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킥복싱]] 단체 [[K-1 Global Holdings Ltd.|K-1]]의 역대 타이틀 목록. 기본적으로 [[토너먼트(스포츠)|토너먼트]] 시스템이 근간이다. 무차별급 토너먼트인 '''K-1 World Grand Prix (WGP)'''와 70kg 미만 체급 토너먼트인 '''K-1 World MAX'''가 가장 권위가 있었고, 초창기에 있었던 K-2, K-3 그랑프리 타이틀과 잠깐 생겼다 사라진 체급별 타이틀의 존재감은 극히 미미했다. 2014년부터 세분화된 체급별 타이틀이 새로이 생겼다. [목차] == 토너먼트 타이틀 == === K-1 World Grand Prix === * 체중 제한이 없는 '''무차별급'''. * 역사적으로 '무체급'을 숭상하는 일본 격투기의 분위기를 반영한 토너먼트이다. 이 때문에 마땅히 뛸 체급이 없었던 중간체급의 강자들([[어네스트 후스트]], [[타이론 스퐁]], [[구칸 사키]], [[모리 아키오|무사시]] 등)이 증량해서 참가하기도 했으나 어네스트 후스트를 제외하고는 우승과는 인연이 없었다. 90년대~2000년대 초반을 풍미한 [[피터 아츠]]와 [[어네스트 후스트]], 화려함을 앞세운 파이팅으로 인기를 끈 [[레미 본야스키]], 종합격투기의 상징 [[미르코 크로캅]], 그리고 2005년부터 K-1을 모조리 정리하다시피 한 [[세미 슐트]] 등이 레전드. || 대회명 || 우승 || 날짜 || 준우승 || 4강 || || K-1 Grand Prix '93 || [[브랑코 시카틱]][* 미르코 크로캅의 스승으로도 유명한 킥복서] || 1993년 4월 || [[어네스트 후스트]] || [[사타케 마사아키]], [[모리스 스미스]] || || K-1 Grand Prix '94 || [[피터 아츠]] || 1994년 4월 || [[사타케 마사아키]] || [[패트릭 스미스]], [[브랑코 시카틱]] || || K-1 Grand Prix '95 || [[피터 아츠]] || 1995년 5월 || [[제롬 르 밴너]] || [[어네스트 후스트]], [[마이크 베르나르도]] || || K-1 Grand Prix '96 || [[앤디 훅]] || 1996년 5월 || [[마이크 베르나르도]] || [[어네스트 후스트]], [[모리 아키오|무사시]] || || K-1 Grand Prix '97 Final || [[어네스트 후스트]] || 1997년 11월 || [[앤디 훅]] || [[프란시스코 필리오]], [[피터 아츠]] || || K-1 Grand Prix '98 Final || [[피터 아츠]] || 1998년 12월 || [[앤디 훅]] || [[마이크 베르나르도]], [[샘 그레코]] || || K-1 Grand Prix '99 Final || [[어네스트 후스트]] || 1999년 12월 || [[미르코 크로캅]] || [[제롬 르 밴너]], [[샘 그레코]] || || K-1 World Grand Prix 2000 Final || [[어네스트 후스트]] || 2000년 12월 || [[레이 세포]] || [[프란시스코 필리오]], [[시릴 아비디]] || || K-1 World Grand Prix 2001 Final || [[마크 헌트]] || 2001년 12월 || [[프란시스코 필리오]] || [[스테판 레코]], 알렉세이 이그나쇼프 || || K-1 World Grand Prix 2002 Final || [[어네스트 후스트]] || 2002년 12월 || [[제롬 르 밴너]] || [[레이 세포]], [[마크 헌트]] || || K-1 World Grand Prix 2003 Final || [[레미 본야스키]] || 2003년 12월 || [[모리 아키오|무사시]] || [[시릴 아비디]], [[피터 아츠]] || || K-1 World Grand Prix 2004 Final || [[레미 본야스키]] || 2004년 12월 || [[모리 아키오|무사시]] || [[프랑소와 보타]], [[카오클라이 카엔노르싱]] || || K-1 World Grand Prix 2005 Final || [[세미 슐트]] || 2005년 11월 || 글라우베 페이토자 || [[레미 본야스키]], [[무사시]] || || K-1 World Grand Prix 2006 Final || [[세미 슐트]] || 2006년 12월 || [[피터 아츠]] || [[어네스트 후스트]], 글라우베 페이토자 || || K-1 World Grand Prix 2007 Final || [[세미 슐트]] || 2007년 12월 || [[피터 아츠]] || [[제롬 르 밴너]], [[레미 본야스키]] || || K-1 World Grand Prix 2008 Final || [[레미 본야스키]] || 2008년 12월 || [[바다 하리]] || [[구칸 사키]], [[에롤 짐머맨]] || || K-1 World Grand Prix 2009 Final || [[세미 슐트]] || 2009년 12월 || [[바다 하리]] || [[레미 본야스키]], [[알리스타 오브레임]] || || K-1 World Grand Prix 2010 Final || [[알리스타 오브레임]] || 2010년 12월 || [[피터 아츠]] || [[구칸 사키]], [[세미 슐트]] || || K-1 World Grand Prix 2012 Final || [[미르코 크로캅]] || 2013년 3월 || 이스마엘 론트 || 파베브 주라흐리오프, 제바드 포투락 || === K-2 Grand Prix === * 체중상한선은 '''79kg'''. || 대회명 || 우승 || 날짜 || 준우승 || || K-2 Grand Prix '93 || [[어네스트 후스트]] || 1993년 12월 || 창푸엑 키앗송릿[* 키앗송릿의 주 활동 시기가 90년대였던만큼 선수 이름의 인지도 자체는 없지만 예전에 엠군에서 유행했던 태권도의 실전성을 비하하는 악의적인 편집 동영상에서 태권더들을 발라버리는 상대 낙무아이로 나오는 선수가 바로 이사람이라고 하면 아! 하고 알아볼 격투기 팬들이 꽤 있을 것이다. 참고로 도복에 한글이 써있어서 한국 태권도 선수로 오해를 받은 태권도 선수는 일본인인 신 우시코시이며[[https://youtu.be/YEHWJbuqLMI|#]], 태권도 킥이 막히는 장면과 KO당하는 장면만 악의적으로 편집되었던 빨간 도복 바지의 태권더로 알려진 서양인은 [[릭 루퍼스]]와 데일 쿡[[https://youtu.be/LnGW3j1W4l0|#]]으로 둘다 킥복서이며 데일 쿡의 경우는 태권도 검은띠로 태권도 킥을 섞어 쓰는 선수이다. 링크된 동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져서 그렇지 처참하게 발린 우시코시전과는 달리 이쪽은 실제론 졸전은 아니었다. 실제로 데일 쿡 자체도 K-1이 생기기 전 이종 경기들에서 많은 킥복서들과 슛복서, 낙무아이들을 상대로 제법 전적이 좋았던 선수이다.] || || K-2 Plus Tournament 1994 || [[어네스트 후스트]] || 1994년 5월 || [[밥 슈리버]] || || K-2 Grand Prix '95 || 롭 카만 || 1995년 1월 || 제롬 투르칸 || === K-3 Grand Prix === * 체중상한선은 '''76kg'''. || 대회명 || 우승 || 날짜 || 준우승 || || K-3 Grand Prix '95 || 이반 히포라이트 || 1995년 7월 || 킨 타이에이[* 한국명 '김태영'으로 알려져 있는 재일교포 선수이다.] || === K-1 World MAX === * 체중상한선은 '''70kg'''. * K-2, K-3 그랑프리가 인기를 얻지 못하고 폐지된 후 경량급을 원하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2002년부터 신설한 토너먼트. 이 [[K-1 MAX]]가 과거 K-2, K-3와 달리 인기를 끌 수 있었던 원인은 [[고바야시 마사토|마사토]]라는 일본인 슈퍼스타가 있었다는 것. 선수층이 중량급에 비해 훨씬 두터워 뛰어난 인재가 쏟아져 나왔고 이것이 K-1이 몰락하여 WGP가 중단된 후에도 World MAX 토너먼트만은 한동안 유지될 수 있었던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고바야시 마사토|마사토]], [[쁘아까오]], [[앤디 사워]], [[조르지오 페트로시안]] 등이 최고 스타. || 대회명 || 우승 || 날짜 || 준우승 || 3위 || || K-1 World MAX 2002 Final || 알버트 크라우스 || 2002년 5월 || 카오란 카오비시트 || [[고바야시 마사토|마사토]], 코히루이마키 타카유키 || || K-1 World MAX 2003 Final || [[고바야시 마사토|마사토]] || 2003년 7월 || 알버트 크라우스 || 사켓다오 캑부톤, [[드웨인 루드윅]] || || K-1 World MAX 2004 Final || [[쁘아까오]] || 2004년 7월 || [[고바야시 마사토|마사토]] || 코히루이마키 타카유키, 알버트 크라우스 || || K-1 World MAX 2005 Final || [[앤디 사워]] || 2005년 7월 || [[쁘아까오]] || 야스히로 카즈야, 알버트 크라우스 || || K-1 World MAX 2006 Final || [[쁘아까오]] || 2006년 6월 || [[앤디 사워]] || 드라고, [[고바야시 마사토|마사토]] || || K-1 World MAX 2007 Final || [[앤디 사워]] || 2007년 10월 || [[고바야시 마사토|마사토]] || 알버트 크라우스, 아투르 키센코 || || K-1 World MAX 2008 Final || [[고바야시 마사토|마사토]] || 2008년 10월 || 아투르 키센코 || 사토 요시히로, [[앤디 사워]] || || K-1 World MAX 2009 Final || [[조르지오 페트로시안]] || 2009년 10월 || [[앤디 사워]] || 야마모토 유야, [[쁘아까오]] || || K-1 World MAX 2010 Final || [[조르지오 페트로시안]] || 2010년 11월 || 사토 요시히로 || [[마이크 잠비디스]], 드라고 || || K-1 World MAX 2012 Final || 무르텔 그로엔하트 || 2012년 12월 || 아투르 키센코 || [[마이크 잠비디스]], [[앤디 사워]] || || K-1 World MAX 2014 Final || 엔리코 켈[* 심판이 연장전 선언을 하자 판정에 불복하여 [[쁘아까오]]가 경기장을 이탈함에 따라 그의 몰수패가 되었다. 물론 쁘아까오와 동등한 경기력을 펼쳤기 때문에 이쪽은 08년 WGP 결승과는 달리 논란이 거의 없는 편] || 2014년 10월 || [[쁘아까오]] || 이성현[* 역대 한국 입식 격투가 중에서 김동수와 더불어 가장 권위있는 성적을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일찌감치 국내에서 망해버린 입식 격투기의 인기 탓에 둘 다 인지도가 없다.], [[셰인 캠벨]] || === K-1 World GP in Japan === * 2014년 일본으로 돌아온 K-1이 새로운 체급별 챔피언들을 배출하기 위해 개최한 토너먼트. 당초에는 'K-1 World League in Japan'이라는 브랜드로 출발하려 하였으나 인지도를 고려하였는지 'K-1 World GP in Japan'으로 바꾸었다. 70kg 이하의 경량급을 세분화하여 토너먼트를 진행하고 있다. || 대회명 || 우승 || 날짜 || 준우승 || || K-1 World GP 2014 -65kg Championship Tournament || 케우 페어텍스 || 2014년 11월 || 소다 야스오미 || || K-1 World GP 2015 -60kg Championship Tournament || 우라베 고야 || 2015년 1월 || 우라베 히로타카 || || K-1 World GP 2015 -55kg Championship Tournament || [[세가와 타케루]] || 2015년 4월 || 타이가 || || K-1 World GP 2015 -70kg Championship Tournament || 마랏 그리고리안[* 마랏 그리고리안과 하룻 그리고리안은 종종 형제로 오해받지만 서로 둘 사이는 좋은 친구지만 혈연 관계는 아니라고 직접 말하였다.] || 2015년 7월 || 조단 피케 || || K-1 World GP 2016 -65kg World Tournament || 케우 페어텍스 || 2016년 6월 || 일리아스 불라이드 || || K-1 World GP 2016 Super Featherweight World Tournament || 우라베 고야 || 2016년 9월 || 타이가 || === K-1 World GP Euro === * 2016년부터 개최되는 유럽에서의 토너먼트. 70kg 이하 경량급이 중심이 된 K-1 World GP in Japan과는 달리 중량급 위주이다. 2016년 9월 현재 밝혀진 바로는 +95kg, -95kg, -85kg, -75kg 등으로 나뉘어 진행될 예정이라고 한다. || 대회명 || 우승 || 날짜 || 준우승 || || K-1 World GP 2016 -95kg Championship Tournament || || 2016년 10월 || || === K-1 Hero's Tournament === 위에 서술된 타이틀과 달리 종합격투기 mma룰로 진행된 토너먼트. || 연도 || 우승 || 준우승 || || 2005 || [[야마모토 노리후미]] || [[스도 겐키]] || || 2006 || [[추성훈]] || [[멜빈 만호프]] || || 2006 || [[JZ 칼반]] || [[우노 카오루]] || || 2007 || [[JZ 칼반]] || 안드레 디다|| == 체급별 타이틀 == 언젠가부터 체급 명칭과 체급 별 체중 상한선이 오락가락 하고 있다. === 슈퍼헤비급 === * '''100kg 이상'''. 체중상한선은 없었다. || || 챔피언 || 대회명 || 날짜 || 상대 || ||<|5> 초대 ||<|5> [[세미 슐트]] || K-1 World Grand Prix 2007 in 요코하마 || 2007년 3월 || [[레이 세포]] || || K-1 World Grand Prix 2007 in 암스테르담 || 2007년 6월 || [[마이티 모]] || || K-1 World Grand Prix 2008 in 요코하마 || 2008년 4월 || [[마크 헌트]] || || K-1 World Grand Prix 2008 in 후쿠오카 || 2008년 6월 || [[제롬 르 밴너]] || || K-1 World Grand Prix 2010 in 요코하마 || 2010년 4월 || [[에롤 짐머맨]] || * 초대 챔피언 [[세미 슐트]]는 [[Glory(킥복싱)|Glory]]로 이적하며 타이틀 반납. === 헤비급 === * 체중상한선은 '''100kg'''. || || 챔피언 || 대회명 || 날짜 || 상대 || ||<|2> 초대 ||<|2> [[바다 하리]] || K-1 World Grand Prix 2007 in 하와이 || 2007년 4월 || 후지모토 유스케 || || K-1 World Grand Prix 2008 in 후쿠오카 || 2008년 6월 || 글라우베 페이토자 || ||<|2> 2대 ||<|2> [[후지모토 교타로]] || K-1 World Grand Prix 2009 in 요코하마 || 2009년 3월 || [[구칸 사키]] || || K-1 World Grand Prix 2010 in 요코하마 || 2010년 4월 || [[피터 아츠]] || * 초대 챔피언 바다 하리는 K-1 월드그랑프리 2008 결승전에서 레미 본야스키에게 저지른 비신사적 반칙(스톰핑)으로 인해 타이틀 박탈. * 2대 챔피언 후지모토 교타로는 [[복싱]]으로 전향하며 타이틀 반납. === 슈퍼웰터급 === * 체중상한선은 '''75kg'''. || || 챔피언 || 대회명 || 날짜 || 상대 || || 초대 || 마랏 그레고리안 || K-1 World GP 2015 -70kg Championship Tournament || 2015년 7월 || 조단 피케 || || 2대 || 칭키즈 알라조프 || K-1 World GP 2017 -70kg Championship Tournament || 2017년 6월 || 키도 야스히로 || * 초대 챔피언 마랏 그리고리안은 -70kg 토너먼트 우승으로 슈퍼웰터급 타이틀도 동시에 획득했다. * 마랏 그레고리안의 타이틀 상실 사유 정확히 아시는 분 기재 요망. === 슈퍼라이트급 === * 체중상한선은 '''70kg'''. || || 챔피언 || 대회명 || 날짜 || 상대 || ||<|3> 초대 ||<|3> 케우 페어텍스[* 페어텍스는 선수의 본명이 아니고 케우 선수가 소속된 체육관 '위라사크렉 페어텍스 무에타이 짐' 이라는 체육관의 이름에서 딴 링네임이다. [[미르코 크로캅]]이 타이거짐 시절에 미르코 타이거라는 링네임을 사용했던 것과 같은 맥락.] || K-1 World GP 2014 -65kg Championship Tournament || 2014년 11월 || 소다 야스오미 || || K-1 World GP 2015 The Championship || 2015년 11월 || 미노루 기무라 || || K-1 World GP 2017 Super Bantamweight Championship Tournament || 2017년 4월 || 야마자키 히데키 || || 2대 || 노리이 마사아키 || K-1 World GP 2017 -70kg Championship Tournament || 2017년 6월 || 케우 페어텍스 || * 초대 챔피언 케우 페어텍스는 -65kg 토너먼트 우승으로 슈퍼라이트급 타이틀도 동시에 획득했다. === 페더급 === * 체중상한선은 '''65kg'''. || || 챔피언 || 대회명 || 날짜 || 상대 || ||<|3> 초대 ||<|3> 웨이 루이 || K-1 World GP 2017 -62.5kg Championship Tournament || 2014년 11월 || 히라모토 렌 || || K-1 World GP 2017 -70kg Championship Tournament || 2017년 6월 || 곤나파 위라삭렉 || === 슈퍼페더급 === * 체중상한선은 '''60kg'''. || || 챔피언 || 대회명 || 날짜 || 상대 || || 초대 || 우라베 고야 || K-1 World GP 2015 -60kg Championship Tournament || 2015년 1월 || 우라베 히로타카 || || 2대 || 우라베 히로타카 || K-1 World GP 2015 The Championship || 2015년 11월 || 우라베 고야 || * 초대 챔피언 우라베 고야는 -60kg 토너먼트 우승으로 슈퍼페더급 타이틀도 동시에 획득했다. === 슈퍼밴텀급 === * 체중상한선은 '''55kg'''. || || 챔피언 || 대회명 || 날짜 || 상대 || ||<|2> 초대 ||<|2> [[세가와 타케루]] || K-1 World GP 2015 -55kg Championship Tournament || 2015년 4월 || 타이가 || || K-1 World GP 2015 The Championship || 2015년 11월 || 찰스 본지오반니 || * 초대 챔피언 [[세가와 타케루]]는 -55kg 토너먼트 우승으로 슈퍼밴텀급 타이틀도 동시에 획득했다. 이후 페더급(-57.5kg)으로 체급을 올리면서 타이틀 반납. [[분류:K-1 챔피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