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유튜버, rd1=레게노(인터넷 방송인))]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우왁굳/밈)] [include(틀:우왁굳)]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geno.jpg|width=100%]]}}} || || [[왁트모르즈비]]에 구현된 [[원 아워 원 라이프]] 건축물 || [목차] == 개요 == {{{+3 '''LEGENO | 레게노'''}}} [[레전드(은어)|레전드]]를 뜻하는 인터넷 신조어. 초성으로 줄여 'ㄹㄱㄴ'라고 쓰이기도 한다. == 유래 == ||<-2>{{{#!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vQfgx8m3o8M,start=244)]}}}|| [[트위치]] [[스트리머]] [[우왁굳]]의 [[마인크래프트]] 콘텐츠 [[왁트모르즈비]] 방송 중 피곤했던 우왁굳이 아내 [[김수현(방송인)|엔젤님]]에게 방송을 잠시 넘겼는데 엔젤님이 건축물에 쓰여진 '레전드(LEGEN'''D''')'를 '레제노(LEGEN'''O''')'로 잘못 읽었던 것에서 유래되었다. 정확히는 '레전드'를 [[재플리시]]처럼 '레잔도'로 써대는 우왁굳[* 일본 유학 경험 때문인지 일본식으로 말하기도 한다. 정작 실제 일본에선 레전드를 레'''젠'''도(レジェンド)라고 읽는다.] 때문에 버릇이 되어서 레전드에 'O'가 포함된 줄 알고 혼동한데서 비롯되었다. 이후 레전드의 [[이음동의어]]로써 우왁굳 스트리밍에서만 사용되었다가, 특유의 어감 덕분에 여러 트위치 스트리머 방에서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레전드\'''' → ''''레게노\''''와 같은 [[이음동의어]]가 인터넷에 퍼지게 되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우왁굳/밈, version=370)] == 유행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creenshot_20200308-024142_YouTube.jpg|width=4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GENO.png|width=400]]}}} || 우왁굳과 前 왁카데미 유튜브 채널을 시작으로 댓글창에 'LEGENO'라는 댓글이 많은 추천 수를 받은 이후 철자가 비슷한 단어로 형태를 바꾸는 드립이 유튜브 시청자들 사이에서 유행하게 되었다. 단어 양 끝에 쌍따옴표를 붙이고 영어 대문자로 비슷한 단어를 쳐서 그 단어만 올리는 것. 그런데 이것이 우왁굳과 연관이 있거나 [[침팬치|팬치]]를 인증한 유튜버들의 댓글에까지 퍼져나가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이후 시작만 우왁굳 방송일 뿐 사실상 분리된 밈이 되었으며 우왁굳 본인도 "레게노는 나의 손을 떠났다. 레게노를 쓴다고 두노왁[* 두유 노 왁굳]을 하거나 굳이 물어보지도 않았는데 어원을 설명하거나 그러지 마라."라고 할 정도. 현재는 [[알잘딱깔센]]과 함께 우왁굳 방송에서 시작한 유행어로써 당당히 [[인싸]] 용어에 들어갔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ㄹㄱㄴ1.jpg|width=3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00308_023014.jpg|width=3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creenshot_20200308-023127_NAVER.jpg|width=300]]}}} || 우왁굳의 팬 카페인 [[왁물원]]은 크게 "우리도 이제 인싸다', '우리 내수용 유행어 뺏겼다'라는 반응이 주를 이루었다. 2020년 4월 28일 [[치킨매니아]]에서 이 유행어에서 딴 레게노 치킨이 출시되기도 했다. 2020년 4월에 정발한 일본의 만화 [[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의 14권 번역 중에 [[https://gall.dcinside.com/m/kaguya/63606|레게노가 들어가 있기도 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우왁굳/밈, version=370)] == 오해 == 레게노가 유튜브 댓글 등을 통해 마구잡이로 퍼져서 유래에 대해 궁금증을 가지거나 자신이 제일 먼저 본 곳을 유래라고 생각하는 이들도 있다. 개중에는 이상한 뜻으로 추측하거나 고집을 굽히지 않고 [[침팬치|팬치]]들과 [[키보드 배틀|키배]]를 벌이기도 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File-44.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creenshot_20200614-231519_Chrome.jpg|width=100%]]}}} || [[노(유행어)|단어가 '노'로 끝나서]] [[일베저장소|일베]] 용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노? 신고합니다|'노'로만 끝나면 무조건 일베 드립]]이라는 생각에서 비롯된 폐해라고 볼 수 있다. == 변형 == [[진자림]] 방에서 'ON AIR'를 좌우반전시켜 읽은 '리아노'라는 레게노의 변종이 나오기도 했다. [[철구(인터넷 방송인)|철구]]가 '레게년', '레게련'이라는 레게노의 변형을 [[철구(인터넷 방송인)/유행어와 관용어|사용하여]] [[아프리카TV/방송 용어|아프리카TV 전역에 퍼트렸다.]] 대략 '이 새끼 레전드네'라는 의미. == 기타 == 2020년도 중반즈음에 유행어로서의 생명력이 끝났다. 우왁굳 팬커뮤니티 외부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편.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creenshot_20201115-022547_Naver Cafe.jpg|width=50%]]}}} || 2020년 11월에 [[김흥국]]이 [[형이 왜 거기서 나와|'REGENO' 티셔츠를 출시하였다.]][*우왁굳반응 [[파일:Screenshot_20201115-022520_Naver Cafe.jpg|width=30%]]] [[분류:우왁굳]][[분류:트위치/밈]][[분류:인터넷 방송/밈/대한민국]][[분류:마인크래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