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러시아군의 미사일 전력)] [[파일:external/3.bp.blogspot.com/kh31.jpg]] '''Х-31''' Kh-31 [[나토 코드명]] AS-17 '[[크립톤|Krypton]]' Kh-31은 [[러시아 공군]]에서 사용하는 공대지 미사일이다. 대함, 대레이더, 심지어 공대공 버전도 있다. [[램제트 엔진]]을 장착하여 마하 2.5 ~ 4.5로 가속된다.[* 마하 4.5는 고고도 공대공 모드 한정.]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작 600kg짜리 소형이기 때문에 [[MiG-31]], [[F-4 팬텀 II]] 같은 초대형 [[전투기]]는 물론 [[Su-25]] 같은 소형 공격기나 [[Ka-52]] 같은 헬리콥터, 대형 무인기에도 장착이 가능하다. 사정거리는 80km~200km 내외로 일반적으로는 [[대함 미사일]]이지만 공대공 미사일, 대레이더 미사일, 또는 훈련형도 있다. || [[파일:F-4_launching_MA-31.jpg]] || || [[미국 해군]] 소속 [[F-4 팬텀 II|QF-4N]]에서 발사된 모습 || 참고로 [[미군]]에서도 사용한 적이 있다. MA-31이란 이름으로 훈련형 [[드론]]이 사용되었는데, 보통 공격용이 아니라 자국산 대공미사일 방어 테스트용으로 사용했다.[* [[RIM-8 탈로스|MQM-8]]을 대체할 예정이던 AQM-127 SLAT 프로그램이 엎어지자 정말 홧김에 지른 거에 가까운데 '''정말로 수출허가가 나버렸다.'''] 로켓 엔진과 동체만 미국에 수출한 다음 텔레메트리와 기타 항법장치는 맥도넬 더글러스가, 이후에는 보잉이 설치하는 방식으로 운용했다.[* 러시아 쪽이 자국산 초음속 대함미사일에 대한 방어 능력을 미국이 획득할까봐 종말 유도단계에서의 회피기동 기능을 삭제한 다음 미국에 수출한 것이라고 알려져 있었지만, 첫 계약 때부터 이런 식으로 판매되었다. 그나마도 러시아가 정말 알거지인 시절에나 소수 판매되었고, 잭팟이 터졌음을 직감한 미 해군이 추가 구매를 시도할 때 즈음 되면 러시아도 그나마 덜 쪼들리던 시절이라 러시아 하원이 단칼에 크립톤의 미국 수출을 틀어막았다. 미국 입장에서도 [[GQM-163 코요테]] 표적기의 개발이 잘 되고 있는 마당에 더 이상 팔지도 않는 Kh-31에 집착할 이유가 사라졌고, 결국 2007년 재고분까지 전부 소진하는 것으로 미군 내 운용은 종료.] ~~역시 [[다운그레이드]]수출은 소련시절부터 내려온 러시아의 전통인가 보다.~~[* 다운그레이드를 하는 이유 중 하나가 기술유출 방지인데 중동국가나 어지간한 서방국가에 무기를 넘겨도 기술이 유출될까 말까 걱정하는 판국에 자기들과 군사적으로 경쟁하고 적성국인 미국에 다운그레이드 안 하고 판매하면 그게 더 바보다.] 2022년 2월 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을 시작하며 우크라이나 상공에서 목표물을 향해 비행하는 Kh-31 여러발이 목격 및 촬영되었고 실제로 목표물을 타격한 06075 라는 넘버의 파편물이 촬영되었다. 영상에 의하면 우크라이나 군의 Prv-13, P-13, P-35, P-37 등의 이동형 레이더들을 매우 정교하게 파괴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의 방공망과 레이더망이 대체로 건재해 침공 초기에 우크라이나 영공으로 들어왔던 러시아 전투기들이 격추되는 성능과는 별개로 실전 운용법에선 아쉬운 모습을 보여줬다. [[분류:소련군/장비]][[분류:러시아군/미사일]][[분류:대함 미사일]][[분류:1988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