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대중교통비 지원 정책)] ||<-2> '''{{{+2 K-패스}}}'''[br]'''K-Pass''' || ||<-2> [[파일:K-패스 로고.svg|width=66.7%]] || || '''주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한국교통안전공단]] || || '''출시일''' ||[[2024년]] [[5월 1일]] || || '''링크''' ||[[https://korea-pas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apps.apple.com/kr/app/id1538531939|[[파일:App Store 아이콘.svg|width=20]]]]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kr.or.kotsa.watc|[[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molit.go.kr/USR/NEWS/m_72/dtl.jsp?lcmspage=1&id=95088747|국토교통부 설명자료]]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3년]] [[8월 29일]]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사업이다.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한 경우 대중교통 이용액 중 일부를 적립하여 환급해주는 사업이다. [[알뜰교통카드]]의 후신 사업으로 [[2024년]] [[5월 1일]]부로 시행되었다. == 특징 == * 기존의 [[알뜰교통카드]] 사업을 개선한 사업으로 알뜰교통카드에 존재했던 도보/자전거 이동거리 기준 적립 방식 대신 정률 적립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월 60회 사용분까지 일반 20%, 청년(만 19~34세) 30%, 저소득층 53.3%가 마일리지로 적립된다. * 월 60회 초과 이용 시, 적립금액이 높은 순서대로 최대 60회까지 지급된다. * 가입 첫 달은 월 15회 이상 이용하지 않아도 마일리지가 적립된다. * 월 20만원 결제분까지 해당 환급률이 적용되며, 20만원 초과 결제분은 초과분의 50%만 이용금액으로 인정된다. * [[기후동행카드]], [[동백전#동백패스|동백패스]], [[정기권#s-2.2|정기권]] 등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한 사업과 달리, 전국의 시내교통수단에서 마일리지 적립이 가능하다.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신분당선]]도 적립이 가능하나, 시외·고속·공항버스, [[KTX]], [[SRT]] 등 별도의 탑승권을 발권하여 탑승하는 교통수단은 적립이 불가하다. * 재원은 정부와 지자체가 50%:50%로 분담한다. 단, 서울특별시는 지자체 분담 비율이 60%다. * 일부 지자체의 경우에는 K-패스에 지자체 별 추가 혜택을 제공한다. [[#각 지자체별 확대 사업|하단 각 지자체별 확대 사업 문단]] 참조. * 만 19세 이상 성인만을 대상으로 한다. 이로 인해 경기도나 인천광역시처럼 어린이·청소년 대상 교통비 지원사업을 별도로 하는 곳을 제외하면 청소년이 청년보다 더 많은 교통비를 지불하는 웃지못할 일이 벌어진다. * 예산 부족 시 환급금액에서 감액 또는 중단될 수 있다. === 할인요금 환산표 === 기존에 알려진 할인율을 단순 환산해 나온 금액으로 실제 시행시 세부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기준요금 || 일반기준[br](80% 적용) || 청년기준[br](70% 적용) || 저소득층기준[br](46.7% 적용) || || 1,400원 || 1,120원 || 980원 || 658원 || || 1,500원 || 1,200원 || 1,050원 || 705원 || || 1,600원 || 1,280원 || 1,120원 || 752원 || || 1,700원 || 1,360원 || 1,190원 || 799원 || || 1,800원 || 1,440원 || 1,260원 || 846원 || || 1,900원 || 1,520원 || 1,330원 || 893원 || || 2,000원 || 1,600원 || 1,400원 || 940원 || || 2,100원 || 1,680원 || 1,470원 || 987원 || || 2,200원 || 1,760원 || 1,540원 || 1,034원 || || 2,300원 || 1,840원 || 1,610원 || 1,081원 || || 2,400원 || 1,920원 || 1,680원 || 1,128원 || || 2,500원 || 2,000원 || 1,750원 || 1,175원 || == 사업 대상 지역 == * 인구 10만 명 이상인 기초자치단체와 [[세종특별자치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및 [[서귀포시]]의 주민은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 인구 10만 명 미만인 기초자치단체 중 주민등록 상 아래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은 사용이 불가능하다.[* 자체 모델을 통해 지자체 예산이 투입된 교통서비스 지원, 많은 고령층으로 인한 카드발급 등 이용자 부담, 정책이행에 따른 행정부담으로 참여를 하지 않고 있다.] *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평창군]], [[정선군]],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고성군]] *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고창군]], [[부안군]],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임실군]], [[순창군]] * [[경상북도]] [[문경시]], [[예천군]], [[의성군]],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 [[청도군]], [[고령군]], [[성주군]], [[봉화군]], [[울진군]], [[울릉군]] * [[전라남도]] [[고흥군]], [[화순군]], [[영암군]], [[영광군]], [[곡성군]], [[구례군]], [[보성군]], [[장흥군]], [[강진군]], [[함평군]], [[완도군]], [[진도군]] == 이용 방법 == * K-패스 신규 가입 K-패스 카드의 신규 발급은 [[2024년]] [[4월 24일]]부터 각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며, 수령 후 K-패스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카드 등록 및 회원 가입을 하면 된다. 가입 단계에서 K-패스 카드 검증 절차가 있기 때문에, K-패스 카드 발급을 먼저 진행해야 한다. *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 [[2024년]] [[2월]]부터 [[2024년]] [[4월 30일]]까지 [[알뜰교통카드]] 앱과 홈페이지에서 K-패스 전환 사전동의가 진행되었다. K-패스로 전환 신청을 했다면 기존 [[알뜰교통카드]]도 카드 재발급 없이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다. K-패스 사업 시작 후에도 2024년 6월 30일까지 전환이 가능한데, 이 기간에 전환한 경우 전환일부터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앱은 기존 알뜰교통카드 앱 패키지 그대로 K-패스로 변경되었기 때문에 기존 알뜰교통카드 앱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면 K-패스 앱으로 변경된다. == 카드 종류 == 선불형 카드는 [[이동의즐거움]]과 [[DGB유페이]], [[카카오페이]]가 참여하며, 후불형은 신한, KB국민, 하나, 우리BC[* BC망을 사용하는 우리카드들을 전부 단종시키는 반면에 이 카드들은 여전히 BC망을 사용한다. 자사망에 케이패스 사업을 위한 전산이 구축되지 않은 탓으로 보인다. 마찬가지로 BC망을 사용하던 하나카드는 구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사업 시행과 함께 자체망 카드 발급을 개시하였으며, 케이패스 사업을 앞둔 24년 3월 하나비씨 알뜰교통카드를 단종시켰다.], NH농협, 현대, 삼성, 바로BC, 케이뱅크, IBK기업은행(BC), 광주은행이 참여한다. 신한카드[* 신상품인 K-PASS 카드만 해당되며, 티머니 Pay & GO 카드는 로고만 변경.]와 삼성카드[* 신용카드만 해당되며, 체크카드는 명칭만 변경.]는 아예 새 상품을 내놓았고, 나머지는 디자인이나 로고, 상품설명서 (혹은 공지) 내용[* 이런 케이스는 [[현대카드]] 밖에 없다. 애초에 [[현대카드]]는 K-패스 지원을 목적으로 두고 새로운 카드를 출시한 것이 아닌, 수익성의 개선을 위해 카드를 출시하였기 때문이다. 기존 Z-Work도 신청만 하면 사용이 가능하다.]만 바뀌었다. 심지어 케이뱅크는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업 때에도 그랬는데 이번에도 K-패스 전용 상품을 출시하지 않았다.[* 별도 상품을 만들지 않는 대신 자사 일반 체크카드의 교통 기능을 알뜰교통카드 앱에 등록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었다. 이번 K-패스도 마찬가지.] 광주은행도 알뜰교통카드플러스 시절 출시한 K-그린카드v2를 그대로 사용한다. 또한, 신용카드일 경우 적게는 기업은행 BC 2,000원에서 우리카드 마스터 15,000원 등 연회비가 다양하니 혜택과 연회비를 비교하여 가입할 필요가 있다. [[https://minwon.xn--o39an2bqdw74b8te7xy.com/%eb%8d%94%ea%b2%bd%ea%b8%b0%ed%8c%a8%ec%8a%a4-%ed%99%88%ed%8e%98%ec%9d%b4%ec%a7%80-%ec%8b%a0%ec%b2%ad-%eb%b0%a9%eb%b2%95-top10-%ec%b9%b4%eb%93%9c/#_Top_10|연회비 비교]] 전월 실적 없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K-패스 공통 혜택은 모든 카드가 동일하지만 세부 제공 혜택, 전월 실적 기준, 할인·적립 한도 등 K-패스 혜택을 제외한 부분은 카드별로 모두 다르다. [[삼성카드]]와 [[KB국민카드]], IBK기업은행, 케이뱅크[* 대중교통 캐시백 서비스 한정]의 경우에는 K-패스 카드 실적 제외 기준에 후불교통 이용 금액이 포함되니 주의해야 한다. [[기업은행]]은 후불교통 이용 금액을 제외하는 대신 연회비가 4,000원(해외겸용), 2,000원(국내전용)으로 가장 저렴하다. [[티머니]]는 [[알뜰교통카드]] 사업에서 빠진 이후 아무런 소식이 없다가 [[신한카드]]와의 제휴를 통해서 간접적으로만 참여했는데, 이는 [[기후동행카드]]의 존재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선불형 === * [[이즐|이동의즐거움]] - 이즐 K패스교통카드, 이즐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이즐카드(기본형)[* M자 카드가 아닌 노란색 카드 한정, K-패스 카드가 아니더라도 K-패스로 등록할 수 있다.], 모바일카드([[카카오페이]], 모바일이즐[* SIM SE전용.]) * DGB유페이 - [[원패스]] === 후불형 === || '''구분''' || '''신용카드''' || '''체크카드''' || ||<|3> [[신한카드|[[파일:신한카드 베이직 CI (2022).svg|width=70]]]] || '''[[https://www.shinhancard.com/pconts/html/card/apply/credit/1188458_2207.html|알뜰교통 신한카드]]''' || '''[[https://www.shinhancard.com/pconts/html/card/apply/check/1188370_2206.html|알뜰교통 신한카드 S20 체크]]''' || || '''[[https://www.shinhancard.com/pconts/html/card/apply/credit/1225543_2207.html|K-패스 신한카드]]''' ||<|2> '''[[https://www.shinhancard.com/pconts/html/card/apply/check/1225544_2206.html|K-패스 신한카드 체크]]''' || || '''[[https://www.shinhancard.com/pconts/html/card/apply/credit/1216792_2207.html?empSeq=501&btnApp=dp01|티머니 Pay & GO 신한카드]]''' || ||<|2> [[우리카드|[[파일:우리카드 국문 Signature.svg |width=70]]]] ||<|2> '''[[https://pc.wooricard.com/dcpc/yh1/crd/crd01/H1CRD101S02.do?cdPrdCd=838395&canvasser=88805029|우리 K-패스(신용)]]''' || '''[[https://pc.wooricard.com/dcpc/yh1/crd/crd01/H1CRD101S02.do?cdPrdCd=839035&canvasser=88805029|우리 K-패스(COOKIE CHECK)]]''' || || '''[[https://m.wooricard.com/dcmw/yh1/crd/crd01/M1CRD101S02.do?cdPrdCd=838405|우리 K-패스(체크)]]'''[* 일반 상품 중 'SUM타는 우리체크' 파생형 상품이다.] || || [[하나카드|[[파일:하나카드 로고.svg|width=70]]]] || '''[[https://www.hanacard.co.kr/OPI41000000D.web?_frame=no&CD_PD_SEQ=17016|K-패스 하나 신용카드]]''' || '''[[https://www.hanacard.co.kr/OPI41000000D.web?_frame=no&CD_PD_SEQ=17033|K-패스 하나 체크카드]]''' || || [[비씨카드|[[파일:비씨카드 로고.svg|width=70]]]] || '''[[https://www.bccard.com/app/card/CreditCardMain.do?gdsno=103112|K-패스 카드]]''' || 없음 || || [[케이뱅크|[[파일:케이뱅크 로고.svg|width=70]]]] || 없음 || '''[[https://m.kbanknow.com/k/cqtKtFT|MY 체크카드(K-패스)]]''' || || [[삼성카드|[[파일:삼성카드 로고.svg|width=70]]]] || '''[[https://www.samsungcard.com/home/card/cardinfo/PGHPPCCCardCardinfoDetails001?code=AAP1830|K-패스 삼성카드]]''' || '''[[https://www.samsungcard.com/home/card/cardinfo/PGHPPCCCardCardinfoDetails001?code=ABP1800|K-패스 삼성체크카드]]''' || || [[현대카드|[[파일:현대카드 로고(국문 로고 X).svg|width=70]]]] || '''[[https://www.hyundaicard.com/cpc/cr/CPCCR0201_01.hc?cardWcd=ZWE2|Z work Edition2]]''' || 없음 || || [[KB국민카드|[[파일:KB국민카드_Logo.png|width=70]]]] || '''[[https://card.kbcard.com/CRD/DVIEW/HCAMCXPRICAC0076?mainCC=a&cooperationcode=09321|K-패스카드]]''' || '''[[https://card.kbcard.com/CRD/DVIEW/HCAMCXPRICAC0076?mainCC=a&cooperationcode=09322|K-패스체크카드]]''' || || [[NH농협카드|[[파일:농협카드 로고.png|width=70]]]] || '''[[https://card.nonghyup.com/index_cardProd.html?SERVICE_ID=IPCC2021R&NAVIGATE_TYPE=1&cd_wrs_sqno=90010471|K-패스카드(신용)]]''' || '''[[https://card.nonghyup.com/index_cardProd.html?SERVICE_ID=IPCC2021R&NAVIGATE_TYPE=1&cd_wrs_sqno=90010470|K-패스카드(체크)]]''' || || [[광주은행|[[파일:광주은행 로고.svg|width=70]]]] || '''[[https://www.kjbank.com/ib20/mnu/FPMCARD020103?ib20_wc=FPMCARD050102V10:FPMCARD050102V20&INBN_GDS_NO=CDR20230623001|K-그린카드 v2]]''' || 없음 || || [[중소기업은행|[[파일:중소기업은행 로고.svg|width=70]]]] || '''[[https://cardapplication.ibk.co.kr/card/index.jsp?card_prdc_id=103105|K-패스(신용)]]''' || '''[[https://cube.ibk.co.kr/ibs/index.jsp?MRKN_CRET_BRCD=0001&GRPCD=302&APCD=12113090852|K-패스(체크)]]''' || == 각 지자체별 확대 사업 == 일부 지자체에서는 K-패스를 기반으로 혜택을 확대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별도의 가입이나 신청 과정은 필요 없으며, K-패스 회원의 연령과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확대 사업에 부합하는 경우 자동으로 혜택이 적용된다. === 인천 I-패스([[인천광역시]]) === > '''더''' 넓게 '''더''' 두텁게 K-패스를 기반으로 인천광역시민에게 추가 혜택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추가 혜택은 아래와 같다. * 지원 횟수 상한 없음 * 청년의 기준을 만 39세까지로 확대 * 만 65세 이상 환급 비율 30%로 확대 * 만 18세 이하 어린이 및 청소년 연 12만원 한도 지원 (별도 시스템 기반)[* 2025년 하반기부터 시행 예정으로, 아직 지원 규모가 확정되지 않았다.] === The 경기패스([[경기도]]) === [youtube(O03FeaYk7Cg)] > '''다 되고 더 된다'''[* 다분히 [[기후동행카드]]를 의식한 슬로건이다. 기후동행카드 승차가 불가능한 [[광역버스]], [[신분당선]], [[GTX]]를 전면에 내세우는 [[https://www.youtube.com/watch?v=dnfF4YJH5eo|영상 광고]]를 보면 The 경기패스의 홍보 컨셉이 기후동행카드 디스임을 알 수 있다.] > 경기도민을 위한 대중교통비 무제한 환급 카드 2024년 5월 1일 부터 K-패스를 기반으로 경기도민에게 추가 혜택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추가 혜택은 아래와 같다. * 지원 횟수 상한 없음 * 청년의 기준을 만 39세까지로 확대 * 18세 이하 어린이 및 청소년 연 24만원 한도 지원 (별도 시스템 기반)[* 분기당 6만원까지 실제 이용금액을 지역화폐로 환급해준다.] === 광역 간 대중교통 환승할인 지원([[충청남도]]) === 기존 알뜰교통카드 연계 사업. 주소지 검증을 받은 충남 도민이 충남 버스와 타 시군의 버스 간 또는 충남 버스[* [[천안시 시내버스]] 제외. 천안 시내버스는 수도권 전철과 직접 환승할인이 가능하다.]와 수도권 전철 간 환승할 경우 환승한 교통수단의 기본요금을 환급해준다. 거주 기초자치단체 별로 대상 여부가 다르므로 [[https://transport.chungnam.go.kr/intro/transFer.do|홈페이지]] 확인 필수. 모바일티머니 이용시 연동이 되지 않으므로 이즐 계열 선/후불 교통카드 서비스 또는 실물카드로 이용하여야 한다. === (가칭)K-패스 동백([[부산광역시]], 예정) === 부산광역시에서 운영하는 대중교통 통합 할인제도인 [[동백전#s-4.1|동백패스]] 사업을 K-패스에 통합하여 운영하는 사업. 2024년 하반기 시행 예정이다. [[https://busanmbc.co.kr/01_new/new01_view.asp?idx=263646|#]] 동백패스를 적용하였을 때의 환급금과 K-패스를 적용하였을 때의 환급금을 비교하여 둘 중 큰 금액을 환급할 수 있는 제도를 자동 작용하여 환급금을 돌려준다. [[분류:대한민국의 교통]][[분류:윤석열 정부]][[분류:국토교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