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Season Finals 2023)] [목차] == 개요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e5dfd, #23bfd0, #10d3c6, #00e4be)" [[LEC|[[파일:lec 심볼.svg|width=20]]]] {{{+1 {{{#black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Season Finals 2023 결승전'''}}}}}}}}} || || {{{+1 [[G2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white '''G2 Esports'''}}}]]}}} || {{{+1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white '''Fnatic'''}}}]]}}} || || [[G2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G2 Esports 로고.svg|height=150]]]] ||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파일:Fnatic 로고.svg|width=15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C Season Finals Grand Finals.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meU818FVdQ)]}}} || 2021 서머 이후 2년만에 프나틱이 결승을 진출했고 2020 서머 이후 3년만에 '''G2 vs 프나틱''' 매치업이 성사되었다. == 경기 전 정보 == [include(틀: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Season Finals 2023 대진표)] == 경기 내용 == ||<-1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e5dfd, #23bfd0, #10d3c6, #10d3c6)" [[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파일:lec 심볼.svg|width=50]]]][br][[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Season Finals 2023|{{{+1 {{{#black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Season Finals 2023'''}}}}}}]] {{{+1 {{{#black '''결승전'''}}}}}}[br]{{{#black '''2023년 9월 11일 월요일 01:00 (KST)'''}}}}}} || ||<-12> {{{-1 {{{#white '''쉬드프랑스 아레나 (프랑스, 옥시타니 레지옹 몽펠리에 시)'''}}}}}} || ||<-5> [[G2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G2 Esports 로고.svg|height=120]]]] ||<|3> {{{+5 '''3'''}}} ||<|3> {{{+5 1}}} ||<-5>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파일:Fnatic 로고.svg|width=120]]]] || ||<-5> [[G2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white '''G2 Esports'''}}}]] ||<-5>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white '''Fnatic'''}}}]] || || ○ || ○ || × || ○ || - || × || × || ○ || × || - || ||<-5> '''최종 우승''' ||<-2><|2> {{{#black '''결과'''}}} ||<-5> '''준우승''' || ||<-5> {{{#white '''월드 챔피언십 1시드'''}}} ||<-5> {{{#white '''월드 챔피언십 2시드'''}}} || ||<-1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C_SEASON_FINALS_2023_FINAL.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e5dfd, #23bfd0, #10d3c6, #10d3c6)" [[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파일:lec 심볼.svg|width=15]]]] [[기아|[[파일:기아 로고.svg|width=40]]]] {{{#black '''파이널 MVP'''}}}}}}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 LEC Season Final FMVP.jpg|width=100%]]}}} || || [[라스무스 뷘터|'''라스무스 뷘터''']][br](Cap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AUDiRIzVpI)]}}}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e5dfd, #23bfd0, #10d3c6, #10d3c6)" [[파일:lec 심볼.svg|height=30]]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Season Finals 2023|{{{#black '''LoL EMEA Championship Season Finals 2023'''}}}]][br]{{{#black '''결승전 선발 라인업'''}}}}}} || || [[G2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G2 Esports 로고.svg|height=50]]]] ||<|2> [[파일:lec 심볼.svg|height=60]] ||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파일:Fnatic 로고.svg|width=50]]]] || || [[G2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white '''G2 Esports'''}}}]] ||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white '''Fnatic'''}}}]] || || [[세르겐 첼리크|{{{#ed2025 '''세르겐 첼리크'''[br](BrokenBlade)}}}]] || [[파일:TOP_icon_black.png|height=30]] || [[마르틴 한센|{{{#white '''마르틴 한센'''[br](Wunder)}}}]] || || [[마르틴 순델린|{{{#ed2025 '''마르틴 순델린'''[br](Yike)}}}]] || [[파일:JGL_icon_black.png|height=30]] || [[이반 마르틴(프로게이머)|{{{#white '''이반 마르틴'''[br](Razork)}}}]] || || [[라스무스 뷘터|{{{#ed2025 '''라스무스 뷘터'''[br](Caps)}}}]] || [[파일:MID_icon_black.png|height=30]] || [[마렉 브라즈다|{{{#white '''마렉 브라즈다'''[br](Humanoid)}}}]] || || [[스티븐 리브|{{{#ed2025 '''스티븐 리브'''[br](Hans Sama)}}}]] || [[파일:ADC_icon_black.png|height=30]] || [[오현택(프로게이머)|{{{#white '''오현택'''[br](Noah)}}}]] || || [[미하엘 메흘레|{{{#ed2025 '''미하엘 메흘레'''[br](Mikyx)}}}]] || [[파일:SUP_icon_black.png|height=30]] || [[아드리안 트리부스|{{{#white '''아드리안 트리부스'''[br](Trymbi)}}}]] || === 1세트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G2 Esports, redteam=Fnatic , d_blueban1=탈리야, d_blueban2=뽀삐(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트리스타나, d_blueban4=자야(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taliyah, p_blueban2=poppy, p_blueban3=tristana, p_blueban4=xayah, p_blueban5=nautilus , d_redban1=아이번, d_redban2=칼리스타, d_redban3=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드레이븐, d_redban5=브라움 , p_redban1=ivern, p_redban2=kalista, p_redban3=leblanc, p_redban4=draven, p_redban5=braum , d_bluepic1=크산테, d_bluepic2=렐, d_bluepic3=아지르, d_bluepic4=카이사, d_bluepic5=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ksante, p_bluepic2=rell, p_bluepic3=azir, p_bluepic4=kaisa, p_bluepic5=rakan , d_redpic1=레넥톤, d_redpic2=마오카이, d_redpic3=신드라, d_redpic4=아펠리오스, d_redpic5=알리스타 , p_redpic1=renekton, p_redpic2=maokai, p_redpic3=syndra, p_redpic4=aphelios, p_redpic5=alistar)]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현상금 제거) , bteam=G2 Esports, bresult=WIN, rteam=Fnatic, rresult=LOSS, time=27:37 , bkill=27, bdeath=14, bassist=66, rkill=14, rdeath=27, rassist=24 , bgold=57.5, bturret=9, bherald=2, bbaron=1, belder=0 , rgold=48.1, rturret=2, rherald=0, rbaron=0, relder=0)]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Ocean, bluedragon2= , bluedragon3=, bluesoul= , reddragon1=Chemtech, reddragon2=Hextech , reddragon3=, redsoul=)]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IvsqgRxDW4)]}}}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0910_G2 1 : 0 FNC.png|width=100%]]}}} || G2가 블루사이드를 선택했다. G2는 기동력과 이니시가 특화된 극단적인 돌진 조합을 구성했고, 프나틱은 상대 돌진을 카운터 칠 알리스타와 마오카이를 픽하면서 신드라-레넥톤-아펠리오스를 선택해 강한 초반 주도권을 바탕으로 스노우볼을 굴려야 하는 조합을 구성했다. G2는 한스 사마가 다소 의아한 폼을 선보인것 빼고는 체급으로 프나틱을 찍어눌러버렸다. === 2세트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Fnatic, redteam=G2 Esports , d_blueban1=칼리스타, d_blueban2=드레이븐, d_blueban3=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4=브라움, d_blueban5=시비르 , p_blueban1=kalista, p_blueban2=draven, p_blueban3=leblanc, p_blueban4=braum, p_blueban5=sivir , d_redban1=렐, d_redban2=아이번, d_redban3=트리스타나, d_redban4=알리스타, d_redban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rell, p_redban2=ivern, p_redban3=tristana, p_redban4=alistar, p_redban5=nautilus , d_bluepic1=레넥톤, d_bluepic2=탈리야, d_bluepic3=신드라, d_bluepic4=자야(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renekton, p_bluepic2=taliyah, p_bluepic3=syndra, p_bluepic4=xayah, p_bluepic5=rakan , d_redpic1=올라프(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마오카이, d_redpic3=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카이사, d_redpic5=리산드라 , p_redpic1=olaf, p_redpic2=maokai, p_redpic3=jayce, p_redpic4=kaisa, p_redpic5=lissandra)]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현상금 제거) , bteam=Fnatic, bresult=LOSS, rteam=G2 Esports, rresult=WIN, time=25:29 , bkill=10, bdeath=26, bassist=20, rkill=26, rdeath=10, rassist=43 , bgold=45.1, bturret=2, bherald=0, bbaron=0, belder=0 , rgold=57.1, rturret=11, rherald=2, rbaron=1, relder=0)]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 bluedragon2= , bluedragon3=, bluesoul= , reddragon1=Ocean, reddragon2=Chemtech , reddragon3=Cloud, redsoul=)]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KblloXN98Y)]}}}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0910_G2 2 : 0 FNC.png|width=100%]]}}} || G2가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Season Finals 2023#s-5.2.1.1|지난번]]에 이어 라칸 상대로 또 다시 '''리산드라 서폿'''을 기용했다. === 3세트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G2 Esports, redteam=Fnatic , d_blueban1=탈리야, d_blueban2=뽀삐(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트리스타나, d_blueban4=자야(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알리스타 , p_blueban1=taliyah, p_blueban2=poppy, p_blueban3=tristana, p_blueban4=xayah, p_blueban5=alistar , d_redban1=아이번, d_redban2=칼리스타, d_redban3=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코그모, d_redban5=드레이븐 , p_redban1=ivern, p_redban2=kalista, p_redban3=leblanc, p_redban4=kogmaw, p_redban5=draven , d_bluepic1=크산테, d_bluepic2=렐, d_bluepic3=요네, d_bluepic4=시비르, d_bluepic5=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ksante, p_bluepic2=rell, p_bluepic3=yone, p_bluepic4=sivir, p_bluepic5=rakan , d_redpic1=레넥톤, d_redpic2=마오카이, d_redpic3=아지르, d_redpic4=카이사, d_redpic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renekton, p_redpic2=maokai, p_redpic3=azir, p_redpic4=kaisa, p_redpic5=nautilus)]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현상금 제거) , bteam=G2 Esports, bresult=LOSS, rteam=Fnatic, rresult=WIN, time=29:46 , bkill=11, bdeath=20, bassist=22, rkill=20, rdeath=11, rassist=44 , bgold=50.6, bturret=5, bherald=1, bbaron=0, belder=0 , rgold=59.1, rturret=9, rherald=1, rbaron=1, relder=0)]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Ocean, bluedragon2=Ocean , bluedragon3=, bluesoul= , reddragon1=Infernal, reddragon2=Hextech , reddragon3=, redsoul=)]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QADm8hQVq8)]}}}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0910_G2 2 : 1 FNC.png|width=100%]]}}} || 프나틱이 레드 진영을 선택하며 승부수를 둔다. 초반에는 원더, 캡스가 각각 골드를 리드하며 탑과 미드의 캐리 싸움이 되나 했음에도 캡스가 원더를 솔킬내며 G2가 우세를 잡는 분위기였는데, 어느 순간부터 노아의 카이사가 한스사마의 시비르를 압도하며 분위기가 프나틱 쪽으로 흘렀고 결국 캡스가 통나무를 떨어트리며 프나틱이 한 세트를 가져온다. === 4세트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G2 Esports, redteam=Fnatic , d_blueban1=트리스타나, d_blueban2=뽀삐(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레넥톤, d_blueban4=브라움, d_blueban5=알리스타 , p_blueban1=tristana, p_blueban2=poppy, p_blueban3=renekton, p_blueban4=braum, p_blueban5=alistar , d_redban1=칼리스타, d_redban2=마오카이, d_redban3=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피들스틱, d_redban5=아지르 , p_redban1=kalista, p_redban2=maokai, p_redban3=leblanc, p_redban4=fiddlesticks, p_redban5=azir , d_bluepic1=크산테, d_bluepic2=렐, d_bluepic3=신드라, d_bluepic4=드레이븐, d_bluepic5=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ksante, p_bluepic2=rell, p_bluepic3=syndra, p_bluepic4=draven, p_bluepic5=leona , d_redpic1=오른, d_redpic2=아이번, d_redpic3=탈리야, d_redpic4=자야(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ornn, p_redpic2=ivern, p_redpic3=taliyah, p_redpic4=xayah, p_redpic5=nautilus)]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현상금 제거) , bteam=G2 Esports, bresult=WIN, rteam=Fnatic, rresult=LOSS, time=23:36 , bkill=24, bdeath=6, bassist=54, rkill=6, rdeath=24, rassist=7 , bgold=53.8, bturret=10, bherald=2, bbaron=1, belder=0 , rgold=37.7, rturret=3, rherald=0, rbaron=0, relder=0)]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Mountain, bluedragon2= , bluedragon3=, bluesoul= , reddragon1=Hextech, reddragon2= , reddragon3=, redsoul=)]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 || == 총평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C 2023 Season Finals Champions.png|width=100%]]}}} || === {{{#ffd700,#886000 '''우승'''}}} - [[G2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2 Esports]] === 유럽을 넘어 서양권의 희망이라 불리는 G2답게 파괴적인 경기력으로 프나틱을 쓰러뜨렸다. 이긴 세트들은 두말할 필요없이 압살이었고, 진 3세트조차 노림수가 번번히 빗나가는 상황에서도 어떻게든 경기를 끌고 나갔기에 경기의 종지부를 찍은 한스사마의 스펠실드 실수가 없었으면 경기의 향방을 알기 힘들었다. 수훈갑은 캡스-야이크 듀오. 야이크는 언제나처럼 협곡을 종횡무진했고, 플레이오프부터 이따금 심각한 쓰로잉이 터지던 캡스는 결승전만큼은 큰 실수 없이 휴머노이드를 압살했다. BB 역시 라인전은 오락가락해도 특유의 한타 툴로 캐리하며 원더에게 판정승을 거뒀다. 다만 BB가 또 라인전을 심하게 털려대고[* 1세트는 CS 30~40개씩 털렸음에도 속죄솔킬로 만회하며 게임을 캐리했지만, 비슷한 수준으로 털린 3세트는 원더가 교전각을 주지 않자 복구하지 못하고 탑차이가 나버렸다. 상대가 현역도 아니고 휴식기를 가지던 원더인걸 감안하면 심각한 수준.], 한스사마의 폼이 저점을 찍으면서 롤드컵을 앞두고 다소 먹구름이 낀 상태다. 그 어느때보다 동양과 서양의 차이가 벌어져있다는 말이 나오는 해인데, MSI에서의 아쉬움을 재현하고 싶지 않다면 빠른 시간 안에 폼을 끌어올려야 한다. === {{{#c0c0c0,#505050 '''준우승'''}}} -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Fnatic]] === 기적같은 파이널 진출로 미라클런을 노리던 프나틱의 행보는 준우승으로 마무리됐다. 비록 G2와 현격한 격차를 보이며 압살당했지만, 올해 시작부터 팀 분위기가 좋지 않았던데다 파이널 도중에 주전 탑솔러의 이탈이라는 악재를 맞았음에도 불구하고 경쟁팀을 꺾고 올라왔기에 충분히 박수받을만한 행보였다. 애시당초 땜빵으로 급하게 영입한 원더는 유럽 역대급 재능이라는 평가답게 팀합이 안맞아서 궁극기와 텔레포트를 낭비하던 것만 빼면 제몫을 해냈고, LEC 서머 2주차 이후 점차 하락세를 타던 노아 역시 한스사마의 저점을 틈타 예상보다는 잘해줬다. 그러나 라조크가 야이크에게 정글차가 나는건 상정 내였지만, 휴머노이드가 캡스에게 사정없이 박살나고 노틸 알리 2툴로 연명하던 트림비를 밴픽으로 말려버리면서 미드 서폿차가 벌어진게 패인이었다. 프나틱의 가장 큰 문제는 선수들의 챔프풀이다. 노아는 자야 아펠 2툴에 잘쳐줘도 제리가 한계고, 트림비는 탱포터 메타가 도래하자 필밴인 렐을 제외하면 노틸 알리 2툴에 브라움까지가 끝이다. 라조크는 유럽에서 유독 티어가 높은 아이번을 제외하면 뽀삐말고 자신있게 내세울게 없다. 그나마 휴머노이드의 챔프폭이 나은 편이지만 폼 자체가 떨어져있고, 가장 자주 쓴 제이스의 플레이는 영 아니었다. 롤드컵에서 선전하기 위해서는 분발이 필요하다. [[분류: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2023 시즌 파이널 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