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중국 항공병기)] [[파일:external/thumbnail.egloos.net/f0205060_51b11f57d9843.jpg|width=1000]] [목차] == 개요 == 중국에서 [[KJ-2000]] 보조 및 해군항공대의 항공관제 등을 목적으로 개발한 [[공중조기경보통제기]]. 미국의 [[E-3]]와 [[E-2]]의 연계형태와 유사한 모델을 적용했다고 추정된다. == 제원 == || 최대 이륙중량 || 70톤 || || 전장 || 34.02m || || 전폭 || 38m || || 전고 || 11.6m || || 엔진 || 중국제 WJ-6 3,170kW (4,250hp) X4기 || || 작전속도 || 550km/h || || 최대항속거리 || 5,615km || || 최대운용시간 || 불명 || || 운용고도 || 10,400m || || 최대탐지거리 || 350~450km || || 최대관제 지속시간 || 불명 || || 승무원 || 5명 || || 조기경보관제요원 || 불명 || == 상세 ==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보다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에서 주로 사용되는 조기경보기로 알려진다. 실질적으로 해군용 조기경보통제기로 보는 성격이 강하다. 중국이 많이 운용하던 수송기인 [[An-12|Y-8]]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록히드 마틴]]의 기내 압력 조절 기술을 이전받았다. [[파일:external/thumbnail.egloos.net/f0205060_51b11f568f490.jpg]] [[레이더]]는 스웨덴 에릭슨의 에리아이[* 현재는 [[사브]]에 합병되어서 사브의 제품이 된다.] [[AESA]] 레이더를 사용한다. [[KJ-2000]]을 보좌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해군에서 운영할 때에는 KJ-2000의 공중지휘업무를 담당한다. 성능 한계가 있었는지 이후 개량형인 [[KJ-500]]을 내놓는다. 중국 해군은 KJ-200과는 별도로, 미 해군의 [[E-2]]를 모방한 항공모함 탑재용 조기경보통제기 [[KJ-600]]을 개발, 2020년대 실전 배치를 계획하고 있다. == 사건사고 == 2006년 6월 3일, 중국의 KJ-200 조기경보기가 추락했는데 사망자가 무려 40여명이나 되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10&aid=0000007895|관련기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10&aid=0000007895|관련기사]] 원래 그 정도 인원이 탑승하면 안 되지만 기술인력까지 탑승하여 시험운영을 하다가 난 사고다. 기체결함인지는 중국 당국이 밝히지 않았다. 특히 해당 사고책임 군구인 [[난징군구]]는 초기 보고에서 탑승인원을 축소하여 최대 정원인 29명으로 발표했다.[[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40&num=33878|관련정보]] 처음에는 대형 수송기 추락으로 발표를 했지만 외신은 [[KJ-2000]]으로 발표되기도 하는 등의 추측이 난무하다가 결국 KJ-200이라는 사실이 밝혀진다. [[분류:공중조기경보기]][[분류:항공 병기/현대전]][[분류:중국군/항공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