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업텐션)] ||<-5><:>'''업텐션 음반'''|| ||<:>'''2018 스페셜'''[br][[2018 SPECIAL PHOTO EDITION]][br](2018) ||<:> {{{+1 →}}} ||<:>'''미니 7집'''[br][[Laberinto]][br](2018) ||<:> {{{+1 →}}} ||<:>'''미니 8집''' [br][[The Moment of Illusion]][br](2019) || ||<-5><:>
{{{#ffffff '''Laberinto'''}}} || ||<-5> [[파일:음반_블루로즈.jpg|width=100%]] || ||<:>{{{#FFFFFF '''트랙''' }}} ||<:> {{{#FFFFFF '''제목''' }}} ||<:> {{{#FFFFFF '''작사''' }}} ||<:> {{{#FFFFFF '''작곡''' }}} ||<:>{{{#FFFFFF '''편곡''' }}}|| || '''1''' || Laberinto || || Daniel Kim, Jeremy G (Future Sound) || Daniel Kim, Jeremy G (Future Sound) || || '''2''' || {{{#154a7e '''Blue Rose'''}}} || 이미소, 김채린, Daniel Kim, 쿤, 웨이, 비토 || Daniel Kim, Jeremy G (Future Sound), Erik Wigelius || Erik Wigelius || || '''3''' || Burning || 재리포터, 쿤, 웨이, 비토 || 박해일(Yummy Tone), 권필립, 재리포터 || 박해일(Yummy Tone), 권필립 || || '''4''' || Turn Up The Night || Ponde, 쿤, 웨이, 비토 || Sven Parys, Gio Mici, Andy Love || Sven Parys, Gio Mici || || '''5''' || Midnight || 원데이, 에이나(AYNA), 쿤, 웨이, 비토 || 에이나(AYNA), 뉴찬스(New Chance) || 뉴찬스(New Chance) || || '''6''' || Happy Birthday || SUN, 웨이, 비토 || SUN, CALII || SUN || || '''7''' || With You || 비토, 1Hz, 쿤, 웨이[* 앨범에 처음으로 실린 멤버의 자작곡이다.] || 비토, 1Hz || 1Hz, 비토 || [목차] == 개요 == [[2018년]] [[12월 6일]] 발매된 [[업텐션]]의 미니 7집. [[타이틀곡]]은 '''Blue Rose'''이다. == 영상 == === 뮤직비디오 === ||<-2><:>
{{{#FFFFFF '''Blue Rose M/V''' }}} [[https://youtu.be/1ESlM8D_fds|1theK]] || ||<-2> [youtube(zRaKhkt4q00)]|| == 수록곡 == === Laberinto === ||
{{{#ffffff 앨범명과 동일한 제목의 이번 인트로 곡은 50여 초의 짧은 길이의 곡이지만 마치 ‘Laberinto’ (미궁) 속에서 헤매고 있는 듯한 착각에 빠지게 할 만큼 이번 앨범의 컨셉, 스토리를 고스란히 담아내고 있다.}}} || === Blue Rose === ||
{{{#ffffff 타이틀곡 ‘Blue Rose’는 기존에 업텐션이 시도한 적 없는 힙합, 트랩 스타일의 곡으로, 묵직한 EDM 사운드가 더해진 편곡이 파워풀하고 비장한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기승전결이 뚜렷하고 드라마틱한 멜로디가 강렬함과 섹시함, 그리고 저항할 수 없는 연약함을 동시에 표현한 것이 인상적인 곡. 사랑하는 여자로 인해 상처를 받아도 더 빠져든다는 내용을 가사로 풀어냈다.}}} || ==== 가사 ==== || {{{#ffffff '''〈Blue Rose〉'''}}} || || '''{{{#dc143c 진후}}} {{{#ff7f50 쿤}}} {{{#ffd700 고결}}} {{{#7fff00 웨이}}} {{{#008000 비토}}} {{{#3399ff 우신}}} {{{#0000ff 선율}}} {{{#000080 규진}}} {{{#8b008b 환희}}} {{{#ee82ee 샤오}}}''' || || {{{#7fff00 터질 듯 차오른 desire 순간 뜨거워져 fire 가시 속 날 향한 시선}}} {{{#008000 Living my only stop the begin 억제된 것이 날 거역해도}}} {{{#7fff00 불가능하단다 푸른 장미의 꽃말 틀에 박혀 얽혀 섞인 장미 하나마저 갖질 못해}}} {{{#ff7f50 Please don’t lose sight of me 널 계속 원해 어디든지 깊은 중독에 빠져 허우적대 나만의 널 원해 더 헤어나올 수 없게}}} {{{#ee82ee 향기에 취해 손을 뻗게 돼}}} {{{#ffd700 그 순간 빠르게 퍼지는 poison}}} {{{#dc143c 깊숙히 박힌 가시도 나를 심장은 터질 듯 뛰고}}} {{{#8b008b 이 미친 사랑은 deep blue rose 날 다치게 해도 빠져버려 망쳐버려 니 빛으로 나를 다 꺾어 너의 품에 바쳐}}} {{{#0000ff 너에게로 돌아가 falling for ya 너에게로 너에게로 falling for ya}}} (You take my heart) {{{#3399ff 미친 사랑은 deep blue rose 무릎을 꿇고 내 입술을 맞춰}}} {{{#008000 깊이 빠진 늪 아래 빛이 나는 꽃 뿌리 깊지 않아도 just a deep blue rose}}} {{{#ff7f50 Imma shouting in cloud errday crying you’re my delight 온몸에 푸른 꽃이 피어나도 너라면 괜찮아 난}}} {{{#000080 니가 날 불러냈어 저항도 못 했어}}} {{{#ffd700 벌써 또 이만큼 널}}} {{{#8b008b 바라고, 바라고, 원하고}}} {{{#ee82ee 도망쳐 봐도 다시 네게로}}} {{{#000080 세상이 너로 다 뒤덮인 garden}}} {{{#dc143c 깊숙이 박힌 가시도 나를 심장은 터질 듯 뛰고}}} {{{#8b008b 이 미친 사랑은 deep blue rose 날 다치게 해도 빠져버려 망쳐버려 니 빛으로 나를 다 꺾어 너의 품에 바쳐}}} {{{#ffd700 이제 알 것만 같아 니 맘을 열어낼 답}}} {{{#dc143c 두렵지 않은 걸 지금 나}}} {{{#0000ff 네게로 뛰어 들어가}}} {{{#8b008b 넌 시들지 않는 deep blue rose 그 영원을 내게 허락해 줘 더 깊게 박혀 deep blue rose 이 고통쯤은 다 견딜 수 있어}}} {{{#0000ff 널 위해서라면 난 falling for ya 너에게로 너에게로 falling for ya}}} (You take my heart) {{{#3399ff 아픔 속에 핀 deep blue rose 니 향기만이 나를 숨 쉬게 해}}} || === Burning === ||
{{{#ffffff 딥 하우스의 댄스 곡으로 사랑에 대한 갈망을 노래하고 있다. 달리기에 비유한 가사와 묵직하면서도 시원한 사운드의 hook이 인상적이다.}}} || >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어 > 보고도 믿을 수가 없었어 === Turn Up The Night === ||
{{{#ffffff ‘Turn Up The Night’은 “한 번뿐인 인생, 밤낮없이 즐기자”라는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매력적인 호른 소리와 묵직한 드럼 소리의 조합이 인상적인 사운드를 보여준다.}}} || > 한 번뿐인 my life 즐기고 싶잖아 > 쉬는 시간은 I don't want it === Midnight === ||
{{{#ffffff 둘만의 밤 속에 물들어가는 순간을 표현하고 있는 ‘Midnight’은 미니멀한 구성의 곡으로, 고요한 밤을 펑키하고 그루비한 밤으로 전환시키는 멜로디와 편곡이 매력적이다.}}} || > 흔적 없이 번져가는 > 너와 나의 emotion === Happy Birthday === ||
{{{#ffffff ‘Happy Birthday’는 Chill Trap 사운드를 바탕으로 한 몽환적인 분위기의 도입부와 경쾌한 리듬의 청량감 있는 hook이 대비되어 색다른 매력을 선사한다. 마치 생일 선물을 기대하는 어린아이처럼 순수하고 귀여운 사랑의 감정을 가사로 위트있게 표현했다.}}} || > 선물처럼 내게 와 줘 > Like happy birthday === With You === ||
{{{#ffffff 업텐션의 멤버 비토가 작곡, 작사한 ‘With You’는 팬들을 향한 마음을 주제로 만든 팬송. 지금까지 업텐션을 지켜보고 기다려준 팬들을 향한 고마움을 표현한 곡으로 팬들을 향해 “평생 함께하자”는 메시지를 담아냈다.}}} || > 너와 걷는 것만으로도 웃음꽃 피어 > 너를 보는 것만으로도 온몸이 떨려 == 이미지 == === 단체 === || [[파일:업텐션_블루로즈_단체.jpg|width=100%]] || || '''Crime ver.''' || || [[파일:업텐션_블루로즈_단체2.jpg|width=100%]] || || '''Clue ver.''' || === 개인 === ||<-2> [[파일:블루로즈_진후_1.jpg|width=100%]] ||<-2>[[파일:블루로즈_쿤_1.jpg|width=100%]] ||<-2>[[파일:블루로즈_고결_1.jpg|width=100%]] || ||<-2> '''진후''' ||<-2> '''쿤''' ||<-2> '''고결''' || ||<-2>[[파일:블루로즈_웨이_1.jpg|width=100%]] ||<-2>[[파일:블루로즈_비토_1.jpg|width=100%]] ||<-2>[[파일:블루로즈_우신_1.jpg|width=100%]] || ||<-2> '''웨이''' ||<-2> '''비토''' ||<-2> '''우신''' || ||<-3>[[파일:블루로즈_선율_1.jpg|width=100%]] ||<-3>[[파일:블루로즈_규진_1.jpg|width=100%]] || ||<-3> '''선율''' ||<-3> '''규진''' || ||<-3>[[파일:블루로즈_환희_1.jpg|width=100%]] ||<-3>[[파일:블루로즈_샤오_1.jpg|width=100%]] || ||<-3> '''환희''' ||<-3> '''샤오''' || ||<-2> [[파일:블루로즈_진후_2.jpg|width=100%]] ||<-2>[[파일:블루로즈_비토_2.jpg|width=100%]] ||<-2>[[파일:블루로즈_규진_2.jpg|width=100%]] || ||<-2> '''진후''' ||<-2> '''비토''' ||<-2> '''규진''' || ||<-2>[[파일:블루로즈_웨이_2.jpg|width=100%]] ||<-2>[[파일:블루로즈_선율_2.jpg|width=100%]] ||<-2>[[파일:블루로즈_우신_2.jpg|width=100%]] || ||<-2> '''웨이''' ||<-2> '''선율''' ||<-2> '''우신''' || ||<-3>[[파일:블루로즈_쿤_2.jpg|width=100%]] ||<-3>[[파일:블루로즈_고결_2.jpg|width=100%]] || ||<-3> '''쿤''' ||<-3> '''고결''' || ||<-3>[[파일:블루로즈_환희_2.jpg|width=100%]] ||<-3>[[파일:블루로즈_샤오_2.jpg|width=100%]] || ||<-3> '''환희''' ||<-3> '''샤오''' || == 여담 == [[이진혁(가수)|이진혁]][* 활동 당시 예명 웨이.]과 [[김우석(1996)|김우석]][* 활동 당시 예명 우신.]이 참여한 마지막 앨범으로, 해당 앨범 발매 이후 [[프로듀스 X 101]]에 참여하게 되면서 일시적으로 활동을 중단했으며, 이후 각자 본명으로 활동하게 되며 이진혁은 솔로 활동, 김우석은 [[X1]]으로 재데뷔, X1의 해체 이후 솔로 활동을 시작하게 되며 그룹 활동에 불참하게 되었고, 2023년 현재 남은 멤버들 중 [[보이즈플래닛]]에 참가중인 [[샤오(업텐션)|샤오]][* 본명 이동열로 참가.]와 [[환희(업텐션)|환희]][* 본명 이환희로 참가.]를 제외한 5인[* [[쿤(업텐션)|쿤]], [[고결]], [[비토(업텐션)|비토]], [[선율(업텐션)|선율]], [[규진(업텐션)|규진]]]과 [[https://twitter.com/UP10TION/status/1630402728324399105?s=20|계약 종료]]를 알렸는데 여기에서의 '''7인''' 언급을 통해 2023년 초 포털 사이트에서 프로필이 삭제되며 탈퇴한 것으로 알려진 [[진후(가수)|진후]]와 함께 이 둘 역시 탈퇴한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진후와는 달리 이진혁과 김우석은 아직 공식 포털 사이트에 현 멤버로 분류되어있다.] [[분류:업텐션/음반]][[분류:2018년 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