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한국 함선)] ||[[파일:1000011727.jpg|width=100%]]|| || 부산 [[MADEX]] 2023에서 공개된 한화오션의 KDDX-S || [목차] [clearfix] == 개요 == '''KDDX-S(Smart)'''는 [[한화오션]]이 DDH-II [[충무공이순신급]]의 후속 전력으로서 제안한 KDDX 설계 기반의 배수량 7,000톤급 [[구축함]]의 모델명이다. == 제원 및 특징 == ||<-2> '''KDDX-S''' || || '''함종''' ||구축함|| || '''길이''' ||약 145m || || '''폭''' ||약 17.6m || || '''[[배수량]]''' ||약 7,000톤 || || '''레이더''' ||S/X밴드 [[위상배열 레이더]]|| || '''무장''' ||127mm 함포[* KMk.45를 개량한 모델로서, 한화가 현대위아와 협력하여 만들 스텔스 함포로 보인다.][br]함대함유도탄 x8[* [[차기 초음속 대함미사일]]이나 [[해성]].][br][[KVLS|KVLS-I]] 48셀/[[KVLS|KVLS 단축형]][* KVLS-II로 알려졌으나 사실 인터뷰 결과 KVLS 단축형이라고 한다.] 4셀 || == 모델 기반 사항 == 한국형 구축함 사업으로 인해 건조된 DDH-II [[충무공이순신급]]은 그 동안 한국 해군의 중추로써 원양 작전 및 초계, 청해부대 해외파병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해 왔으나, 2000년대 초반에 건조되어 이미 함령 20년을 바라보고 있으며 건조 당시에도 여의치 않은 예산 사정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성능의 레이더 및 대잠전 장비 등을 탑재하여 날이 갈수록 거대화, 고도화되는 주변국 함정 전력에 대응하긴 역부족이란 지적을 받아왔다. 특히 2020년대도 중반을 바라보면서 이 문제는 점차 심화되었고, 함정 자체도 점차 노후화되어 후속 전력을 준비할 시기가 점차 도래했다. 이에 [[충무공이순신급]]을 대체할 신규 전력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이미 2010년대 후반 경 해군 발표 등에서 중구축함이란 이름으로 장기 신규전력의 필요성이 제시된 바 있으며, 현재 2030년대를 목표로 후속함 사업이 연구 중에 있다. KDDX-S는 이 사업을 노리고 한화에서 제안한 모델이다. 2022년 11월 21일 [[유용원]] 기자에 의하면 2030년대 중반을 목표로 충무공이순신급을 대체할 차기 구축함이 계획되어 있었다.[[https://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67&branch=&pn=1&num=1800|#]] 유무인 복합운용 체계, 통합 함교형 마스트 등 기능에 중점을 둔 초안이 존재하며 경하배수량은 충무공이순신급보다 증가한 5,000톤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파일:P8brwBX8_o.jpg|width=300]] 2023년 6월 7일 공개된 한화오션 부스에서 충무공이순신급을 대체할 소요로 KDDX-S를 제안했다. 한화오션의 제안안이지만 해군 측의 요구조건과 제안을 반영한 형태이라고하며, 탑재 장비 및 함형 등에서는 기존 KDDX에서 발전된 형태를 하고 있다. [[파일:1000011726.jpg|width=600]] [[파일:1000011728.jpg|width=600]] 길이 145m, 폭 17.6m, 배수량 7,000톤으로 충무공이순신급보다 배수량이 증가하였고, 무인화에 집중한 개념도를 제시하였다. KDDX의 전력화 이후 후속으로 건조될 함정으로 2030년대 중반 경 구체화될 예정이며, 탑재 장비 및 성능 등은 아직 초기 형태이므로 지켜볼 필요가 있다. == 기타 == [youtube(c-sX9fjD3F4)] [[마덱스]] 2023에서 [[유용원]] 기자가 [[한화오션]] 관계자와 취재한 결과에 따르면 건조 가능성 검토 수행은 2019년부터 하였으며, 개념설계는 2024년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한다.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 해군/전력]]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 [[세종대왕급 구축함]] * [[정조대왕급 구축함]] * [[KDDX]] [[분류:구축함]][[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대한민국 국군/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