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KIA 타이거즈/2022년/7월)]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롯데 자이언츠/2022년/7월)] [목차] || [kakaotv(430672141)] || || 경기 하이라이트 영상 || == 개요 == [[2022년]] [[7월 24일]] 17시, [[사직 야구장]]에서 [[KIA 타이거즈]]와 [[롯데 자이언츠]]간에 치러진 경기로, '''KBO 리그 역대 최다 점수차 경기'''이다. == 스코어보드 == ||<-15><:><#ea0029> '''{{{#ffffff 7월 24일, 17:00 ~ 20:03 (3시간 3분),}}} [[사직 야구장|{{{#ffffff 사직 야구장}}}]] {{{#ffffff 10,881명}}}''' || ||<#dcdcdc,#222222> '''팀''' ||<#dcdcdc,#222222> '''선발''' ||<#dcdcdc,#222222> '''1회''' ||<#dcdcdc,#222222> '''2회''' ||<#dcdcdc,#222222> '''3회''' ||<#dcdcdc,#222222> '''4회''' ||<#dcdcdc,#222222> '''5회''' ||<#dcdcdc,#222222> '''6회''' ||<#dcdcdc,#222222> '''7회''' ||<#dcdcdc,#222222> '''8회''' ||<#dcdcdc,#222222> '''9회''' ||<#dcdcdc,#222222> '''R''' ||<#dcdcdc,#222222> '''H''' ||<#dcdcdc,#222222> '''E''' ||<#dcdcdc,#222222> '''B''' || ||<#ea0029> '''{{{#ffffff KIA}}}''' || '''[[이의리]]''' ||<#FFD700,#968200> 2 || 0 ||<#FFD700,#968200> 3 ||<#ff0000> '''{{{#white 6}}}''' ||<#B40404> '''{{{#white 10}}}''' || 0 || 0 ||<#FFD700,#968200> 2 || 0 ||<#DBA901,#222222> {{{#white '''23'''}}} || 26 || 1 || 5 || ||<#002955> '''{{{#ffffff 롯데}}}''' || '''[[글렌 스파크맨|스파크맨]]''' || 0 || 0 || 0 || 0 || 0 || 0 || 0 || 0 || 0 ||<#dcdcdc,#222222> '''0''' || 5 || 1 || 1 || == 라인업 == ||<-10>
'''{{{#ffffff KIA 타이거즈 선발 라인업}}}''' || || '''{{{#ffffff 1번}}}''' || '''{{{#ffffff 2번}}}''' || '''{{{#ffffff 3번}}}''' || '''{{{#ffffff 4번}}}''' || '''{{{#ffffff 5번}}}''' || '''{{{#ffffff 6번}}}''' || '''{{{#ffffff 7번}}}''' || '''{{{#ffffff 8번}}}''' || '''{{{#ffffff 9번}}}''' || '''{{{#ffffff 선발투수}}}''' || || '''[[박찬호(1995)|박찬호]]''' || '''[[이창진]]''' || '''[[나성범]]''' || '''[[황대인]]''' || '''[[최형우]]''' || '''[[김선빈]]''' || '''[[류지혁]]''' || '''[[한승택]]''' || '''[[김호령]]''' || '''[[이의리]]''' || || '''SS''' || '''LF''' || '''RF''' || '''1B''' || '''DH''' || '''2B''' || '''3B''' || '''C''' || '''CF''' || '''P''' || ||<-10>
'''{{{#ffffff 롯데 자이언츠 선발 라인업}}}''' || || '''{{{#ffffff 1번}}}''' || '''{{{#ffffff 2번}}}''' || '''{{{#ffffff 3번}}}''' || '''{{{#ffffff 4번}}}''' || '''{{{#ffffff 5번}}}''' || '''{{{#ffffff 6번}}}''' || '''{{{#ffffff 7번}}}''' || '''{{{#ffffff 8번}}}''' || '''{{{#ffffff 9번}}}''' || '''{{{#ffffff 선발투수}}}''' || || '''[[안치홍]]''' || '''[[황성빈]]''' || '''[[이대호]]''' || '''[[전준우]]''' || '''[[잭 렉스|렉스]]''' || '''[[한동희]]''' || '''[[정훈]]''' || '''[[안중열]]''' || '''[[이호연(야구선수)|이호연]]''' || '''[[글렌 스파크맨|스파크맨]]''' || || '''2B''' || '''CF''' || '''DH''' || '''LF''' || '''RF''' || '''3B''' || '''1B''' || '''C''' || '''SS''' || '''P''' || == 기록 == === 주요 기록 === ||<-2> '''주요 기록''' || || '''결승타''' || [[김선빈]](1회 2사 만루서 중전 안타) || || '''홈런''' || [[최형우]](5회 2점 김민기), [[김석환(야구선수)|김석환]](5회 3점 문경찬), [[황대인]](8회 1점 최준용) || || '''2루타''' || [[황대인]](4회, 5회), [[나성범]](5회), [[황성빈]](6회), [[고종욱]](8회) || || '''실책''' || [[안중열]](4회), [[최정용]](5회) || || '''도루''' || [[이창진]](3회), [[박찬호(1995)|박찬호]](4회) || || '''병살타''' || [[박찬호(1995)|박찬호]](4회/643) || || '''심판''' || 문동균, 구명환, 원현식, 이영재 || === 투수 기록 === ||<-12> '''KIA 타이거즈 투수 기록''' || || 투수 || 기록 || 이닝 || 타자 || 투구 || 삼진 || 피안타(피홈런)[* 피홈런이 없을 시 괄호 생략] || 사사구(사구)[* 사구가 없을 시 괄호 생략] || 실점(자책점)[* 동일 시 괄호 생략] || 당일 ERA || 당일 WHIP || 누적 ERA || || [[이의리]] || '''{{{#blue 승}}}''' || 7 || 26 || 91 || 9 || 3 || 1 || 0 || 0 || 0.57 || 3.92 || || [[고영창(야구선수)|고영창]] || - || 1 || 5 || 15 || 0 || 2 || 0 || 0 || 0 || 2 || 0 || || [[이준영(야구선수)|이준영]] || - || 1 || 3 || 10 || 2 || 0 || 0 || 0 || 0 || 0 || 2.21 || ||<-12> '''롯데 자이언츠 투수 기록''' || || 투수 || 기록 || 이닝 || 타자 || 투구 || 삼진 || 피안타(피홈런) || 사사구 || 실점(자책점) || 당일 ERA || 당일 WHIP || 누적 ERA || || [[글렌 스파크맨|스파크맨]] || '''{{{#red 패}}}''' || 3 || 19 || 73 || 5 || 9 || 1 || 6 || 18 || 3.33 || 5.29 || || [[진승현]] || - || ⅓ || 6 || 18 || 1 || 4 || 1 || 5 || {{{#ff0000 '''135'''}}} || {{{#ff0000 '''15'''}}} || 15.19 || || [[김민기(1996)|김민기]] || - || ⅔ || 8 || 23 || 0 || 6(1) || 1 || 5 || '''67.5''' || '''10.5''' || 67.5 || || [[문경찬]] || - || ⅓ || 6 || 20 || 0 || 4(1) || 1 || 5 || {{{#ff0000 '''135'''}}} || {{{#ff0000 '''15'''}}} || 6.6 || || [[강윤구(야구선수)|강윤구]] || - || 1⅔ || 6 || 26 || 2 || 0 || 1 || 0 || 0 || 0.6 || 3.24 || || [[김도규]] || - || 1 || 3 || 11 || 1 || 0 || 0 || 0 || 0 || 0 || 1.14 || || [[최준용(야구선수)|최준용]] || - || 1 || 6 || 20 || 2 || 3(1) || 0 || 2 || 18 || 3 || 4.17 || || [[김원중]] || - || 1 || 3 || 9 || 2 || 0 || 0 || 0 || 0 || 0 || 4.88 || === 타자 기록 === ||<-10> '''KIA 타이거즈 타자 기록''' ||<-10> '''롯데 자이언츠 타자 기록''' || || 타자 || 포지션 || 타수 || 안타 || 타점 || 득점 || 홈런 || 삼진 || 볼넷 || 사구 || 타자 || 포지션 || 타수 || 안타 || 타점 || 득점 || 홈런 || 삼진 || 볼넷 || 사구 || || [[박찬호(1995)|박찬호]] || SS || 5 || 0 || 0 || 2 || 0 || 0 || 2 || 0 || [[안치홍]] || 2B || 2 || 0 || 0 || 0 || 0 || 0 || 1 || 0 || || [[이창진]] || LF || 3 || 3 || 1 || 3 || 0 || 0 || 0 || 0 || [[박승욱]] || PH || 2 || 1 || 0 || 0 || 0 || 0 || 0 || 0 || || [[이우성]] || PH || 4 || 2 || 2 || 2 || 0 || 1 || 0 || 0 || [[황성빈]] || CF[br]LF || 4 || 1 || 0 || 0 || 0 || 0 || 1 || 0 || || [[나성범]] || RF || 4 || 3 || 0 || 3 || 0 || 1 || 0 || 0 || [[이대호]] || DH || 2 || 0 || 0 || 0 || 0 || 0 || 0 || 0 || || [[김석환(야구선수)|김석환]] || PH || 3 || 1 || 3 || 1 || 1 || 2 || 0 || 0 || [[고승민]] || PH || 2 || 1 || 0 || 0 || 0 || 1 || 0 || 0 || || [[황대인]] || 1B || 6 || {{{#ff0000 '''5'''}}} || {{{#ff0000 '''6'''}}} || {{{#ff0000 '''4'''}}} || 1 || 0 || 0 || 0 || [[전준우]] || LF || 2 || 1 || 0 || 0 || 0 || 0 || 0 || 0 || || [[최형우]] || DH || 3 || 2 || 2 || 3 || 1 || 1 || 1 || 0 || [[장두성]] || PH || 1 || 0 || 0 || 0 || 0 || 0 || 1 || 0 || || [[김선빈]] || 2B || 4 || 3 || 2 || 0 || 0 || 1 || 0 || 0 || [[잭 렉스|렉스]] || RF || 4 || 0 || 0 || 0 || 0 || 2 || 0 || 0 || || [[최정용]] || PH || 2 || 1 || 0 || 0 || 0 || 0 || 0 || 0 || [[한동희]] || 3B || 3 || 2 || 0 || 0 || 0 || 0 || 0 || 0 || || [[류지혁]] || 3B || 4 || 1 || 1 || 1 || 0 || 0 || 0 || 0 || [[조세진]] || PH || 1 || 0 || 0 || 0 || 0 || 1 || 0 || 0 || || [[김도영(2003)|김도영]] || PH || 1 || 0 || 0 || 0 || 0 || 0 || 0 || 0 || [[정훈]] || 1B || 2 || 0 || 0 || 0 || 0 || 1 || 0 || 0 || || [[김규성]] || PH || 1 || 1 || 1 || 0 || 0 || 0 || 0 || 0 || [[이학주]] || PH || 2 || 0 || 0 || 0 || 0 || 1 || 0 || 0 || || [[한승택]] || C || 3 || 2 || 2 || 1 || 0 || 1 || 0 || 0 || [[안중열]] || C || 3 || 0 || 0 || 0 || 0 || 2 || 0 || 0 || || [[신범수]] || PH || 1 || 0 || 0 || 0 || 0 || 1 || 0 || 0 || [[이호연(야구선수)|이호연]] || SS[br]1B || 3 || 0 || 0 || 0 || 0 || 1 || 0 || 0 || || [[김호령]] || CF || 6 || 2 || 3 || 1 || 0 || {{{#ff0000 '''4'''}}} || 0 || 0 || || || || || || || || || || || == 경기 진행 == === 경기 전 === 경기에 앞서 [[블락비]]의 [[유권]]이 시구를, 유니세프 어린이 봉사단 활동을 하는 롯데 어린이 팬이 시타를 맡았다. 경기 당일, 10,881명이라는 적지 않은 관중이 이 경기를 보기 위해 사직 구장을 방문했다. 당일 [[잭 렉스]]의 데뷔전이 예정되어 있었고 롯데는 최대한 타격력을 강화한 라인업을 짜며 팬들을 기대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 1회 === 1회초, 롯데의 선발투수 [[글렌 스파크맨|스파크맨]]은 첫 번째 타자 [[박찬호(1995)|박찬호]]를 8구 공방전 끝에 중견수 플라이 아웃으로 잡아냈다. 하지만 그 다음 타자 [[이창진]]이 초구에 안타를 치고, [[나성범]]이 8구 승부 끝에 안타를 때려낸다. 그리고 [[황대인]]의 타구가 투수의 몸에 맞아 안타가 되어 1사 만루의 기회를 잡는다. 스파크맨은 위력적인 투구로 [[최형우]]를 헛스윙 삼진으로 돌려 세우며 숨을 골랐지만, 다음 타자 [[김선빈]]이 2타점 적시타를 때려내 기회를 잡았다.[* 이것이 결승타가 되었다.] 그 다음 스파크맨은 류지혁을 땅볼로 잡아 3아웃을 완성시켰으나, 1회에만 무려 31구의 공을 던져 용병 투수 답지 않은 면모를 보여주었다. 1회말, [[안치홍]]과 [[황성빈]]은 선발 투수인 [[이의리]]에 연속 삼진을 당하고, [* 안치홍은 낫아웃 삼진으로 잡았다.] [[이대호]]는 초구를 공략했지만 플라이 아웃으로 물러났다. 이의리는 상위 타선을 공 10개로 묶어 쾌조의 출발을 보여주었다. === 2회 === 2회초, [[한승택]]과 [[김호령]]은 갑자기 각성한 [[글렌 스파크맨|스파크맨]]의 투구에 나란히 삼진을 당했다. 스파크맨은 박찬호를 상대로 두 번 연속 볼을 던져 제구가 난조된 모습을 보였지만, 박찬호가 '''굳이''' 3구를 건드려 유격수 땅볼 아웃을 당했다. 저질 투구를 선사했던 1회와 달리 2회에 스파크맨은 10구로 3아웃을 잡아냈다. --박찬호는 같은 방법으로 4회에도 이 기회를 날려버린다.-- 하지만 2회말 롯데 타선은 스파크맨의 각성에 답을 하지 못했다. 선두 타자로 나온 [[전준우]]는 3구 만에 내야 파울 플라이를 당했다. 그 다음 [[DJ 피터스|피터스]]의 대체 용병인 [[잭 렉스|렉스]]는 3구 만에 플라이를 쳐 롯데 팬들의 기대를 한껏 접어놓았다. 그 다음 [[한동희]]가 안타를 쳐 추격의 불씨를 어느 정도 살렸다. 하지만 [[정훈]]이 2구에 멕아리 없는 땅볼을 때려 추격의 불씨는 금세 꺼져버렸다. === 3회 === 3회초, 롯데 팬들은 [[글렌 스파크맨|스파크맨]]의 2회의 모습에 기대를 하였지만 아니나 다를까, 그 모습은 결국 1회 만에 막을 내리게 된다. 선두 타자인 [[이창진]]이 안타를 때리고 2루 도루까지 성공하였다. 이 때문에 멘탈이 흔들린 스파크맨은 [[나성범]]을 삼진으로 잡아내지만, [[황대인]]이 적시타를 때려 또 다시 점수를 내준다. 그 다음 [[최형우]], [[김선빈]]이 나란히 안타를 때려 '''1사 만루'''의 상황이 된다[* 선두 주자가 발이 느린 황대인이기 때문에 득점으로 연결되지는 않았다.]. [[류지혁]]의 라인드라이브 타구를 전준우가 잡아 한 숨을 놓는 듯 했지만 [[데자뷰|2사 만루 상황에서 한승택이 2타점 적시타를 쳤다]]. 스파크맨은 다음 타자인 [[김호령]]을 삼진으로 잡아내지만, 1회 때 보여주었던 저질 투구를 3회에 다시 선사한 스파크맨은 결국 3이닝 만에 73구의 공을 던졌고 롯데팬들의 비난을 받았다. 3회말, 하위 타선인 [[안중열]]과 [[이호연(야구선수)|이호연]]은 이의리의 공에 꼼짝을 하지 못하며 나란히 삼진을 당한다. 그리고 믿었던 안치홍 마저 3구만에 플라이 아웃으로 물러나게 된다. === 4회 === 4회초, [[글렌 스파크맨|스파크맨]]은 3회의 분위기에 압도당해 제구가 난조된 모습을 보여주었고 선두타자 [[박찬호(1995)|박찬호]]를 볼넷으로 내보낸다. 그리고 이를 보다 못한 [[래리 서튼|서튼]] 감독은 스파크맨을 강판시키고 2022시즌 신인인 [[진승현]]을 올린다. 이창진의 타석에서 박찬호가 도루를 시도했는데, 포수 안중열의 송구가 빗나가면서 박찬호는 3루까지 들어간다. 거기에 [[이창진]], [[나성범]], [[황대인]]의 연속 안타가 나오면서 점수는 더 벌어진다. 하지만 KIA의 폭주는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1사 1,2루 상황에서 [[류지혁]]이 적시타를 치고 한승택이 볼넷을 얻으면서 또 다시 1사 만루의 상황이 만들어졌고 여기서 투수는 데뷔 첫 1군 등판을 하게 된 [[김민기(1996)|김민기]]로 교체되었다. 하지만 [[김호령]]이 2타점 적시타를 때려 진승현의 자책점은 또 올라갔고, 점수는 벌써 11:0으로 벌어졌다.[* 만루 상황에 2타점 적시타만 벌써 3번째이다.] 멘탈이 무너질 대로 무너진 김민기는 [[데자뷔|박찬호를 상대로 두 번 연속 볼을 던졌지만 박찬호가 굳이 3구를 건드렸고 결국 이 타구가 유격수 정면으로 흘러가 병살로 이어졌으며 KIA의 공격은 일단 끝났다.]][* 박찬호는 2회에도 득점권 상황에서 2볼 노스트라이크 상황에 볼을 때려 범타로 물러나 득점 기회를 연결시키지 못했다.] 4회말, 롯데는 여전히 반격의 의지를 보이지 않았고, 팀의 중심이 되는 [[황성빈|2]],[[이대호|3]],[[전준우|4]]번 타순은 [[이의리]]의 투구에 힘을 쓰지 못하고 나란히 범타로 물러났다. 여기까지는 그래도 정상적인 경기인가 싶었는데....--11:0인데!?----물론 이정도로 끝났다면 흔히 보는 롯데가 지는 경기 였겠지만...-- === 5회: 클라이막스 === 5회초, [[김종국(야구)|김종국]] 감독은 3타수 3안타로 활약한 이창진을 [[이우성]]으로 교체했지만 이우성도 안타를 치고 출루하였다. 다음 타자인 [[나성범]]이 2루타를 때려 득점권 상황이 다시 찾아오게 되었고, [[황대인]]은 그 기회를 잡아 적시 2타점 2루타를 때려낸다. 타석에 들어선 [[최형우]]는 우측 담장을 넘기는 2점 홈런을 때리고 [[김선빈]] 또한 안타를 때려 결국 [[김민기(1996)|김민기]]는 [[문경찬]]으로 교체되었다. 하지만 투수가 교체가 무색할 정도로 KIA의 타선은 점수를 냈다. 문경찬은 첫 타자인 [[류지혁]]을 땅볼로 잡아내지만 KIA는 이에 질 수 없을 세라 [[한승택]], [[김호령]], [[박찬호]]가 연속으로 출루하여 만루를 만드는 데에 성공을 한다. 얼떨결에 두 번째 타석에 들어선 이우성은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2타점 적시타를 때려 대타로 나와 그 이닝에 멀티히트를 기록하는 진풍경을 연출했고, [[김종국(야구)|김종국]] 감독은 3타수 3안타로 활약한 나성범 타석에서 1할대 타자인 [[김석환(야구선수)|김석환]]을 대타로 낸다. 하지만... || [kakaotv(430669956)] || || [[김석환(야구선수)|김석환]]의 우측 담장을 넘기는 쓰리런포 || 대타로 나선 김석환은 문경찬의 실투를 공략하여 방망이를 휘둘렀고 타구는 사직의 오른쪽 담장을 훌쩍 넘겨버렸다. 결국 5회초 1아웃, 아직 전체 아웃카운트의 절반도 채워지지 않은 상황에서 점수는 '''21:0'''까지 벌어져 버렸고 이렇게 되자 '''최다 득점 영봉승 기록'''[* 2008년 6월 1일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린 SK 와이번스와 삼성과의 경기에서 SK는 무려 '''18점차 영봉승'''이라는 대기록을 세웠다.]이 깨질 수 있다는 희망이 팬들 사이에서 생기기 시작한다.[* KIA가 9회까지 무실점을 유지한다면 기록이 된다.] 그리고 매스컴에서는 [[삼성 라이온즈/1997년/5월/4일|이 경기]]의 최다 득점 기록[* 27점], 최다 점수차 기록[* 22점]이 갱신될 것 같다는 여론이 주를 이루었다. 여기서 서튼 감독은 [[문경찬]]을 강판시키고 [[강윤구(야구선수)|강윤구]]를 마운드에 올렸다. 강윤구는 불만 지르는 롯데 투수들과 달리 두 타자를 아웃으로 돌려 보냈고 결국 5회 공격은 여기서 끝이 나게 되었다. 5회말, KIA의 기세등등한 모습에 힘이 빠진 롯데는 타석에서도 삼자범퇴를 당해 계속 반등없는 빈타를 보여주었다. 특히 선두타자로 나온 [[잭 렉스|렉스]]는 3구 삼진을 당해 롯데팬들의 공분을 샀다. === 6~7회 === KIA는 5회와 6회에 걸쳐 주전을 대거 교체했다. 6회초, [[강윤구(야구선수)|강윤구]]가 다시 마운드에 올랐다. KIA 팬들은 최다 득점 기록을 비롯한 다양한 기록이 갱신되기를 빌며 기아 타선이 또 다시 터지기를 바라고 있었다. 하지만 그 기대와 달리 강윤구는 볼이 좀 많았지만 예상 외로 호투하며 KIA 타선을 무실점으로 잠재웠다. 6회말, 롯데 타선은 강윤구의 호투에 보답을 하지 못하고 4구만에 2아웃을 쌓는다. [[황성빈]]이 2루타를 때려내지만 이대호의 대타로 나선 [[고승민]]이 루킹 삼진을 당해 득점 기회를 또 날려버렸다. 7회초, 롯데의 마운드는 [[김도규]]로 교체되었다. 김도규 또한 기아 타선을 삼자 범퇴로 처리하여 기록을 뒤엎으려는 KIA의 패기를 눌러 버렸다. 7회말, [[장두성]]이 볼넷으로 출루하지만, 그 다음 타자인 [[잭 렉스|렉스]]는 또 3구 삼진으로 물러났고 [[한동희]]가 안타를 때려 득점권 상황을 만들었지만 [[이학주]]의 유격수 플라이, 안중열의 헛스윙 삼진으로 롯데는 득점 기회를 또 날려버린다. === 8회 === 8회초, 마운드에 올라온 [[최준용(야구선수)|최준용]]은 올라오자마자 황대인에게 솔로 홈런을 맞았다. 점수는 22:0, 한 점만 더 얻으면 1997년과 2014년 기록된 최다 득점차 기록이 갱신되는 상황.[* 가장 최근 기록으로, 2014년 5월 31일 롯데 자이언츠가 두산 베어스를 상대로, 29안타 23득점을 기록하며 23-1 22점차 승리를 거둔 적이 있다.] [[고종욱]]의 2루타와 [[최정용]]의 진루타로 얻은 1사 3루 상황에서 [[김규성]]은 기회를 놓치지 않고 적시타를 때려 '''23:0...'''의 스코어를 만들어 낸다. 이 경기가 그대로 끝나게 된다면 '''최다 득점차 승리'''의 기록은 '''무려 8년 만에''' 다시 쓰이게 된다. KIA는 한 경기 최다 득점도 노려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갖고 있었지만 후속 타자인 [[신범수]]와 [[김호령]]이 삼진으로 물러나면서 이 기록에 대한 기대는 어느 정도 접을 수 밖에 없었다. 8회말, 7회까지 호투를 보인 [[이의리]]가 실점 없이 마운드를 내려가고 [[고영창]]이 마운드를 이어 받았다. [[박승욱]]과 [[고승민]]이 안타를 때려 2사 1,3루를 만들어 냈지만, [[장두성]]이 땅볼을 치는 바람에 롯데의 득점 기회는 또 물건너 갔고, '''최다 점수차 영봉패'''라는 불명예 기록이 점점 더 가까워져만 갔다. === 9회 === 9회초, KIA 입장에서는 '''한 경기 최다 득점'''을 노릴 수 있는 [[라스트 댄스|마지막 기회]]가 찾아왔다. 하지만 마운드에 올라온 [[김원중(야구선수)|김원중]]은 공 9개를 던져 2탈삼진, 삼자 범퇴로 기아 타선을 틀어 막았다. 결국 기아에게 남은 희망은 '''최다 점수차 영봉승''', '''최다 점수차 승리'''.[* 하지만 두 기록 모두 세운다고 보장할 수 없는게, 전자와 후자 모두 9회말에 1점이라도 내주게 되면 무산되어 버린다. --후자와 같은 경우 1실점만 하면 타이기록으로 남지만 그 이상 실점하게 되면 갱신이 되지 않는다.--] 9회말, KIA는 [[이준영(야구선수)|이준영]]을 마운드에 올렸다. 선투 타자로 올라온 [[잭 렉스|렉스]]는 또 3구 만에 아웃으로 물러나 첫 안타 신고를 미룰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후속 타자인 [[조세진]]과 [[이학주]]는 삼진으로 물러나면서 결국 이 경기는 최종 스코어 23:0으로 막을 내리게 되었다. == 여담 == * KIA는 '''KBO 리그 한 경기 최다 득점차 승리(23점차) 기록'''을 새롭게 세웠다. '''한 경기 최다 득점'''(27득점)이라는 기록에는 조금 모자랐지만, 8년만에 '''최다 점수차 승리'''[* 가장 최근 기록 : 14.05.31 잠실 '''롯데''' vs 두산전 23-1 22점차 롯데 승], 14년만에 '''최다 점수차 영봉승'''[* 08.06.01 대구시민 SK vs 삼성 18-0 SK 영봉승]이라는 기록을 갱신하였다. 반면 롯데에게는 '''최다 점수차 패배''', '''최다 점수차 영봉패'''라는 불명예 기록을 안긴 최악의 경기가 되었다.[* 심지어, 롯데가 22점차 승리 타이 기록을 세운 뒤, 나오지 않고 있었던 22점차 승리 기록을 프로야구 40주년을 맞는 2022시즌 후반기 첫 3연전 마지막 경기에서 23점차 영봉패 기록으로 갱신해주며 스스로 망신살을 뻗쳤다. 더군다나, [[김명성(1946)|김명성]] 감독의 21주기였던 날 신기록을 세웠다.] 게다가 더 비참한 것은 1997년 어린이날에 27-5로 똑같이 22점차로 패배한 LG는 그해 한국시리즈 까지 진출한데 비해, 2014년엔 자신들이 22점차 대승을 거두고도 그해 7위로 탈락하였다는 것이다. * '''KBO 역사상 역대급 저질 막장 대첩'''에 열이 받은 일부 롯데팬들은 '''원정 관중석으로 넘어가 [[남행열차]]를 부르며 상대편인 기아 선수들을 응원하는''' 황당한 모습([[https://www.youtube.com/watch?v=XTCOh4-Rbz0|영상 1]], [[https://www.youtube.com/watch?v=PkZrGuJj7JE|영상 2]])을 연출하기도 했으며[* 이를 본 [[조지훈(응원단장)|조지훈]] 롯데 응원단장은 '''"여러분 이건 좀 아닌 것 같습니다"''' 라고 하기도 했다.--극한직업-- ], [[롯데 자이언츠]] [[Instagram|공식 SNS]]에 티켓 환불 소동을 벌이기도 했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5&aid=0001542023|국민일보 기사]], [[https://www.etoday.co.kr/news/view/2157051|e투데이 기사]] --그 어떤 정치인도 해결하지 못한 [[영호남 지역갈등]]이 해소된 몇 안 되는 순간이다.-- 만약 80~90년대에 이런 경기가 벌어졌다면 [[경기는 삼성쪽으로 기울고|롯데 선수한테 각종 컵라면과 페트병이 날아오고]] [[해태 버스 방화 사건|롯데 버스가 불타버리고도 남았을]] 경기라는 평도 있다. * 같은 날, [[삼성 라이온즈]]는 [[키움 히어로즈]] 상대로 승리를 따내 13연패를 끊게 되었고, [[SSG 랜더스]]는 [[두산 베어스]] 상대로 4점차를 역전하여 8연승을 이어 갔지만, 이 두 경기 모두 이 경기 때문에 묻혔다. --13연패가 묻히는 위대한 경기-- * 경기 내용과 득점에 비해 경기 진행 시간은 3시간 3분으로 매우 짧은 편이었다. 심지어 같은 날 5경기가 열렸는데, 이 경기보다 더 짧게 지속된 경기는 [[창원 NC 파크|창원]]에서 열린 [[LG 트윈스]]와 [[NC 다이노스]] 경기 밖에 없었다.[* 2시간 57분] * 결과도 결과지만 경기 과정에서 KIA와 롯데의 투수 소비 차이가 어마어마했다. KIA는 [[이의리]], [[고영창]], [[이준영(야구선수)|이준영]]으로 경기를 마무리 했지만, 롯데는 이 경기에 [[스파크맨]]에 이어 [[진승현]], [[김민기(1996)|김민기]], [[문경찬]], [[강윤구(야구선수)|강윤구]] 뿐만 아니라 마무리를 포함한 필승조인 [[김도규]], [[최준용(야구선수)|최준용]], [[김원중]], 총 8명의 투수를 마운드에 등판시켰다.[* 나름의 변론을 하자면 다음 날이 휴식일이기도 하고 경기 내용은 야수 등판을 충분히 할 수 있는 경기지만 대기록 헌납을 막기 위해서라도 야수 등판 대신 필승조 등판을 택했다고 볼 수 있었겠지만 최준용이 대기록을 경신하게 두면서 결과적으로 실패하게 되었다.] * KIA는 이 경기를 기점으로 [[사직 야구장|사직]] 원정 9연승의 기록을 이어 나갔다. 반면 롯데는 홈 KIA전 9연패의 멍에를 입었다. * 롯데 입장에서 [[김원중]], [[문경찬]]의 방화로 8,9회에만 무려 8점을 헌납한 [[KIA 타이거즈/2022년/5월/18일|당해 5월 18일의 경기]] 이후 2달 만에 또 큰 상처를 입었다. --심지어 두 경기 모두 사직에서 진행되었다.-- * 처참한 경기결과에 비해 투수 폭투와 몸에 맞는 볼이 없는 경기였다. 롯데가 허용한 사사구도 5개로 실점에 비해 적게 내준 편이다.--즉 막장경기라 보기엔 롯데는 너무 깔끔하게 잘 내주고 KIA는 깔끔하게 잘 막았다-- * 롯데는 이 경기가 끝나고 이틀 뒤 두산을 상대로 패배해 4연패를 적립했는데, 참다 못한 일부 롯데 팬들이 잠실 월드타워 앞에서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109/0004665896|트럭시위]]를 하기도 했다. KIA 역시 분위기를 이어가지 못하고 NC에게 패배해 4연승에 실패했다. * 이틀전 메이저리그에서도 [[토론토 블루제이스]]가 [[보스턴 레드삭스]]를 무려 28-5로 잡는 역사적인 경기를 만들었다. 점수차도 23점차로 동일하며 홈팀이 대패했다는 것도 동일. 그나마 보스턴은 5점이라도 냈지만 롯데는 한점도 못냈다. [[https://youtu.be/1G5dOhTJ90A|#]] * 경기 전 한 롯데팬이 "롯데가 실점하는만큼 km수로 자전거를 타겠다"며 어제도 9점 실점해서 9km 탔다는 트윗을 올렸었다. [[https://www.fmkorea.com/best/4851192011|5이닝 10실점에 분노를 참지 못했고]] 결국 23km를 끝까지 달렸다고 인증했다. (현재 트윗 비공개됨) * 9월 6일 ~ 9월 7일 양 팀의 맞대결이 울산에서 열리게 되어 이 경기가 2022 시즌 KIA와 롯데의 사직에서의 마지막 맞대결이 되었고, KIA는 2022 시즌 사직구장 전승을 기록하게 되었다. * 한편 이날 전남 드래곤즈와의 원정 경기를 치른 K리그2 꼴찌였던 [[부산 아이파크]]는 [[부산 아이파크/2022년/K리그2|1:1로 비기며]] 본의아니게 재평가를 받게 되었다.[* 리그 선두였던 광주 FC는 이날이 휴식일로 경기가 없었다.] 그러나 3일 뒤 아팍은 광주 FC에게 0:2로 홈에서 패배하며 올해 부산 연고팀들은 광주 연고팀에게 홈에서 전패를 당하게 되었다.[* 광주 FC와의 첫 홈 경기는 0:3으로 패배했고, 공교롭게도 그 날 롯데는 안중열의 9회말 무사만루 병살로 기회를 날린것도 모자라 10회 이정후가 쓰리런을 날리며 롯데팬들을 멘붕에 빠트린 날이었다. 그리고 이 경기 이후 롯데는 키움전 피스윕을 허용했고, 아팍은 [[히카르두 페레즈]] 감독의 마지막 경기가 되었다.] * 그러다가 약 8개월 뒤 한국 국가대표팀이 WBC에서 중국 상대로 22:2 콜드게임을 거두면서 이 경기가 다시 조명되기도 했다. 이렇게 양민학살을 해도 22:2인데 23:0 패배를 당한 롯데는 도대체 뭐냐면서 사람들이 놀라기도 했다.[* 중국전이 5회에서 끝났기 때문에 9회까지 진행되었다면 더 많은 점수가 났을수도 있다는 변명도 안 통하는 게, 롯데도 5회가 끝난 시점에서 21:0(...)이었다. 게다가 한국 야구가 아무리 이전에 처참한 경기력을 선보였어도 중국 대표팀과는 엄연히 체격차가 엄청나지만 롯데는 같은 나라의, 같은 리그에 속한 팀 상대로 이러한 패배를 당했다는 점에서 더 굴욕적이라 할 수 있다.] [[분류:KBO 리그/개별 문서가 있는 경기/2022년]][[분류:롯데 자이언츠/2022년]][[분류:KIA 타이거즈/2022년]] * 정확히 11개월 뒤인 2023년 6월 25일 LA 에인절스가 쿠어스 필드에서 열린 콜로라도 로키스의 경기에서 25:1 대승을 거두면서 이 경기가 다시 조명되기도 했다. 에인절스는 4회초까지 23:0을 만들어내면서 KIA보다 훨씬 빠른 페이스로 득점해낸 것은 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