전라남도]] [[고흥군]], [[화순군]], [[영암군]], [[영광군]], [[곡성군]], [[구례군]], [[보성군]], [[장흥군]], [[강진군]], [[함평군]], [[완도군]], [[진도군]] == 각 지자체별 확대 사업 == 일부 지자체에서는 K-패스를 기반으로 혜택을 확대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 The 경기패스([[경기도]]) === K-패스를 기반으로 경기도민에게 추가 혜택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추가 혜택은 아래와 같다. * 지원 횟수 상한 없음 * 청년의 기준을 만 39세까지로 확대 * 18세 이하 어린이 및 청소년 연 24만원 한도 지원 (별도 시스템 기반) === 인천 I-패스([[인천광역시]]) === K-패스를 기반으로 인천광역시민에게 추가 혜택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추가 혜택은 아래와 같다. * 지원 횟수 상한 없음 * 청년의 기준을 만 39세까지로 확대 * 만 65세 이상 환급 비율 30%로 확대 * 만 18세 이하 어린이 및 청소년 연 12만원 한도 지원 (별도 시스템 기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