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해당 ICAO 코드를 사용하는 공항, rd1=시카고 오헤어 국제공항)] ||<-2>
{{{#White '''{{{+3 Kord}}}'''[br]''Пулемёт «Корд»''[br]''Kord 중기관총''}}}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20px-Kord_machine_gun_Interpolitex-2011_01.jpg|width=100%]]}}}|| || '''종류''' ||[[중기관총]] || || '''원산지'''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러시아]]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98년]]~현재 || || '''개발''' ||A.A. Namitulin[br]N.M. Obidin[br]Ju.M. Bogdanov[br] V.I. Zhirokhin || || '''개발년도''' ||[[1990년대]] || || '''생산''' ||[[덱탸료프#덱탸료프 공장|덱탸료프 공장]] || || '''생산년도''' ||[[1998년]]~현재 || || '''사용국'''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러시아]][br][[파일:시리아 국기.svg|width=23]] [[시리아]][br][[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3]] [[핀란드]] || || '''사용된 전쟁''' ||[[제2차 체첸 전쟁]][br][[남오세티야 전쟁]][br][[돈바스 전쟁]][br][[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2> {{{#White '''기종'''}}} || || '''파생형''' ||6P50-1[br]6P50-2[br]6P50-3[br]6P49 || ||<-2> {{{#White '''제원'''}}} || || '''탄약''' ||[[12.7×108mm]] || || '''급탄''' ||50발들이 탄띠[br]150발들이 탄띠 (전차용) || || '''작동방식''' ||가스 작동식[br]회전 노리쇠 방식 || || '''전장''' ||1,980mm (6P50)[br]1,625mm (6P49) || || '''중량''' ||25.5kg (6P50)[br]32kg (6P50-1)[br]60kg (6P50-2)[br]80kg (6P50-3)[br]27kg (6P49) || || '''발사속도''' ||650~750RPM || || '''탄속''' ||860m/s || || '''유효사거리''' ||2,0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5ZHZFCnYlJU)] Kord [[중기관총]] ([[러시아어]]:Пулемёт «Корд»:Ковровские ОРужейники Дегтярёвцы의 줄임말) 1998년에 [[러시아]]가 제식으로 채용한 구경 [[12.7mm]]의 [[중기관총]]이다. == 상세 == [[소련]]때는 [[NSV]] [[중기관총]]이 차량탑재용 중기관총으로 사용되고 있었고, 그 생산 공장은 [[카자흐스탄]]에 존재하고 있었다. [[1991년]] 소련 붕괴로 카자흐스탄이 독립하자 러시아에게 NSV 중기관총 및 그 부품의 공급이 차질을 빚게 되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 러시아는 신형 보병 지원, 차량, 대공용 [[12.7mm]] 중기관총의 설계를 하고 1998년에 제식 채용했다. Kord 중기관총의 생김새는 전에 있던 [[NSV]] 중기관총과 비슷하지만, 볼트의 잠금장치가 수직 틸트식에서 회전식으로 변경되거나 가스압 작동기구가 변경되는 등 내부 구조가 크게 달라졌고, 동시에 소염기와 개머리판의 어깨 받침대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외형상의 특징이다. 이러한 개량으로 NSV 중기관총에 비해 크게 반동이 감소되었기에 매우 높은 명중률을 가지고, 원거리 저격 능력도 강화되었다. [[파일:ComfortableSaneEsok-size_restricted.gif]] 그러면서도 소련, 러시아제 무기의 전통에 따라 좋은 신뢰성을 가지고 있다. 12.7mm 구경의 중기관총치고는 무게가 비교적 가벼운지라 보병용 다목적 기관총마냥 삼각대가 아닌 평범한 양각대를 달고 도수운반을 하다 대충 거치하고 사격하는 식으로 운용이 가능하다. 물론 위 움짤처럼 들고 쏘는건 퍼포먼스일 뿐 실전성은 없다. [[NSV]] [[중기관총]]을 베이스로 설계했기에 Kord 중기관총도 우측으로 탄피를 배출하는데,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먼저 탄환을 발사하고 노리쇠가 후퇴하는데, "ㅅ"--알파카--모양 탄피밀대가 노리쇠 뒷부분에 걸리며 탄피를 탄피배출구쪽으로 밀어낸다. 그리고 차탄을 챔버링하기 위해 노리쇠가 전진하는데, 이때 탄피도 앞으로 밀리면서 탄피가 배출된다. 그리고 새 탄약이 발사되며 이과정이 반복된다. 방아쇠를 놓으면 노리쇠가 후퇴했다가 약간 전진하면서 시어에 걸리는데, 이때 노리쇠의 관성으로 탄피가 배출된다. == 파생형 == * '''6P49''' [[파일:6p49_kord.png]] 일반적인 차량형으로 전술차량 화기나 T-72B3, T-90A 등 주력전차 대공기관총으로 탑재된다. 보병형과 달리 전용 마운트에 거치되어 견착대가 없고 수동 격발이 아닌 6U37 솔레노이드로 정기적 신호로 격발되기 때문에 전차장 조준경 전동손잡이 또는 별도의 방아쇠로 격발된다. * '''6P49MT''' [[파일:krdmt_01.jpg]] [[T-90]] 전차 현대화 개량형 T-90M의 [[RWS]]이다. * '''6P5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20px-Kord_machine_gun_Interpolitex-2011_01.jpg]] 일반적인 보병형으로 견착대와 양각대가 있으며 초기형 T-90A 전차 등 6P49 대신 6P50을 견착대 제거 없이 그대로 탑재한 기갑차량도 일부 보인다. * '''6P51''' [[파일:Kord 6P51.jpg]] [[T-64]], [[T-72]], [[T-80]], [[T-90]] 등 주력전차에 장착 가능한 공축형으로 PKT 공축기관총이 달린다면 얼마든지 장착이 가능하다. 6P49와 같이 6U37 솔레노이드로 포수 조준경 전동손잡이로 격발되며 차량형이나 보병형과 달리 왼쪽에서 급탄하고 앞쪽으로 탄피를 배출한다.[* 여담으로 [[배틀필드 3]]와 [[배틀필드 4|4]]에서 T-90이면서 T-90A라고 우기는 차량의 공축 중기관총을 장착했을때 나오는 기관총이 이것이다.][* [[파일:1671020399877.jpg]]T-90에 장착시 모습. 참고로 촬영 게임은 배틀필드 4이며, 맵은 [[배틀필드 4/맵#s-3.1.|실크 로드]]이다.] 2006년 이후부터 러시아군에서는 운용하지 않는다. * '''6P57''' (구 6P50-1) [[파일:kord_6p57_heavy_machine_gun_by_surood_d5txbmt-350t.jpg]] 보병용으로 6T19 양각대를 사용한다. 6T19는 +/-15°만큼의 범위 조정이 가능하다. * '''6P58''' (구 6P50-2) 보병형으로 6U16 거치대를 사용한다. * '''6P59''' (구 6P50-3) 6U16 거치대에 거치해 사용하며, 오른쪽으로 탄피를 배출한다. * '''6P60''' 보병용으로 6T20 양각대를 사용한다. ==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 * 플래시 게임인 "끝없는전쟁"에서 등장한다. 끝없는전쟁2 대테러캠페인 마지막 미션에서 러시아 해군 보병대가 테러리스트들을 섬멸하기 위해 14.5mm 사양의 Kord를 들고나온다. * [[배틀필드 시리즈]] * [[배틀필드 배드 컴퍼니 2]] - '''KORD 중기관총'''으로 등장한다. * [[배틀필드 4]] - '''.50 CAL'''이라는 명칭으로 등장한다. 지상 설치형, 전차및 장갑차, 경장갑 RWS버전도 있고 고기동차량 버전도 있다. * [[소녀전선]] - 2019년 여름 대형 이벤트인 [[연쇄분열]]에서 [[Kord(소녀전선)|5성 기관총]]으로 공개되었다. * [[워 썬더]] - T-90A와 T-72B3의 상부기관총으로 6P50이 나온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러시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아르메니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시리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기관총]][[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러시아군/장비]][[분류:ZiD]][[분류:1998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