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쯔꾸르 시리즈)] ||<-5> '''{{{#white LISA 시리즈}}}''' || || [[LISA: The First]] || → || [[LISA: The Painful RPG]] || → || [[LISA: The Joyful]] || ||<-2> '''{{{#ffffff LISA: The First}}}''' || ||<-2> [[파일:external/rpgmaker.net/5fdfbfffa06958d2e2f984b9ba22bd809d2ad25d.png]] || || '''개발''' || Dingaling Productions || || '''엔진''' || [[RPG 쯔꾸르 2003]] || || '''플랫폼''' || [[Windows]], [[OS X]], [[Linux]] || || '''출시일''' || 2012년 10월 9일 || || '''장르''' || [[호러 게임]], [[어드벤처 게임|어드벤처]] || || '''링크''' || [[http://rpgmaker.net/games/4412/|원문판]][br][[https://blog.naver.com/jd3842/220483252299|번역판]] || [목차] == 개요 == >'''Uncover the past of a lonely and conflicted young girl.''' >'''Travel through an unknown, but yet familiar world.''' >'''Discover the demons that haunt her well being. ''' >외롭고 고통받는 어린 소녀의 과거를 밝혀라.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럼에도 익숙한 세계를 지나라. >그녀의 평안을 방해하는 악마를 찾아라.[* rpgmaker에 적힌 게임에 대한 설명이다.] [[RPG 쯔꾸르 2003]]으로 개발된 인디게임으로 rpgmaker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2012년 10월 9일 출시가 되었다. LISA 삼부작의 첫번째로 타작품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리사'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여기서 마티가 리사에게 어떤 존재였고 리사가 어떤 선택을 했는지 간접적으로 추론할 수 있게 한다. == 상세 == The Painful과 The Joyful의 횡스크롤 형식이 아닌 평면 형태의 게임으로 [[유메닛키]] 같이 순전히 어드벤처의 형식을 취하고 있고. LISA 시리즈의 특징인 잔혹함과 기괴스러운 디자인이 드러난다.[* 유메닛키가 나온 김에 서로 비쥬얼을 비교하자면 유메닛키는 기괴하고 다소 불쾌감을 줄 수도 있지만 익숙해질수록 서정적이고 예쁘기도 하다면, 리사는 '''그냥 기괴하고 불쾌감이 든다.''' 과장이 아니라 정말로. 토사물로 추정되는 것에 뒤덮인 집들과 그안에서 버글대는 얼굴이 변형된 마티들은 보고 잊기가 힘들 듯.] 후속작에 비해 퀄리티가 많이 떨어지고 싸우는 장면이 없는 [[어드벤처 게임]]이라서인지[* 단지 가끔씩 쫒아오는 마티를 피해서 도망쳐야 한다는 것밖에 없다.] 국내 인지도는 아주 적은 편이다. 그런지 기타 포털 사이트에서 LISA 게임을 치면 대개 The Painful, The Joyful의 정보밖에 나오지 않는다. 그 탓에 LISA가 1부작 또는 2부작이라고 아는 사람도 많은 듯. 후속작들과 마찬가지로 비공식 [[한글화]]가 이루어져 언어의 압박을 느낄 걱정은 없다.[[https://blog.naver.com/jd3842/220483252299|#]] 만약 "The RPG Maker 2003 Runtime Package is not present or not registered."라는 오류가 뜰 경우 게임 폴더의 RPG_RT.ini 파일을 열고 FullPackageFlag=1를 넣어주면 된다. 한글판의 경우 최신 PC에서는 폰트가 이상하게 나오는 문제가 있는데, 해결 방법은 [[RPG 만들기 2003]] 항목 참고. == 스토리 == [[막장부모]]인 마티의 밑에서 항상 갇혀서 사는 리사는 마티의 눈을 피해서 밖으로 빠져나온다. 그런데 숲의 끝에서 있는 것은 붕괴되어있는 왜곡된 세상이었다. == 등장인물 == * [[리사 암스트롱]](Lisa Armstrong)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Lisa_Bio.png]] 주인공. * [[마티 암스트롱]](Marty Armstrong)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Marty_First_Bio.png]] * 트릭키 릭(Tricky Rick)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1372812414766.png|width=150]] 리사와 마티를 제외하고 나오는 유일한 NPC로 리사에게 중간중간에 말을 건네면서 그녀에게 정보를 준다. 남성의 성기와 흡사한 모습을 하고 있으며 리사에게 간간히 하는 대사들로 마티가 리사에게 어떤 학대를 했는지 유추해볼 수 있다. >넌 날 잘 알고 있어 >[[성폭행|난 동굴을 탐험하는 걸 좋아하지]] >[[펠라치오|넌 날 삼켜야 해]] == 엔딩 == [include(틀:스포일러)]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First_End_Marty.png]] * 노멀 엔딩 마지막 맨션에서 마티가 그냥 말을 계속하도록 내버려두면 볼 수 있는 엔딩으로 마티의 말과 함께 배경이 붉은 마티들로 둘러싸인 것으로 변하고 게임이 끝난다. >아직도 이해하지 못한 거니? 네가 잊을 수 있을거라 생각했어? >뭐하러 그리 힘들게 노력하는 거야? >받아들여... >이미 일어난 일은 네가 어찌 할 수 있는 게 아냐... >그것엔 이해도 목적도 없어... >오직 '삶'뿐이야. 그리고 그 '삶'은 네 것이고... >받아들여... >'''나는 여기 있을테니.''' 이 이후 화면엔 "The end" 라는 문구가 뜨며, 리사는 방에서 어떤 행위도 할 수 없고 아무리 이동을 해도 계속 똑같은 화면만 나온다. 마티에게 완전히 속박당한 듯하다.[* (조이풀 스포주의) [[LISA: The Joyful#s-5.2]] 항목 참조.]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First_Mom.png]]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Lisa_Mom_Wtf.png]] * 진실 엔딩 백색방에서 비디오 테이프를 찾은 다음 사용하면 다른 방으로 이동을 한다. 이 방에서 리사는 한 사람과 조우를 하게되는데, 그 사람에게 접근하면 다음과 같은 대사가 출력된다. [* 뒤돌아서 리사를 바라보는데 마티와 닮은 얼굴을 하고있다.] >리사........너니? 리사...... 미...미안ㅎㅐ... 미...이안 ㅎㅐ애... >''리이이이이이이이사아아... 난..,.떠ㄴㅏ고 싶ㅈㅣ ....않,..,.,ㄴㄴㄴㄴㄴ 았어.,,.,..,.,.,'' >''리이이이사아아. 난...죽고 ,,,,.,싶..,.지 않.,.,았ㅇㅓ..,리이사... 난...널..ㅅㅏ랑해. '' >(리사가 남성에게서 도망침) >''가아아아지 마아아!! .'' >''너어는 할 수 없어...'' >'''넌 도망칠 수 없어...''' 여기서 이 사람이 누구인지 정확히 밝혀진 것은 없지만, 현재 팬덤에선 이 사람이 '''리사의 어머니'''라는 것과 리사의 오빠인 '''브래드 암스트롱'''이라는 것으로 갈리는 중이다. 노멀 엔딩과는 다르게 이 엔딩에선 마지막에 "The end"가 아닌 "Game over" 라는 문구가 뜬다. [[분류:LISA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