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야구 리그)] ---- ||<-2> '''{{{+1 {{{#fff KBO}}}}}} {{{+1 {{{#ff0000 챌린저스}}}}}} {{{+1 {{{#fff 직장인 야구대회™}}}}}}'''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sccdn.chosun.com/2016082501002704100205881.jpg|width=100%]]}}} || || '''정식 명칭''' ||KBO 챌린저스 직장인 야구대회™ || || '''창설''' ||[[2014년]] || || '''주관 단체''' ||[[한국야구위원회]] || || '''참가 자격''' ||참가를 희망하는 구단 중 선발 || || '''우승 상금''' ||2,000만 원 || || '''최근 우승 구단''' ||경북 쏠라이트^^(2022)^^ || || '''최다 우승 구단''' ||경북 쏠라이트^^(3회)^^ || || '''웹 사이트''' ||[[http://www.gameone.kr/league?lig_idx=10180|공식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4년부터 시작한 직장인 야구 대회. [[한국야구위원회|KBO]]가 주최하는 야구 대회로 사회인 야구 저변 확대를 위해 개최한다. 2015년까지 KBO기 전국 직장인 야구대회라는 명칭으로 운영했으나 2016년부터 KBO 챌린저스 직장인 야구대회로 변경했다. == 상세 == 지금은 사회인 야구 대회이나 KBO에서 장기적으로 [[전국체육대회|전국체전]]의 [[실업야구|실업부]]로 편입하고 [[KBO 퓨처스리그]]의 하위 리그로 만들 계획을 가지고 있다.[* 대회 목적 중 하나가 선수 출신 야구인의 사회 진출을 돕기 위함이기도 하다. 출처는 공식 홈페이지에 기재한 [[http://www.gameone.kr/league/intro/desc?lig_idx=10180&method=intro|공식 약관.]] 2) 대회목적 ⓐ 생활체육야구의 건전한 스포츠문화의 정착 및 계승발전 ⓑ 직장간 경쟁을 통하여 기업의 선수출신 직원 채용 유도 ⓒ '''전국 시도간 경쟁을 통하여 향후 전국체전 실업부로 편입'''.] 그러나 실업부라는 건 기존 전국체전에 존재하지 않는다. 고등부, 대학부와 일반부가 존재. 단, 야구 일반부는 거의 대학생밖에 출전하지 않고 별도 대학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KBO 챌린저스가 일반부가 되고, 현 일반부가 대학부가 될 수도 있다. 실업 야구의 사실상 와해[* 정확히는 이전부터도 와해로 평가 받아왔지만 2022년에 KBSA(한국야구소프트볼협회)로부터 공지된 선수 및 지도자 등록 공지에서의 일반부 제외가 결국 실업야구의 부활 실패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와해"로 표현했다. 2023년에 실업독립야구 발족이 예정되었었으나 이마저도 결과적으로 상황이 그대로인 게 되었고.]로 인해 이 쪽이 나름대로 실업 야구를 대신하기도 한다. 그러나 장기적 목표상 이건 의미가 없다. KBO에서 주최하는 만큼 상금이나 지원도 빵빵한데 2016년 대회 기준 우승 상금 2,000만원에 승리수당이 지급되며 식사도 제공한다. 대회가 연마다 무사히 치러진 경우가 많았으나, 2021년의 경우는 당해에 치르려던 것이 코로나 여파로 진행되지 않고 1년이 밀리는 바람에 2021년도 대회를 2022년 5월에 열리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렇게 되면서 명칭도 2022년도가 붙은 대회가 되었다. == 특징 == * 일반적인 사회인 야구와는 달리 프로출신을 우선하는 대회로 선수출신이 많은 팀 위주로 참가팀을 추첨한다. * 지역 지자체별로 1개팀이 참가가 가능하며, 선수 엔트리는 20명이다. 또한 단일법인, 단일사업자, 단일기관에 소속된 직장인야구팀이어야 한다. * 참가팀이 대표하는 지역은 다음과 같다. *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강원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경상북도,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특별자치도. === 2022년도 대회의 경우 === 아래 표는 당시 게임원 홈페이지에서의 조별 팀랭킹 기준이다. 그런데... || 조별 구분 || 지역 구분 || 대표팀(상세지역 표기될 경우 괄호에 추가. -구 제외.) || ||<|3> A조 || 경북 || 쏠라이트(경주) || || 대전 || 환경자치조합 || || 인천 || 해양경찰청 || ||<|3> B조 || 전북 || 세아베스틸/스틸러스(군산) || || 경남 || 덴소코리아(창원) || || 경기 || 경찰청(수원) || 해당 사이트에서는 위 표에 있는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 팀[* 서울, 강원, 충청(남/북), 부산, 대구, 울산, 경남, 광주, 전남, 제주]이 조별 팀 랭킹에 표시되고 있지 않고 있는데, 해당 지역 팀들은 대회 참가 신청을 넣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역대 우승 구단 == || '''연도''' || '''구단명''' || '''대표 지역''' || '''비고''' || || 2014 || 세아베스틸 || 전북 || || || 2015 || 대전도시공사 || 대전 || [* 결승장소가 [[고척 스카이돔]]이었다.[[http://isplus.liv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8862623&cloc=rss%7Cisplus%7Ctotal_list|#KBO기 전국 직장인 야구대회, 고척 스카이돔에서 최강자 가린다]].] || || 2016 || 세종공업 || 울산 || || || 2017 || 쏠라이트 || 경북 || || || 2018 ||<|2> 메티스 ||<|2> 충남 || || || 2019 || [* 2017 우승팀인 경북 쏠라이트는 준우승으로 만족해야했다] || || 2020 ||<|2> 쏠라이트 ||<|2> 경북 || [* 결승장소로 고척돔을 예정했으나 예정이 바뀌어 횡성 베이스볼 파크에서 준결승과 결승이 진행됐다.] || || 2022 || [* 코로나 여파로 2021년도 대회를 진행하는 대신, 2022년도 대회를 당해 5월 21일에 개막한다.] || [[분류:한국야구위원회]][[분류:대한민국의 야구 대회]][[분류:2014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