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김경호)]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dec 15%,#007dec 50%, #009dec 85%)" [[김경호|[[파일:김경호로고.png|height=30]]]]''' [[김경호|{{{#fff 김경호}}}]]의 [[김경호/음반|{{{#fff 음반}}}]]'''}}}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16px -11px" || [[파일:김경호로고.png|width=37.5%&theme=light]][[파일:김경호로고_화이트.webp|width=37.5%&theme=dark]] || {{{+1 →}}} || {{{-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73726B; font-size: 0.865em; color: #1f1c2b" '''정규 1집'''}}}}}} {{{-1 ''' KIM KYUNG HO'''}}} {{{-3 1994.10.01.}}} || {{{+1 →}}} || {{{-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000; font-size: 0.865em; color: #fff" '''정규 2집'''}}}}}} {{{-1 '''[[kim:kyungho 1997|{{{#000,#fff kim:kyungho 1997}}}]]'''}}} {{{-3 1997. 06. 06.}}} ||}}} || ||<-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73726B; font-size: 0.865em; color: #1f1c2b" '''정규 1집'''}}}[br]'''{{{+1 {{{#73726B KIM KYUNG HO}}}}}}'''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경호 1집.jpg|width=100%]]}}}|| ||<-2> '''김경호 정규 1집''' || || '''발매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994년]] [[10월 1일]] || || '''장르''' || [[록 발라드]], [[하드 록]], [[헤비 메탈]] || || '''곡 수''' || 10곡 || || '''프로듀서''' || 이승호 || || '''레이블''' || (주) 뮤직 디자인 || || '''타이틀 곡''' || '''[[마지막 기도|{{{#000,#fff 마지막 기도}}}]]''' || [목차] [clearfix] == 소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b6TZXhqJbc)]}}} || ||<#1F1C2B> '''{{{#fff 마지막 기도 라이브}}}''' || 1994년 10월 01일[* 1집 발매일 표기가 음원 사이트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멜론을 제외한 다수의 사이트는 1994년 10월 1일로 표기되어 있다.]에 발매된 김경호의 데뷔 앨범이다. 타이틀 곡인 [[마지막 기도]], [[김경호]]가 대학 가요제에서 부른 자작곡인 '긴 이별', 묘기 대행진 같은 곡이라고 [[김경호]]가 언급한[* 직접적으로 [[자유인]]이 묘기 대행진 같은 곡이라고 언급하진 않았다. 다만 1집 앨범을 소개하며 [[https://youtu.be/CEePxnbZAzM?t=5m10s|"묘기 대행진 같은 곡이 한 곡 있었다"]]라고 말한 걸 보면 [[자유인]]을 설명하는 것일 확률이 높다. 허나 김태원클라쓰에서 마지막 기도라고 언급하였다.] [[자유인]] 등이 수록된 앨범이다. [[이세준]], [[박완규]] 등의 소수의 매니아들이 이 앨범을 테이프가 늘어지도록 들었다고 회고한 앨범이었고, 특히 [[마지막 기도]]와 [[자유인]]을 들은 사람들은 '이런 괴물 보컬이 있구나!'라고 느끼게 되었다. 그러나 이 1집은 전체적으로 대중적이지 못했고, 결국 큰 판매량을 쌓지 못하고 [[https://youtu.be/CEePxnbZAzM?t=4m58s|망했다.]] 전체적으로 트랙들이 록 계열 곡들보단 발라드 쪽으로 이뤄져 있어 진정한 록커로서의 김경호 이전의 다소 풋풋한 모습을 볼 수 있다. == 앨범 수록곡 == ||
'''{{{#fff 트랙}}}''' || '''{{{#fff 곡명}}}''' || '''{{{#fff 작사}}}''' || '''{{{#fff 작곡}}}''' || '''{{{#fff 편곡}}}''' || || '''1''' || '''[[마지막 기도]]'''^^{{{#red TITLE}}}^^ || 이승호 || 이승호 || 이승호 || || '''2''' || 긴 이별 ^^{{{#red,#ff0000 후속곡}}}^^ || [[김경호]] || [[김경호]] || 이승호 || || '''3''' || [[자유인]] || 이승호 || 유승범 || 유승범 || || '''4''' || 첫이별 || 이승호 || 이승호 || 김형석 || || '''5''' || 남자라는 건 || 이승호 || 마경식 || 마경식 || || '''6''' || 목숨 || 이승호 || 마경식 || 마경식 || || '''7''' || 나 이제서야 || 이승호 || 유승범 || 유승범 || || '''8''' || 최악의 날 || 이승호 || 마경식 || 마경식 || || '''9''' || 누명쓴 아이 || 이승호 || 마경식 || 최태완 || || '''10''' || 비가 오는 거리에서 잠든다 || 이승호 || 유승범 || 유승범 || === [[마지막 기도]] === 1번 트랙이자 타이틀 곡인 [[마지막 기도]]는, [[김경호]]가 스스로 자서전에서 언급하길, '[[She's Gone(스틸하트)|She's Gone]]'이 연상되는 곡이라고 말했다. 웅장한 마이너 록 발라드다. 저음이 전혀 없고(최저음 2옥레♯) '''3옥타브 파♯(F♯5)'''까지 올라가는 초고음 곡인 것이 특징. 뿐만 아니라 굉장히 어려운 난도의 곡인데, 당시 [[김경호]] 라이브 무대를 보면 딱히 어려워하지도 않고 시원시원하게 부른다. [[https://youtu.be/W7_Ck9XeKj0|짧은 머리와 선글라스가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한 번 들어보자.]] '신의 경지'란 제목이 붙은 게 어색하지가 않다. [[김경호]]가 최근 [[샤우팅]]을 회복하고 고음도 '''3옥타브 파♯(F♯5)''''까지는 자주 올리면서 이 곡이 다시 부활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사실 2014년 청량리 롯데 백화점 행사때 어떤 팬의 요청으로 마지막 기도를 한 소절 불러준 적이 있었다. [* 문제는 제발 나를 떠나 가지 마 할때 '가'부분이 '''3옥타브 미(E5)'''인데 이부분을 육성으로 올려야 한다.[* 실제로 1집때 김경호도 이 부분에 삑사리를 냈다.] 아마도 이 부분때문에 못하듯 하다.][* 다만 코러스를 이용하거나 키를 낮추거나 이부분도 샤우팅 처리하는 방법도 있다.] 예전에 같이 활동했었던 유주형의 언급에 따르면, 곡의 상당부분의 멜로디를 김경호가 만들었다고 한다. 공동으로 작곡했다고 보면 될듯.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지막 기도)] === 긴 이별 === ||<-2> '''{{{#fff 긴 이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QUBgbQFHd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_mzEk58KB0)]}}} || ||<-2> {{{#!folding [ 가사 ] ||
'''{{{#fff 긴 이별}}}''' || || 눈만 감으면 나 떠난 너를 잊을 거라고 생각했지 흔들리는 건 혼자라는 아픔보다 혼자일 너 때문야 너를 위해선 그 어떤것도 할 수 있다고 말했었지 하지만 우린 이 아픔에 긴 이별을약속하진 않았어 비라도 내릴듯한 저 하늘에 슬픈 너의 미소가 나를울리잖아 애써 감춘 눈물을 너는 아직 기억하리라 나는 믿고싶어 이제 다시 너를 볼 수 없다면 난 어떤 모습으로살아가야 하나 나를 사랑해서 떠나간 것은 아니라고 말을 해줘 || }}} || '긴 이별'은 [[김경호]]의 자작곡으로서, 대학 생활 중 6개월 동안 서울 아가씨와 연애를 했던 경험이 모티브가 되었다고 한다. 이 곡으로 그는 91년 대학가요제에 올랐는데, 음이탈 때문에 동상을 수상했다. 그 전날 지인들과 밤 늦게까지 놀았던 게 화근. 2017년 락 크리스마스 콘서트에서 팬들의 요청으로 불러준 이후 종종 선곡되고 있다. === [[자유인]] === 후렴구 자체는 김경호 노래 중에서는 난이도가 낮은편이지만 도입부부터 '''3옥타브 레(D5)''' [[샤우팅]]을 길게 끌며, 마지막에 '''3옥타브 레(D5) ~ 3옥타브 라(A5)''''로 '''쉬지 않고 40초''' 가량 끄는 [[샤우팅]]이 하이라이트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자유인)] === 첫이별 === ||
'''{{{#fff 첫이별}}}'''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SsTQ9lq3KQ)]}}} || || {{{#!folding [ 가사 ] ||
'''{{{#fff 첫이별}}}''' || || 지우려 했지만 어느새 넌 내곁에 추억에 입술만 깨물었지 어떻게 하려고 그 모든 얘기를 내 가슴속에다 묻어 놨나 아니라고 얘기해 이젠 내 빈 가슴속에 또 너의 눈빛이 널 스친 바람이 서성이고 무너지는 기억에 또 너 눈만 감는다면 잊을 것 같은데 정말 잊혀질까 두려워 또 밤을 새지 어떻게 하려고 그 모든 얘기를 내 가슴 속에다 묻어놨나 아니라고 얘기해 이젠 내 빈 가슴 속에 또 너의 눈빛이 널 스친 바람이 서성이고 무너지는 기억에 또 너 눈만 감는다면 잊을 것 같은데 정말 잊혀질까 두려워 또 밤을 새지 || }}} || === 남자라는 건 === ||
'''{{{#fff 남자라는 건}}}'''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0qrtZjUA5o)]}}} || || {{{#!folding [ 가사 ] ||
'''{{{#fff 남자라는 건}}}''' || || 혼자서만 살아온 듯이 그런 얼굴 하고 있지만 꿈을꾸듯 사랑할 때면 어린아이 얼굴을 한다 남자라는 건 사막을 걷듯이 바람을 향해 살아내야 하는 것 팽개쳐진 시간 속에서 태양을 품고 뛰어간다 남자라는 것은 세월의 산 오르며 강한 척 인생을 등에 짊어지는 거야 죽을 곳을 찾아 고독을 삼켜내는 이게 바로 너의 남자야 남자라는 건 사막을 걷듯이 바람을 향해 살아내야 하는 것 팽개쳐진 시간 속에서 태양을 품고 뛰어간다 남자라는 것은 세월의 산 오르며 강한 척 인생을 등에 짊어지는 거야 죽을 곳을 찾아 고독을 삼켜내는 이게 바로 너의 남자야 이게 바로 너의 남자야 || }}} || === 목숨 === ||<-2> '''{{{#fff 목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hNAApWKUHU)]}}}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s-SwgM5pg)]}}} || ||<-2> {{{#!folding [ 가사 ] ||
'''{{{#fff 목숨}}}''' || || 하늘 아래 피어난 안개 닮은 구름 하나 내게 눈물 가릴 비를주렴 너를 스쳐 온듯 한 한숨 섞인 바람속에 너는 또 눈물짓고 있네 왜 너로 인해 젖어버린 슬픔자락 하나도 벗지 못하나 왜 세월에 지친 사랑도 내 가슴속에선 늘 그대로인가 살아왔던 모든 것들이 너를 위함이었다는 걸 이제서야 깨달았다고 해도 더 이상은견딜 수 없어 네가 없인 목숨조차도 이젠 아무 소용이 없는것을 || }}} || 1집 활동 시기 대학로 라이브 콘서트에서 선보였다가 2019년 언플러그드 돌발콘에서 불러준 뒤 꾸준히 선곡되고 있는 곡이다. 1집 활동 시기의 목숨은 매우 맑은 미성이 돋보이지만, 최근에 부르는 목숨은 좀 더 감성적인 부분이 돋보인다. === 나 이제서야 === ||<-2> '''{{{#fff 나 이제서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Qy8-8_Vw4s)]}}}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Oat9Dh-npk)]}}} || ||<-2> {{{#!folding [ 가사 ] ||
'''{{{#fff 나 이제서야}}}''' || || 하얀 아침이 되어 창을 열어보니 비에 젖은 새들 날아가고 노란 꽃잎에 달린 하얀 빗물 위엔 고운 햇살 아름다워 내 가슴에 기댄 바람 속엔 슬픈 너의 향기 묻어 있고 밤새 내린 비에 젖어있는 우리 아픈 이별 기억해 왜 힘든 이별을 해야 하는지 어떤 기억을 먼저 잊어야 하는지도 모르는 내게 아무 얘기도 없이 빗속에 너는 떠났지 나 이제서야 내가 간직한 외로움 알았어 나 이제서야 내게 남겨진 사랑을 알았어 내 가슴에 기댄 바람 속엔 슬픈 너의 향기 묻어 있고 밤새 내린 비에 젖어있는 우리 아픈 이별 기억해 왜 힘든 이별을 해야 하는지 어떤 기억을 먼저 잊어야 하는지도 모르는 내게 아무 얘기도 없이 빗속에 너는 떠났지 나 이제서야 내가 간직한 외로움 알았어 나 이제서야 내게 남겨진 사랑을 알았어 나 이제서야 내가 간직한 외로움 알았어 나 이제서야 내게 남겨진 사랑을 알았어 || }}} || 7번 트랙 '나 이제서야'는 데뷔 이후 처음으로 26년만에 2020년 서울 콘서트에서 불러주었다. === 최악의 날 === ||
'''{{{#fff 최악의 날}}}'''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8zyIFBfNFw)]}}} || || {{{#!folding [ 가사 ] ||
'''{{{#fff 최악의 날}}}''' || || 서울을 떠난다는 마지막 너의 그 말 멀어지는 너를 보며 이건 꿈일 거야 했지 차가운 바람하나 지나쳐 가는 순간 꿈이 아니라는 것을 비로소 알게 됐던 거야 떨리는 내 손에 감긴 시계를 내려다 보니 벌써 한 시간이 흘러갔고 눈물 한 줄기도 흘렀지 택시를 잡기 위해 뛰기 시작했지 태어나 처음으로 하나님을 찾아대며 지금쯤 너는 아마 나와 함께 했던 사랑의 마지막을 가슴에 곱게 접을거야 새벽처럼 다가와서 태양처럼 타 올랐던 처음부터 지금까지 너를 모두 외우고 있는 내게 아직 난 아무것도 준비된게 없어 난 어떤 것도 이해할 수 없어 널 위해 내가 해줘야 할 것을 난 아무것도 준게 없는데 공항에 도착해서 다시 뛰어갔지 혼자서 올라가는 계단을 뛰어 올라갔지 너를 태운 비행기는 무릎 꿇은 날 남기고 세상 무너지는 소릴 내며 멀리 떠나가고 있었지 아직 널 사랑한단 말조차 못했어 넌 아무것도 듣지 못했잖아 날 떠난다고 이별이 아닌걸 넌 누구보다 잘 알고 있잖아 왜 바보처럼 떠나 버린거야 너 없는 세상 어떻게 살라고 날 정말 떠나버리려고 하면 우리 추억까지 가져가 버려 || }}} || === 누명쓴 아이 === ||
'''{{{#fff 누명쓴 아이}}}'''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22KXIoybD0)]}}} || || {{{#!folding [ 가사 ] ||
'''{{{#fff 누명쓴 아이}}}''' || || 믿을 수가 없었어 넌 아니라고 하지만 넌 이미 아무것도 모른채 넌 이 세상을 떠나버린 거야 금방이라도 내게 달려와서 장난치며 졸라댈 것 같은 네가 밤새 내린 빗속에 영문 모를 그 먼길을 가 버린거야 아니라고 제발 얘기 해줘 이렇게 헤어지면 안돼 그 누구도 대신해선 안돼 넌 너무 어리잖아 금방이라도 내게 달려와서 장난치며 졸라댈 것 같은 네가 밤새 내린 빗속에 영문 모를 그 먼길을 가 버린거야 아니라고 제발 얘기해줘 이렇게 헤어지면 안돼 그 누구도 대신해선 안돼 넌 너무 어리잖아 아니라고 제발 얘기해줘 이렇게 헤어지면 안돼 그 아이는 아직 내 곁에서 하얗게 웃어야 해 || }}} || '누명쓴 아이'는 1집 앨범에 써있기를, "[[아시아나항공 733편 추락 사고|1993년 7월 26일 16시 30분 목포공항에서 일어났던 아시아나 항공기 사고]]로 세상을 떠난 조카 희애와 이모님에게 이 노래를 바칩니다."라고 나와있다. === 비가 오는 거리에서 잠든다 === ||
'''{{{#fff 비가 오는 거리에서 잠든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wXBpbinddc)]}}} || || {{{#!folding [ 가사 ] ||
'''{{{#fff 비가 오는 거리에서 잠든다}}}''' || || 흔들리는 걸음은 어디로 가는지 내리는 빗물에 젖은채 잠에 취한 도시는 하루를 삼키고 허기진 내일을 꿈꾼다 아닌 사랑을 움켜쥐고서 내 삶들을 지켜왔지 거친 숨결쯤은 시간속에 묻은 채 내 무뎌지는 꿈을 먹고 검게자란 절망의 꽃들 비가 오는 거리에서 잠든다 나레이션) 1.헤어날 수 없을 것 같다 침몰을 기다려 왔는지도 모른다 어느새 목젖을 타고 다니는 뜨거운 불 한덩어리 끄고 싶다 입을 벌리고 하늘을 향한다 빗물이 벌떼처럼 달려든다 한참을 비바라기 하면 하늘로 오른다는 것도 알게 된다 가라앉은 하늘 한 귀퉁이속 음지에서 피어난 듯한 끈질긴 기억과 미련 그리고 한숨 2.어깨에 부딪히며 흩어지는 빗방울을 본다 나비가 되기도 하고 꽃잎이 되기도 한다 그 곱던 빗방울이 아스팔트에 모인다 검게 물들어 뒹구는 욕망의 파편처럼 그렇게 나도 검게 잠들려 한다 사람이 만들어 놓은 유리같은 아스팔트위에 || }}} || 노래 중간에 김경호의 나레이션이 나오는 독특한 곡이다.--다만 많이 오글거린다-- == 활동 == ||<-4>
'''{{{#ffffff KIM KYUNG HO 음악방송 활동}}}''' || || '''날짜''' || '''프로그램''' || '''링크''' || '''비고''' || || 1995.05.11 || SBS 점프챔프 || [[https://youtu.be/R0XRD-IXJrk|긴이별+마지막 기도]] || || || 1995.05.17[br]1995.11.04 || KBS 가요톱10 || [[https://youtu.be/K_F2YjtX0_I|마지막 기도,[br]쉿(운명)]] || || || 1995.07.23 || SBS TV가요 20 || [[https://youtu.be/5Kn7DnhrNcw|마지막 기도]] || || || 1995.08.17(추정)[* 8월인건 확실하고 [[목포문화방송]] 설립 27주년 특집 방송이므로 라디오 개국일인 1968년 8월 17일을 기준으로 추정.] || MBC 별이 빛나는 밤에 공개방송 || [[https://youtu.be/z5Qu0zFBwZs|마지막 기도]] || || || 1995 || KMTV 음악여행 || [[https://youtu.be/-xRLz4NsKeQ|마지막 기도]] || || || 1995 || KMTV 음악여행 || [[https://youtu.be/F_qDXZZflBc|마지막 기도]] || || || 1995 || Mnet || [[https://youtu.be/hzIM_9Zg9oU|마지막 기도]] || || || 1995 || Mnet || [[https://youtu.be/BqA6v3AjDI4&list=WL&index=2|긴 이별]] || || [[분류:김경호/음반]][[분류:1994년 데뷔 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