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LJL 역대 대회)] ---- ||<-5> [[파일:LJL_2020_white.png|width=30]] '''{{{#white 역대 LJ League 일람}}}''' || || [[DetonatioN FocusMe]] || {{{+1 →}}} || [[DetonatioN FocusMe]] || {{{+1 →}}} || [[V3 Esports]] || || [[LJL 2019 Summer Split]] || {{{+1 →}}} ||<#FFFF00> '''LJL 2020 Spring Split''' || {{{+1 →}}} || [[LJL 2020 Summer Split]] || [목차] == 개요 == * 우승팀: [[DetonatioN FocusMe]] * 준우승팀: [[Sengoku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Sengoku Gaming]] * 리그기간: 2020년 2월 8일 ~ 5월 4일[*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해 4월 25일 예정이었던 플레이오프 3라운드를 5월 3일, 4월 26일 예정이던 결승전을 5월 4일로 변경해 무관중으로 실시한다고 한다.] * 운영사: [[요시모토흥업]], 플레이브레인 * 경기장: 요시모토∞홀 (시부야) , 쿨 재팬 파크 오사카 WW홀 (오사카) * 특이사항: 라이엇 재팬에 의한 USG의 퇴출 및 해체 그리고 소프트뱅크 게이밍의 참가 및 모든팀들의 크고 작은 선수변동이 있었고 플레이오프 방식이 [[LEC]]식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바뀌었다. == 참가팀 정보 == ||
<-8>
{{{#!wiki style="margin: -10px -10px" ||
<)>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파일:LJL_2020_white.png|height=60]]]] ||<(> [[LJL 2020 Spring Split|{{{#FFF '''LJL 2020[br]Spring Split'''}}}]][br]{{{+1 [[틀:LJL 참가팀|{{{#FFF '''참가팀'''}}}]]}}} || }}} || ||<#ffffff><-2><:> [[파일:DFM 로고 (2016-2022).svg|width=100]] ||<#ffffff><-2><:> [[파일:300px-V3_esportslogo_square.png|width=100]] ||<#ffffff><-2><:> [[파일:300px-Crest_Gaminglogo_square.png|width=100]] ||<#ffffff><-2><:> [[파일:Burning_Corelogo_square.png|width=100]] || ||<:><-2> [[DetonatioN FocusMe]] ||<:><-2> [[V3 Esports]] ||<:><-2> [[Crest Gaming Act]] ||<:><-2> Burning Core ­|| ||<#ffffff><:><-2> [[파일:Sengoku_Gaming_logo.png|width=120]] ||<:><#ffffff><-2>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130px-Rascal_Jesterlogo_square.png|width=100]] ||<:><-2><#ffffff> [[파일:a3894e1189be2a826f799d3e5bc52fdc67a21b09.png|width=100]] ||<#ffffff><-2><:> [[파일: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로고.svg|width=100]] || ||<:><-2> [[Sengoku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Sengoku Gaming]] ||<:><-2> Rascal Jester ||<:><-2> AXIZ ||<:><-2> Fukuoka[br]SoftBank Hawks[br]gaming || == 정규시즌 순위 == ||<-5><#ed1b30>
<:> '''{{{#white LJL 2020 Spring Split}}} {{{#white 정규시즌 순위표}}}''' || ||<:> 순위 ||<:> 팀 명 ||<:> 승 ||<:> 패 ||<:> 비고 || ||<#97ecab><:> '''1''' ||<:> '''DetonatioN FocusMe''' ||<:> 12 ||<:> 2 ||<:> 우승 || ||<#97ecab><:> '''2''' ||<:> '''Sengoku Gaming''' ||<:> 9 ||<:> 5 ||<:> 준우승 || ||<#ccffcc><:> '''3''' ||<:> '''V3 Esports''' ||<:> 8 ||<:> 6 ||<:> || ||<#ccffcc><:> '''4''' ||<:> '''Rascal Jester''' ||<:> 7 ||<:> 7 ||<:> || ||<#ccffcc><:> '''5''' ||<:> '''AXIZ''' ||<:> 6 ||<:> 8 ||<:> || ||<#ccffcc><:> '''6''' ||<:> '''Crest Gaming Act''' ||<:> 5 ||<:> 9 ||<:> 타이브레이커 승리|| ||<#FFFF99><:> '''7''' ||<:> '''Burning Core''' ||<:> 5 ||<:> 9 ||<:> 타이브레이커 패배|| ||<#FFFF99><:> '''8''' ||<:> '''Softbank Hawks Gaming''' ||<:> 4 ||<:> 10 ||<:> || ||<-5><:> {{{-2 • 초록색: 준결승 직행 | 연두색: 플레이오프 진출 | 노란색: 진출 실패 | 볼드체: 순위 확정}}} || == 플레이오프 == 플레이오프는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된다. === 1라운드 === ==== 1경기 ==== ||<-12><:><#ed1b30> '''{{{#white 플레이오프 1경기 (2020. 03. 21)}}}''' || ||<#000><-5><:> '''{{{#99CC00 V3 Esports}}}''' ||<:><|2> '''3''' ||<:><|2> 0 ||<#00008B><-5><:> '''{{{#eac801 AXIZ}}}''' || ||<:> ○ ||<:> ○ ||<:> ○ ||<:> - ||<:> - ||<:> × ||<:> × ||<:> × ||<:> - ||<:> - || ||<-5><#fff> '''2라운드 진출''' ||<-2><#ed1b30> '''{{{#fff 결과}}}''' ||<-5><#fff> 탈락 || 3위인 V3가 5위인 AXIZ를 선택하였다. 대체적으로 V3가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었고 AXIZ는 유리한 상황에서도 자기들 손으로 게임을 던지며 3대0으로 대패했다. ==== 2경기 ==== ||<-12><:><#ed1b30> '''{{{#white 플레이오프 1경기 (2020. 03. 21)}}}''' || ||<#836ea9><-5><:> '''{{{#FFF Rascal Jester}}}''' ||<:><|2> 2 ||<:><|2> '''3''' ||<#0000FF><-5><:> '''{{{#FFF Crest Gaming Act}}}''' || ||<:> ○ ||<:> × ||<:> × ||<:> ○ ||<:> × ||<:> × ||<:> ○ ||<:> ○ ||<:> × ||<:> ○ || ||<-5><#fff> 탈락 ||<-2><#ed1b30> '''{{{#fff 결과}}}''' ||<-5><#fff> '''2라운드 진출''' || === 2라운드 === ==== 1경기 ==== ||<-12><:><#ed1b30> '''{{{#white 플레이오프 1경기 (2020. 03. 28)}}}''' || ||<#00ABDB><-5><:> '''{{{#312927 DetonatioN[br]FocusMe}}}''' ||<:><|2> 2 ||<:><|2> '''3''' ||<#c8161d><-5><:> '''{{{#FFF Sengoku Gaming}}}''' || ||<:> × ||<:> ○ ||<:> ○ ||<:> × ||<:> × ||<:> ○ ||<:> × ||<:> × ||<:> ○ ||<:> ○ || ||<-5><#fff> 3라운드 진출 ||<-2><#ed1b30> '''{{{#fff 결과}}}''' ||<-5><#fff> '''결승전 진출''' || ==== 2경기 ==== ||<-12><:><#ed1b30> '''{{{#white 플레이오프 1경기 (2020. 03. 29)}}}''' || ||<#000><-5><:> '''{{{#99CC00 V3 Esports}}}''' ||<:><|2> '''3''' ||<:><|2> 2 ||<#0000FF><-5><:> '''{{{#FFF Crest Gaming Act}}}''' || ||<:> × ||<:> × ||<:> ○ ||<:> ○ ||<:> ○ ||<:> ○ ||<:> ○ ||<:> × ||<:> × ||<:> × || ||<-5><#fff> '''3라운드 진출''' ||<-2><#ed1b30> '''{{{#fff 결과}}}''' ||<-5><#fff> 탈락 || === 3라운드 === ||<-12><:><#ed1b30> '''{{{#white 준결승전 (2020. 05. 03.)}}}''' || ||<#00ABDB><-5><:> '''{{{#312927 DetonatioN[br]FocusMe}}}''' ||<:><|2> '''3''' ||<:><|2> 1 ||<#000><-5><:> '''{{{#99CC00 V3 Esports}}}''' || ||<:> ○ ||<:> × ||<:> ○ ||<:> ○ ||<:> - ||<:> × ||<:> ○ ||<:> × ||<:> × ||<:> - || ||<-5><#fff> '''결승전 진출''' ||<-2><#ed1b30> '''{{{#fff 결과}}}''' ||<-5><#fff> 탈락 || === 결승전 === ||<-12><:><#ed1b30> '''{{{#white 결승전 (2020. 05. 04)}}}''' || ||<#c8161d><-5><:> '''{{{#FFF Sengoku Gaming}}}''' ||<:><|2> 1 ||<:><|2> '''3''' ||<#00ABDB><-5><:> '''{{{#312927 DetonatioN[br]FocusMe}}}''' || ||<:> × ||<:> × ||<:> ○ ||<:> × ||<:> - ||<:> ○ ||<:> ○ ||<:> × ||<:> ○ ||<:> - || ||<#C0C0C0><-5> 준우승 ||<-2><#ed1b30> '''{{{#fff 결과}}}''' ||<#FFD700><-5> '''우승''' ||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 영향으로 인해 결승전은 무관중으로 진행되며. 정규시즌 1, 2위 팀의 매치업이 당연하듯이 결정됐다. 바로 직전 1라운드에서 승리한 Sengoku Gaming의 경우 미드라이너와 정글러의 플레이를 중점으로 할 것으로 예상되며, DetonatioN FocusMe는 3라운드에서도 정글러의 불안한 모습이 자주 연출되어 우승을 위해서는 이를 빠르게 해결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 1세트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Sengoku Gaming, redteam=DetonatioN FocusMe, d_blueban1=세트(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1=sett, d_blueban2=레넥톤, p_blueban2=renekton, d_blueban3=직스, p_blueban3=ziggs, d_blueban4=나르(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4=gnar, d_blueban5=신드라, p_blueban5=syndra, d_redban1=바루스(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1=varus, d_redban2=그레이브즈, p_redban2=graves, d_redban3=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3=leblanc, d_redban4=조이(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4=zoe, d_redban5=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5=viktor, d_bluepic1=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1=jayce, d_bluepic2=트런들, p_bluepic2=trundle, d_bluepic3=아지르, p_bluepic3=azir, d_bluepic4=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4=missFortune, d_bluepic5=쓰레쉬, p_bluepic5=thresh, d_redpic1=아트록스(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1=aatrox, d_redpic2=킨드레드, p_redpic2=kindred, d_redpic3=하이머딩거, p_redpic3=heimerdinger, d_redpic4=아펠리오스, p_redpic4=aphelios, d_redpic5=유미(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5=yuumi )] ||<:><#03181E>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FFF '''드래곤'''}}}]] || ||<#FFF,#000>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s-2.1|[[파일:Ocea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Infernal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Cloud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Locked_Dragon_buff.png|width=25]]]] || DFM은 먼저 유토리모야시의 포킹 바루스를 봉인하고, 블랭크의 트런들 선픽을 예상했듯 카운터로 킨드레드 픽을 가져오며 밴픽에서부터 우위를 가져왔고, 이에 SG도 피지컬은 크게 밀리지 않으며 피레안이 미드 솔킬을 내는 등 좋은 플레이를 보여주었으나, 후반부로 가면서 DFM이 아펠 유미 조합의 강점을 이용해 게임을 가져갔다. 블랭크는 초반까진 일체정스러운 모습을 보였지만 드래곤 한타에서 어이없이 참패한 이후부터 정상적인 기량을 발휘하지 못 했고, 마치 16년의 블랭크와 스코어의 구도가 된 것처럼 스틸이 죽을듯 하면 양의 안식처 활용으로 얄밉게 살아나가는 모습을 연거푸 지켜보면서 발만 동동 구르는 등 같은 팀원들과 함께 고통받았다. ==== 2세트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Sengoku Gaming, redteam=DetonatioN FocusMe, d_blueban1=세트(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1=sett, d_blueban2=유미(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2=yuumi, d_blueban3=엘리스(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3=elise, d_blueban4=하이머딩거, p_blueban4=heimerdinger, d_blueban5=신드라, p_blueban5=syndra, d_redban1=바루스(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1=varus, d_redban2=그레이브즈, p_redban2=graves, d_redban3=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3=leblanc, d_redban4=조이(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4=zoe, d_redban5=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5=viktor, d_bluepic1=아트록스(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1=aatrox, d_bluepic2=트런들, p_bluepic2=trundle, d_bluepic3=코르키, p_bluepic3=corki, d_bluepic4=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4=missFortune, d_bluepic5=쓰레쉬, p_bluepic5=thresh, d_redpic1=나르(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1=gnar, d_redpic2=킨드레드, p_redpic2=kindred, d_redpic3=아지르, p_redpic3=azir, d_redpic4=아펠리오스, p_redpic4=aphelios, d_redpic5=블리츠크랭크, p_redpic5=blitzcrank )] ||<:><#03181E>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FFF '''드래곤'''}}}]] || ||<#FFF,#000>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s-2.1|[[파일:Mountai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Infernal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Cloud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Locked_Dragon_buff.png|width=25]]]] || ==== 3세트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DetonatioN FocusMe, redteam=Sengoku Gaming, d_blueban1=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1=leblanc, d_blueban2=유미(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2=yuumi, d_blueban3=조이(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3=zoe, d_blueban4=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4=viktor, d_blueban5=오른, p_blueban5=ornn, d_redban1=바루스(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1=varus, d_redban2=그레이브즈, p_redban2=graves, d_redban3=트런들, p_redban3=trundle, d_redban4=엘리스(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4=elise, d_redban5=킨드레드, p_redban5=kindred, d_bluepic1=나르(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1=gnar, d_bluepic2=세트(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2=sett, d_bluepic3=아지르, p_bluepic3=azir, d_bluepic4=아펠리오스, p_bluepic4=aphelios, d_bluepic5=카르마(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5=karma, d_redpic1=아트록스(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1=aatrox, d_redpic2=자르반 4세, p_redpic2=jarvanIV, d_redpic3=직스, p_redpic3=ziggs, d_redpic4=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4=missFortune, d_redpic5=쓰레쉬, p_redpic5=thresh )] ||<:><#03181E>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FFF '''드래곤'''}}}]] || ||<#FFF,#000>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s-2.1|[[파일:Infernal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Ocea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Mountai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Mountain_Dragon_Soul_buff.png|width=25]]]] || 초반에 압도적인 우세를 가져갔던 SG였지만 DFM이 중후반 바텀 억제기 수비전에서 에비의 나르 3인궁에 힘입은 항전으로 SG를 격퇴하고, 이후 미드 지역 세로스+에비의 기가막한 합작 이니시로 DFM이 한타를 대승하며 게임이 비벼지고 양 팀이 넥서스 앞까지 진격했다가 상대의 거센 저항에 패퇴하고 물러나는 그림이 3번이나 나오는 등 엄청난 ~~그리고 어이없는~~ 명경기 끝에 마지막 넥서스 실피를 남기고 DFM을 모두 때려잡고 에이스를 띄운 SG가 미드로 돌진하여 승부를 4세트로 미워둔다. 양 팀의 경기 질을 논하길 떠나서 DFM이 게임을 비빈 순간부터 피말리는 듯한 역전에 재역전이 거듭되는 등 재미만 따지면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6주차(1라운드)/45경기#s-3.3|2017 LCK SKT vs KT의 3세트 경기]]를 연상시킬만큼 엄청난 몰입감을 주었다. ==== 4세트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Sengoku Gaming, redteam=DetonatioN FocusMe, d_blueban1=유미(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1=yuumi, d_blueban2=아펠리오스, p_blueban2=aphelios, d_blueban3=트런들, p_blueban3=trundle, d_blueban4=마오카이, p_blueban4=maokai, d_blueban5=, p_blueban4=maokai, d_blueban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5=nautilus, d_redban1=바루스(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1=varus, d_redban2=그레이브즈, p_redban2=graves, d_redban3=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3=leblanc, d_redban4=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4=viktor, d_redban5=조이(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5=zoe, d_bluepic1=아트록스(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1=aatrox, d_bluepic2=자르반 4세, p_bluepic2=jarvanIV, d_bluepic3=아지르, p_bluepic3=azir, d_bluepic4=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4=missFortune, d_bluepic5=쓰레쉬, p_bluepic5=thresh, d_redpic1=오른, p_redpic1=ornn, d_redpic2=판테온(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2=pantheon, d_redpic3=직스, p_redpic3=ziggs, d_redpic4=세나(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4=senna, d_redpic5=탐 켄치, p_redpic5=tahmKench )] ||<:><#03181E>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FFF '''드래곤'''}}}]] || ||<#FFF,#000>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s-2.1|[[파일:Cloud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Mountai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Ocea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Ocean_Dragon_Soul_buff.png|width=25]]]] || [[분류: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