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소개 == [[2015년]] [[10월 15일]]부터 [[MCN]]업체인 [[트레져헌터]]와 함께 게임캐스터 [[김철민(게임 캐스터)|김철민]]이 주최, 주관, 후원, 연출을 하고 있는 [[스타크래프트]] 대회이다. 매 주 초청전 형식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김철민 캐스터의 기본 상금에 방송 중 터지는 별풍선 후원을 합산해서 상금을 분배한다. 매주 수요일 오후 10시부터, 2016년 3월 10일부터 2016년까지는 매주 목요일 오후 10시부터 [[http://www.afreeca.com/cjfals28]]을 통해 방송했으며, 유튜브와 다음팟, 트위치TV로도 동시 중계했다. 다시보기는 [[https://www.youtube.com/channel/UC2ja61Zku_rw3ZBfDZi8cuQ|유튜브 KCM TV]]에서 볼 수 있다. 2016년 4월 7일 경기부터는 오후 8시 30분으로 방송 시간이 앞당겨진다. 1회차부터 9회차까지는 각 선수들이 1세트와 2세트에 쓰일 맵을 각각 고르고[* 맵은 자유 선택이다 그래서 노스텔지어나 라그나로크 같은 추억의 맵은 물론이거니와 심지어 '''빠른 무한'''이 등장하기도 했다.] 3세트 맵은 2세트에서 패배했던 선수가 [[블루스톰]], [[써킷 브레이커(스타크래프트)|써킷 브레이커]], [[타우 크로스]], [[투혼(스타크래프트)|투혼]] 중 하나의 맵을 고르는 형태였다. 10회차 이후부터는 종족최강전, 백세인생 매치, 응답하라 2005, 끝장매치 등 스토리가 있는 매치를 구성하여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매주 총상금 100만 원씩이 걸리는 종족최강전을 주된 콘텐츠로 하여 진행되었다. 중계는 김철민 캐스터와 [[한승엽(게임 해설가)|한승엽]]해설이 맡았다. 2016년 2월 17일 경기부터는 한승엽 해설이 스케줄 문제로 하차하고 [[김태형(1973)|김태형]] 해설이 투입되었다. 2016년 3월 10일 경기부터는 김태형 해설도 스케줄 문제로 하차하고 [[전태규]], 박성진이 해설로 투입된다. 참고로 현장에서 직관이 가능했다. 물론 선수가 현장에 오는 것은 아니고, 중계진의 생생한 음성을 듣고 싶다면 직관을 와도 됐다. 장소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103길 54 BK-Tower 지하 1층 Treasure Hunter Studio였지만 이후 아프리카의 후원을 받게 되면서 [[프릭 업 스튜디오]]에서 진행한다. == 회차별 경기 결과 == [include(틀:스포일러)] [include(틀:KCM 종족최강전 시리즈 경기목록)] === 1회~9회 === ||<-6><:>'''1회차'''(10월 15일 22시)|| || ||<:>'''{{{#ff0000 선수}}}'''||||<:>'''결과'''||<:>'''{{{#0000ff 선수}}}'''||<:>'''{{{#128d12 맵}}}'''|| ||<:>1경기||[[구성훈]]||<:>2||<:>1||<:>[[윤용태]]||<:>루나 더 파이널, {{{#ff0000 트라이애슬론}}}, 타우 크로스|| ||<:>2경기||[[김정우(프로게이머)|김정우]]||<:>0||<:>2||[[박성균]]||<:>네오 아즈텍, 투혼|| ----- ||<-6><:>'''2회차'''(10월 22일 22시)|| || ||<:>'''{{{#ff0000 선수}}}'''||||<:>'''결과'''||<:>'''{{{#0000ff 선수}}}'''||<:>'''{{{#128d12 맵}}}'''|| ||<:>1경기||[[변형태]]||<:>2||<:>1||<:>[[김재훈(프로게이머)|김재훈]]||<:>로스트 템플, {{{#ff0000 써킷 브레이커}}}, 투혼|| ||<:>2경기||[[이윤열]]||<:>1||<:>2||[[박성준]]||<:>파이썬, {{{#ff0000 남자 이야기}}}, 타우 크로스|| ----- ||<-6><:>'''3회차'''(10월 29일 22시)|| || ||<:>'''{{{#ff0000 선수}}}'''||||<:>'''결과'''||<:>'''{{{#0000ff 선수}}}'''||<:>'''{{{#128d12 맵}}}'''|| ||<:>1경기||[[염보성]]||<:>1||<:>2||<:>[[김승현(프로게이머)|김승현]]||<:>{{{#ff0000 투혼}}}, 네오 레퀴엠, 투혼|| ||<:>2경기||[[한상봉]]||<:>0||<:>2||[[도재욱]]||<:>배틀 로얄, 중원|| ----- ||<-6><:>'''4회차'''(11월 5일 22시)|| || ||<:>'''{{{#ff0000 선수}}}'''||||<:>'''결과'''||<:>'''{{{#0000ff 선수}}}'''||<:>'''{{{#128d12 맵}}}'''|| ||<:>1경기||변형태||<:>0||<:>2||<:>김승현||<:>로스트 템플, 롱기누스 2|| ||<:>2경기||박성균||<:>1||<:>2||윤용태||<:>투혼, {{{#ff0000 네오 메두사}}}, 써킷 브레이커|| ||<:>3경기||박성준||<:>0||<:>2||도재욱||<:>네오 레퀴엠, 중원|| 위너스 데이라는 컨셉으로 3회차 까지의 승자를 모아서 경기를 펼쳤다.[* 구성훈은 당일 [[대국민 스타리그]]와 일정이 겹쳐 경기를 펼쳤던 윤용태가 대신 출전하였다.] ----- ||<-6><:>'''5회차'''(11월 19일 22시)[* 11월 12일 방송은 지스타 관계로 휴방함.]|| || ||<:>'''{{{#ff0000 선수}}}'''||||<:>'''결과'''||<:>'''{{{#0000ff 선수}}}'''||<:>'''{{{#128d12 맵}}}'''|| ||<:>1경기||[[최호선]]||<:>0||<:>2||<:>[[조일장]]||<:>네오 제이드, 네오 일렉트릭 써킷|| ||<:>2경기||[[김명운]]||<:>2||<:>1||[[진영화]]||<:>네오 아즈텍, {{{#ff0000 매치 포인트}}}, 써킷 브레이커|| ----- ||<-6><:>'''6회차'''(11월 26일 22시)|| || ||<:>'''{{{#ff0000 선수}}}'''||||<:>'''결과'''||<:>'''{{{#0000ff 선수}}}'''||<:>'''{{{#128d12 맵}}}'''|| ||<:>1경기||[[박재혁(1987)|박재혁]]||<:>1||<:>2||<:>[[임진묵]]||<:>{{{#ff0000 써킷 브레이커}}}, 헌터, 투혼|| ||<:>2경기||염보성||<:>2||<:>1||김재훈||<:>네오로스트템플, {{{#ff0000 매치 포인트}}}, 투혼|| ----- ||<-6><:>'''7회차'''(12월 3일 23시)|| || ||<:>'''{{{#ff0000 선수}}}'''||||<:>'''결과'''||<:>'''{{{#0000ff 선수}}}'''||<:>'''{{{#128d12 맵}}}'''|| ||<:>1경기||[[윤찬희(1992)|윤찬희]]||<:>1||<:>2||<:>[[임홍규]]||<:>{{{#ff0000 써킷 브레이커}}}, 얼터너티브, 투혼|| ||<:>2경기||박성준||<:>2||<:>0||[[전태규]]||<:>노스탤지아, 스노우 바운드|| ----- ||<-6><:>'''8회차'''(12월 10일 23시)|| || ||<:>'''{{{#ff0000 선수}}}'''||||<:>'''결과'''||<:>'''{{{#0000ff 선수}}}'''||<:>'''{{{#128d12 맵}}}'''|| ||<:>1경기||[[박수범(프로게이머)|박수범]]||<:>0||<:>2||<:>임진묵||<:>써킷 브레이커, 빠른무한|| ||<:>2경기||구성훈||<:>1||<:>2||조일장||<:>노스탤지아, {{{#ff0000 네오 일렉트릭 써킷}}}, 투혼|| ----- ||<-6><:>'''9회차'''(12월 17일 23시)|| || ||<:>'''{{{#ff0000 선수}}}'''||||<:>'''결과'''||<:>'''{{{#0000ff 선수}}}'''||<:>'''{{{#128d12 맵}}}'''|| ||<:>1경기||[[민찬기]]||<:>0||<:>2||<:>[[박세정]]||<:>써킷 브레이커, 러시 아워 3|| ||<:>2경기||[[김성현(프로게이머)|김성현]]||<:>0||<:>2||김명운||<:>라그나로크, 네오 일렉트릭 써킷|| === [[KCM 종족최강전|종족 최강전]](10회~) === [[KCM 종족최강전|항목]] 참고. === [[종족 최강전]] 사이 이벤트전 === ※ 종족 최강전 사이에 벌어진 이벤트전이지만, 종족 최강전만 다루기 위해 아래 내용은 이동했음을 알립니다. 실제 경기 관련은 [[종족 최강전]] 참고. [include(틀:스포일러)] ==== ACE 결정전 ==== ||<-6><:>'''11회차 종족최강전 ACE 결정전'''(2016년 1월 6일 22시)|| || ||<:>'''{{{#ff0000 선수}}}'''||||<:>'''결과'''||<:>'''{{{#0000ff 선수}}}'''||<:>'''{{{#128d12 맵}}}'''|| ||<:>1경기||이재호||<:>1||<:>2||<:>김정우||<:>파이썬, {{{#ff0000 써킷 브레이커}}}, 루나 더 파이널|| ||<:>2경기||김정우||<:>2||<:>0||[[정윤종]]||<:>써킷 브레이커, 투혼|| ||<:>3경기||정윤종||<:>2||<:>0||이재호||<:>써킷 브레이커, 파이썬|| 최초로 3자 3판 2선승 풀리그 형태가 도입되었다. 2:0으로 승리 시 2점, 2:1로 승리 시 1점을 얻으며 1:2 패배 시에는 0점, 0:2 패배 시에는 -1점을 획득한다. ==== 백세인생 매치 ==== ||<-5><:>'''12회차 백세인생 매치'''(2016년 1월 13일 22시)|| ||<:>'''{{{#ff0000 선수}}}'''||<:>'''결과'''||<:>'''{{{#128d12 맵}}}'''||<:>'''결과'''||<:>'''{{{#0000ff 선수}}}'''|| || [[이성은]] || {{{#ff0000 승}}} ||<:>1경기[br]라이드 오브 발키리즈 || {{{#0000ff 패}}} || [[주진철]] || || 한승엽 || {{{#0000ff 패}}} ||<:>2경기[br]투혼 || {{{#ff0000 승}}} || 전태규 || || 한승엽 || {{{#ff0000 승}}} ||<:>3경기[br]비프로스트 3 || {{{#0000ff 패}}} || 주진철 || || 이성은 || {{{#ff0000 승}}} ||<:>4경기[br]알 포인트 || {{{#0000ff 패}}} || 전태규 || || 이성은 - 한승엽 || {{{#0000ff 패}}} ||<:>5경기[br]빠른무한 || {{{#ff0000 승}}} || 주진철 - 전태규 || 한승엽과 이성은의 테란 팀 대 전태규와 주진철의 [[KOR]] 노장 팀의 대결로 펼쳐졌다. 한승엽 해설이 경기를 해야 했기 때문에 [[고인규]] 해설이 일일 해설로 참가했다. 매치의 이름이 백세인생 매치인 이유는 출전선수의 나이 합을 모두 합치면 128세가 되기 때문. --중계진까지 합치면 205세-- 최초로 팀플레이 경기가 진행되었고 최고의 팀플조합이었던 주진철-전태규 조합이 --팀플 전적 0승 7패를 기록한-- 한승엽과 이성은 조합을 무찔렀다. ==== 응답하라 2005 ==== ||<-6><:>'''13회차 응답하라 2005'''(2016년 1월 20일 22시)|| || ||<:>'''{{{#ff0000 선수}}}'''||||<:>'''결과'''||<:>'''{{{#0000ff 선수}}}'''||<:>'''{{{#128d12 맵}}}'''|| ||<:>1경기||변형태||<:>2||<:>0||<:>박성준||<:>신 백두대간, 러시 아워 3|| ||<:>2경기||박성준||<:>2||<:>0||[[김성제(프로게이머)|김성제]]||<:>815 III, 알 포인트|| ||<:>3경기||김성제||<:>0||<:>2||변형태||<:>라이드 오브 발키리즈, 네오 포르테|| ==== 끝장매치 ==== ||<-6><:>'''15회차 끝장매치'''(2016년 2월 3일 22시)|| || ||<:>'''{{{#ff0000 선수}}}'''||||<:>'''결과'''||<:>'''{{{#0000ff 선수}}}'''||<:>'''{{{#128d12 맵}}}'''|| ||<:>1경기||박재혁||<:>2||<:>0||<:>[[김태균(프로게이머)|김태균]]||<:>신 단장의 능선, 아웃사이더 SE, --안드로메다--|| ||<:>2경기||김태균||<:>0||<:>2||임진묵||<:>신 단장의 능선, 아웃사이더 SE, --안드로메다--|| ||<:>3경기||임진묵||<:>2||<:>0||박재혁||<:>신 단장의 능선, 아웃사이더 SE, --안드로메다--|| [[잉여라인]]으로 불렸던 웅테, 티저, 화토의 대표로 각각 임진묵, 박재혁, 김태균이 나와서 경기를 펼친다. 그리고 최초로 모든 경기의 맵 순서가 동일하다. 결론적으로 보면, 이 중에서는 그나마 웅진테란(임진묵)이 제일 낫고, 그 다음이 티저(박재혁), 그리고 노답이 화토(김태균)인 게 밝혀진 거다. ==== 태국 어린이들을 위한 자원봉사 경기 ==== > '''"태국에서 싹트는 E-SPORTS"''' — 태국 아이들을 위해 스타크래프트 자원봉사 지원사격. ||<-6><:>'''67회차 자원봉사 및 교육용 경기'''(2018년 3월 28일 오후 7시)|| || ||<:>'''{{{#ff0000 선수}}}'''||<:>'''결과'''||<:>'''{{{#128d12 맵}}}'''||<:>'''결과'''||<:>'''{{{#0000ff 선수}}}'''|| ||<:><|4>본 경기||<:> Feem(열혈복서) {5학년팀} ||<:><|4>{{{#0000ff 패}}}||<:><|4>퐁프라밧 ||<:><|4>{{{#ff0000 승}}} ||<:> Yodchai(캐리어맨){6학년팀}|| ||<:> Nat(전생제라툴){5학년팀} ||||<:> Ryu(무협고수){6학년팀} || ||<:> Mugen(영화광){5학년팀} ||||<:> Siah(꽃밭토스){6학년팀} || ||<:> Jin(쿨가이){5학년팀} ||||<:> P(아콘사랑){6학년팀} || [[분류:KCM 종족최강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