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Lancelot.png|width=400]] [목차] == 개요 ==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의 수록곡으로, 작곡가는 [[Everlasting Message]], [[オニユリ]] 등으로 유명한 [[ぺのれり]]. [[BLASTER GATE#s-4.7|ΩDimension Phase 7]]에 추가되었다. 제목은 [[セイレーン ~悲壮の竪琴~]]와 같이 '제목 ~부제목~'꼴을 취했으나 가나 대신 알파벳으로 썼다. 부제는 [[아서 왕 전설]]에서의 [[랜슬롯]]과 작곡가의 트윗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기네비어|반역의 연인]] 정도로 풀이된다[* 보통 flame은 불꽃, 격정으로 풀이되지만 여기서의 flame은 연인, 애인이라는 뜻을 가진다.]. 작곡가가 상업 음악 제공으로 바쁜 도중 사운드 볼텍스에 투고한 곡으로, 오랜만에 장대한 곡을 쓰느라 고생을 꽤나 했다고 한다[* 이 시기의 페노레리는 상업음악 제공으로 매우 바빴다. 리듬 게임에 곡을 투고한 것은 근 1년만이다. 현재도 바쁜 것은 변하지 않아 이 곡이 등장하고 나서 페노레리가 리듬 게임에 투고한 곡은 겨우 3곡뿐이다.]. 곡의 주 주제는 제목에서 드러나듯 [[랜슬롯]]이지만, 동시에 [[리듬 게임]] 수록곡 안에 얼마나 많은 이야기를 채울 수 있는가라는 부 주제도 가지고 있다고 한다([[https://twitter.com/penoreri/status/1158628150181388288|#]]). 이후 [[SOUND VOLTEX PERFECT ULTIMATE COMPLETE TRACKS ~Legend of KAC with Ω~]] 앨범에 후속곡으로 Guinevere ~白き妖精~라는 곡이 추가되었다. 이 곡은 후속곡답게 [[기네비어]]를 모티브로 만들어졌다. == [[사운드 볼텍스]] == [include(틀:ΩDimension Phase 7)]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5>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난이도 || NOVICE || ADVANCED || EXHAUST || MAXIMUM || || 자켓 || [[파일:Lancelot Flame of the Rebellion NOV.jpg|width=150]] || [[파일:Lancelot Flame of the Rebellion ADV.jpg|width=150]] || [[파일:Lancelot Flame of the Rebellion EXH.jpg|width=150]] || [[파일:Lancelot Flame of the Rebellion MXM.jpg|width=150]] || || 레벨 || 07 || 14 || 17 || 19 || || 체인 수 || 0890 || 1373 || 1964 || 2548[*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에서는 2414] || || 일러스트 담당 || 戦勝の女神、或、邪悪を祓いし鍛冶神-{天之御影命}-欧流斗隣薙∞球Q || 優美であり強靭な槍を遣いし美しき乙女は-{天之御影命}-欧流斗隣薙∞球Q || 気高き愛炎の霊威により人々を護る-{天之御影命}-欧流斗隣薙∞球Q || 邪悪を祓え、光明を啓け、吾らを援けよ-{天之御影命}-欧流斗隣薙∞球Q ||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4>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전격랍스터|亡国の電撃ロブスター]] || || 수록 시기 ||<-4> {{{#ff1493,#eb007e V 13 (2019/08/08)}}} || || [[BPM]] ||<-4> 189-216 || * [[스킬 애널라이저|SKILL ANALYZER]] 수록 * MAXIMUM: Skill Level ∞(2022.03.10 ~ 2022.04.24) 대응되는 신은 [[아메노미카게노미코토]]. === 채보 상세 === [youtube(UgaSz4k1UIQ, width=420, height=680)] MXM 채보 PUC 영상 전체적으로 복잡하게 꼬아 놓은 폭타가 중심이 되는 패턴이다. 곡 전반에 걸쳐 빠른 손 이동과 정확한 원핸드 실력이 요구되어 자칫 손이 굳어버리기도 쉽다. 특히 [[STULTI]]와 유사한 형태의 원핸드 트릴 + 손 교차 직각 노브 구간은 트릴의 속도도 애매하고 중간에 트릴의 형태가 바뀌기까지 해 난해한 구간으로 손꼽힌다. 설상가상으로 곡 전체에 미묘한 변속이 존재하여 배속 설정에도 애로사항이 꽃핀다. 그 외에도 페노레리의 곡에서 자주 사용되었던 BT+L+R 형태의 동시치기 폭풍, 짤막한 롱노트를 동반한 롱잡, [[Bangin' Burst]] GRV의 후살인 FX L+R - BT B+C 트릴 등 처리가 난감한 노트 패턴이 많다. 동시에 업데이트된 [[Ghost Family Living In Graveyard]]가 20레벨 수준의 초견살로 무장하고 나와 상대적으로 빛이 바래보일 수 있으나 이 곡 또한 전혀 꿇리지 않는다는 평가다. 스코어링 측면에서는 사람에 따라 더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다. 최초 PUC는 2019년 8월 10일 [[SHION-Y]]라는 유저가 달성했다.[[https://twitter.com/SHION___Y/status/1160119817707216896?s=19|#]] [youtube(gy9CamzL3pc, width=420, height=680)] EXH 채보 PUC 영상 == 기타 == * 곡과 채보의 싱크가 서로 살짝 어긋나있는 느낌을 받는다는 얘기가 많다. 대략 원래 쓰던 싱크에서 +1정도 올려야 싱크가 어느정도 맞는다는 평. [[분류: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