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LT vz. 38)] [목차] == 개요 == [[LT vz. 38]]의 운용국을 정리한 문서. == [[유럽]] == === [[중부유럽]] === ==== [[체코슬로바키아]] ==== ||
[[파일:Czecho_Army_Technical_Museum_Pz.Kpfw._38(t)_Ausf.A_BAHNA_2018_-_024_crop.jpg|width=100%]] || || '''체코 육군 기술 박물관 소장 체코슬로바키아 육군 소속 LT-38/37''' || 개발국이었으나, 1939년 3월 독일의 체코 병합으로 인해 [[체코슬로바키아군/1938년|체코슬로바키아군]]은 단 한대의 차량도 사용하지 못하였으며, 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에야 '''"LT-38/37"'''라는 제식명으로 잠시 운용했다. =====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 ||
[[파일:Slovakian_38t.jpg|width=100%]] || || '''슬로바키아 국립 봉기 박물관 소장 슬로바키아 육군 소속 LT-38''' || 도합 69대를 독일로부터 공여받아 '''"LT-38"'''이라는 제식명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동부전선에서 사용하였고, LLT 전차도 '''"LT-40"'''이라는 명칭으로 운용하였다. ==== [[나치 독일]] ==== ||
[[파일:Panzer_38(t)_(39076258652).jpg|width=100%]] || || '''문스터 전차 박물관 소장 독일 국방군 소속 38(t) 전차 S형 134호차''' || 체코슬로바키아 제 2공화국 합병 이후 스코다와 ČKD의 공장을 점령해 시제품 LT vz. 38을 양산하는데 성공하여 Pz.Kpfw. 38(t)로 명명해 운용하였다. ==== [[헝가리 왕국]] ==== ||
[[파일:Magyar_T-38.jpg|width=100%]] || || '''바딤 자도르지니 기술 박물관 소장 헝가리 왕립 육군 소속 T-38 "515번차"''' || 헝가리 왕국 시기, 독일로부터 도합 112량을 공여받아 '''"T-38"'''이라는 제식명을 부여 후, 동부전선에서 소련군을 상대로 운용했다. 이 중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다수의 헝가리 왕국군 소속의 T-38들이 동원되었는데, 기록에 따르면 T-34를 격파한 적도 있다고 한다. ==== [[스위스]] ==== ||
[[파일:Panzermuseum_Thun_Pz_39.jpg|width=100%]] || || '''툰 전차 박물관 소장 스위스 육군 제2경전차여단 6소대 소속 Pz. 39 M-7562호차''' || LTH를 체코슬로바키아에서 구매 후 '''"Panzerwagen 39"'''[* 줄여서 Pz. 39.]라는 명칭으로 운용하였다.[* 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G3"'''으로 개칭되었다.] === [[동유럽]] === ==== [[소련]] ==== ||
[[파일:Vadim_38(t).jpg|width=100%]] || || '''바딤 자도로즈니 박물관 소장 소련 육군 소속 T-38 프라하''' || 독소전쟁 당시 독일 국방군이나 헝가리 왕립 육군에게 노획한 차량을 '''"T-38 [[프라하]]" (Т-38 Прага)'''라는 제식명으로 사용하였다. === [[서유럽]] === ==== [[영국]] ==== ||
[[파일:774400-Panzer-38t-Tankfest-2015-Tanks.jpg|width=100%]] || || '''보빙턴 전차 박물관 소장 독일 국방군 소속 Pz.Kpfw. 38(t) "524번차"''' || 1939년 2월에 TNH-S 1대를 구매해 테스트용으로 사용하였으며, 독일 국방군으로부터 38(t) 전차를 노획하기도 했다. === [[북유럽]] === ==== [[스웨덴]] ==== ||
[[파일:Arsenalen_Tank_Museum_Strv_m/41.jpg|width=100%]] || || '''아르세날렌 전차 박물관 소장 스웨덴 육군 소속 스트리드스방 m/41''' || 상술하였듯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TNH-S를 구입하려 했으나 독일의 점령 탓에 계약이 파기되자 이에 대한 보상 격으로 독일 측에서 라이센스 생산 권리를 스웨덴에게 넘겨 스트리드스방 m/41을 생산하여 사용하였다. 스트리드스방 m/41은 1957년까지 헌역으로 사용되었으며, 그 차체는 스토름아르틸레리방 m/43이나, 장갑차인 판저반방 301과 같은 다른 파생형으로 개수되어 1970년대까지 사용되었다. == [[아시아]] == === [[서아시아]] === ==== [[이란 제국]] ==== ||
[[파일:Iranian_38(t)_Tank.jpg |width=100%]] || || '''사드 아바드 왕궁 박물관 소장 이란 제국 육군 소속 TNH'''[* 주포 및 포방패가 유실되어 모조 주포를 장착하고 있다,] || 1930년대 TNH 전차를 50량 구매하여 사용하였으나, 페르시아 침공 당시 다수의 차량을 망실하였다. 1953년에 [[M4A1|M4A1 (76) W]]가 취역하면서 동시에 퇴역하였으며, 현재는 사드 아바드 왕궁 박물관에 총 2량이 소장되어 있다. == [[아메리카]] == === [[남아메리카]] === ==== [[페루]] ==== ||
[[파일:parade_LTP.jpg|width=100%]] || || '''2014년 리마 열병식 등장 페루 육군 소속 LTP''' || 1938년~1939년 사이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LTP를 도합 24량을 구매한 뒤, '''"Tanque 39"'''라는 제식명으로 1988년까지는 1선에서 사용했으며, 현재까지도 의장용으로 일부 개체를 사용 중에 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LT vz. 38, version=684)] [[분류:LT vz.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