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레드 제플린)] ||
<#000><-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CBBAA, #DBC9B7 40%, #DBC9B7 60%, #CCBBAA)" '''[[레드 제플린|[[파일:레드 제플린.png|height=50]]]][br]레드 제플린의 역대 스튜디오 앨범'''}}} || ||<#FCF8EC> [[Led Zeppelin III|{{{#000 {{{-2 1970년 10월 23일}}}}}}[br]{{{#000 3집 '''Led Zeppelin III'''}}}]] || → ||<#dcd2d1> [[Led Zeppelin IV|{{{#000 {{{-2 1971년 11월 12일}}}[br]4집}}} [[파일:Zoso.png|width=50]]]] || → ||<#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F5E2B5 5%, #efc356 40%, #dd6832 80%)" [[Houses of the Holy|{{{#fff {{{-2 1973년 3월 28일}}}[br]5집 '''Houses of the Holy'''}}}]]}}} || ||<-5><#dcd2d1> '''[[파일:Zoso.png|width=65]] 관련 둘러보기 틀''' || ||<-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cd2d1, #dcd2d1 40%, #dcd2d1 60%, #dcd2d1)" '''[[파일:Zoso.png|width=65]] 의 수상 이력'''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명예의 전당, 연도=1999)] ---- [include(틀:타임지 선정 100대 앨범)] ---- [include(틀: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200대 앨범 (1위~10위))]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항목=올타임 명반,순위=33)]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하드 록 명반, 순위=1)]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69,연도2=2020,순위2=58)]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순위=106)] ---- [include(틀:Rate Your Music,항목=전체 앨범 차트,순위=45)]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39, 연도=1998, 순위2=42, 연도2=2000)] ---- [include(틀:WXPN 선정 2021대 명반,순위=28, 연도=2005, 순위2=30, 연도2=2022)]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 순위=14)] ---- ||
<#FFFFFF><:> [[피치포크/연대별 최고의 앨범|[[파일:피치포크 로고.svg|width=70]]]] ||<#FFFFFF,#1F2023> [[피치포크/연대별 최고의 앨범|{{{#000,#fff '''피치포크 선정 1970년대 최고의 앨범'''}}}]][br]{{{+5 '''7위'''}}} || ---- [include(틀:배철수의 음악캠프 선정 100대 음반)] ---- [include(틀:Ultimate Classic Rock 선정 120대 록 명반)] ---- [include(틀:Q 매거진 선정 영국 100대 명반2, 순위=26)] ---- [include(틀:VPRO 선정 299대 명반)] ---- [include(틀:Nostalgie 선정 500대 명반, 순위=85)] ---- [include(틀:언컷 선정 1970년대 500대 명반, 순위=67)] ----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음반명=Led Zeppelin IV)]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cd2d1, #dcd2d1 40%, #dcd2d1 60%, #dcd2d1)" '''[[파일:Zoso.png|width=65]] 의 등재 이력'''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미국 내 앨범 판매량 순위)] ---- [include(틀:세계 앨범 판매량 순위(1 ~ 10위))] ---- [include(틀:RIAA 다이아몬드, pt=24)] ---- [include(틀:UK 차트 1위 앨범, 전번_앨범=Top of the Pops Volume 20, 전번_아티스트=Various Artists, 이번_앨범=Led Zeppelin IV, 이번_아티스트=레드 제플린, 1위_기간=2주 연속, 후번_앨범=Electric Warrior, 후번_아티스트=티렉스 )] ---- }}} || ---- }}} || ||<-2><#dcd2d1> [[파일:Zoso.png|width=130]][br]'''{{{#000000 가칭 Led Zeppelin IV}}}'''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Led Zeppelin IV.jpg|width=100%]]}}} || || '''발매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1971년]] [[11월 8일]][br][[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1971년]] [[11월 12일]] || || '''녹음일''' ||[[1970년]] [[12월]] ~ [[1971년]] [[2월]] || || '''장르''' ||[[하드 록]], [[블루스 록]], [[포크 록]] || || '''재생 시간''' ||42:34 || || '''곡 수''' ||8곡 || || '''프로듀서''' ||[[지미 페이지]] || || '''싱글 발매곡''' ||[[Black Dog]][* B면은 [[Misty Mountain Hop]].] {{{-1 (1971.12.01, [[미국]])}}}[br][[Rock and Roll(노래)|Rock and Roll]][* B면은 [[Four Sticks]].] {{{-1 (1972.02.21, [[미국]])}}} || || '''사용 악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지미 페이지]] : 일렉트릭 기타, 페달 스틸 기타, 어쿠스틱 기타 * [[로버트 플랜트]] : 보컬, 하모니카 * [[존 폴 존스]] : 베이스, 일렉트릭 피아노, Moog 신디사이저, 리코더, 만돌린 * [[존 본햄]] : 퍼커션, 드럼 }}} || || '''스튜디오''' ||[[롤링 스톤즈 이동식 스튜디오|롤링 스톤스 이동식]], 헤들리 그레인지, 아일랜드 || || '''레이블''' ||[[애틀랜틱 레코드|[[파일:애틀랜틱 레코드.png|width=60]]]] || || '''앨범 번호'''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Atlantic SD 7208[br][[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Atlantic 2401 012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트랙 리스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Side A''' || || '''트랙''' ||<-2> '''곡명''' || || '''1''' ||[[Black Dog]] || [[https://youtu.be/XIiu0JI3I5g|♫]] || || '''2''' ||[[Rock and Roll(노래)|Rock and Roll]] || [[https://youtu.be/SRQ7-eSGBWc|♫]] || || '''3''' ||[[The Battle of Evermore]] || [[https://youtu.be/88b0OYxdtyM|♫]] || || '''4''' ||[[Stairway to Heaven]] || [[https://youtu.be/iXQUu5Dti4g|♫]] || ||<-3> '''Side B''' || || '''트랙''' ||<-2> '''곡명''' || || '''1''' ||[[Misty Mountain Hop]] || [[https://youtu.be/n6fBQRaygeo|♫]] || || '''2''' ||[[Four Sticks]] || [[https://youtu.be/iJp27QMR2KU|♫]] || || '''3''' ||[[Going to California]] || [[https://youtu.be/PDIz4talyQk|♫]] || || '''4''' ||[[When the Levee Breaks]] || [[https://youtu.be/FFDYuO53BUk|♫]]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록밴드]] [[레드 제플린]]이 [[1971년]] [[11월 12일]]에 발매한 4번째 정규 앨범이다. == 상세 == 전 세계 '''총 3,700만 장'''의 판매고를 기록하여 '''레드 제플린 커리어에서 가장 성공한 앨범'''임과 동시에 '''대중음악 역사상 여섯 번째로 가장 많이 팔린 앨범'''이며, '''[[록 음악|록]] 장르 음반 중 세 번째로 많이 팔린 앨범'''이다.[* 1위가 [[핑크 플로이드]]의《''[[The Dark Side of the Moon]]''》, 2위가 [[이글스(밴드)|이글스]]의 《''Their Greatest Hits (1971 - 1975)''》이다. 다만 Their Greatest Hits는 [[컴필레이션 앨범]]이므로, 순수 정규 앨범만 따졌을 시 두 번째로 많이 팔린 앨범이다.] 또한 '''[[메탈(음악)|헤비 메탈]], [[포크 록]]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앨범'''[* 사실 레드 제플린은 헤비 메탈인지 하드 록인지 논란이 있는 편이라서 순수하게 헤비 메탈로만 한정하면 가장 많이 팔린 앨범은 [[메탈리카]]의 [[Metallica(음반)|Metallica]]다.]인 동시에[* 흔히 헤비 메탈로 착각하곤 하는 [[AC/DC(밴드)|AC/DC]]의 《''[[Back in Black]]''》는 [[하드 록]] 앨범인데다, 이 앨범보다도 판매고가 약 100만 장 가량 낮다.] 대중음악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앨범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 앨범은 미국에서만 2,400만 장(24X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해당 앨범에는 록 음악뿐만 아니라 1970년대를 대표하는 명곡 중 하나인 '''[[Stairway to Heaven]]'''[* 이 곡은 록 음악 역사상 라디오에서 가장 많이 흘러나온 곡이다.]을 비롯하여, 국내에도 잘 알려진 헤비 메탈 넘버들인 [[Rock and Roll(노래)|Rock and Roll]]과 [[Black Dog]], 잔잔한 아메리칸 [[포크 록]] 넘버인 [[Going to California]]가 수록되어 있다. 이 외에도 이들의 [[오컬트]]적인 취미가 잘 드러난 넘버인 [[The Battle of Evermore]], [[닥터 드레]]와 [[에미넴]] 등 수많은 유명 아티스트들이 샘플링한 [[When the Levee Breaks]] 등의 곡들은 후대의 수많은 아티스트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앨범 판매량에서 볼 수 있듯 한두개의 노래가 알려진 수준이 아니라, '''거의 모든 노래들이 하드 록 역사에 남을 히트곡들이다.''' 심지어 록 음악의 불모지인 국내에서도 대부분의 앨범 수록곡들이 세대를 막론하고 아주 잘 알려져 있을 정도이다. 음악적 평가 또한 하드 록, 헤비 메탈 앨범들 중 전설로 꼽히며, 이 때문에 록 음악에 입문하려는 대중들에게 가장 많이 추천되는 앨범 중 하나이기도 하다.[* 보통 이 앨범과 더불어 록 입문용으로 추천되는 앨범은 [[The Dark Side of the Moon]], [[A Night at the Opera]], [[Back in Black]], [[Appetite for Destruction]], [[Machine Head]] 등이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Zoso.png|width=100%]]}}} || 앨범의 정확한 이름은 없다. 지미 페이지 또한 앨범 작업 당시 앨범의 제목이 완전히 없는 ‘[[무제]]’임을 강조했다. 제목이 없는 대신 앨범 속에 멤버들을 상징하는 로고가 적혀 있다.[* 왼쪽부터 [[지미 페이지]], [[존 폴 존스]], [[존 본햄]], [[로버트 플랜트]]의 로고이다.] 그렇기에 보통 제목을 가리킬 때는 이 로고를 쓰는 경우가 많으며, 앨범을 부를 때에는 전작들의 선례를 따라 “Led Zeppelin IV”라고 불리며, 혹은 지미 페이지의 로고가 알파벳 Zoso를 닮았기에 “Zoso”라고도 불린다. == 녹음 배경 == 전작인 [[Led Zeppelin III]]를 [[포크 록]] 앨범으로 기획한 결과, 1,500만 장 이상 팔렸던 [[Led Zeppelin II]]에 비해 앨범 판매량이 726만 장으로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물론 726만 장이라는 숫자도 어마어마한 양이었지만 2집과 비교했을 때는 사실상 상업적으로 실패한 결과였다. [[로버트 플랜트]]와 [[지미 페이지]]는 3집이 실패한 원인을 [[메탈(음악)|헤비 메탈]]에서 브리티시 [[포크 록]]으로 급격하게 노선을 변경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고, 차기작은 포크 록보다는 헤비 메탈에 가깝게 구상하기로 결정한다. 즉 헤비 메탈 역사에서 가장 뛰어난 앨범 중 하나인 2집의 유산을 가져가기로 결정했던 것이다. 밴드는 차기작에 수록될 곡들을 모두 녹음했으나 몇 개의 트랙을 더 제작해 놨기에 차기작은 더블 앨범으로 발매될 가능성도 있었으나, 로버트 플랜트가 곡이 너무 많으면 앨범이 혼란스러울 수도 있다고 주장하면서 더블 앨범에는 반대하였다. 그렇기에 밴드는 수많은 곡들 가운데 가장 음악성이 좋은 8곡만을 선정하여 앨범에 수록하였다. 그러나 발매하기 얼마 전 밴드 멤버들은 트랙의 믹싱 작업이 잘못되었음을 깨닫는다. 믹싱 작업 외에도 규격 문제로 영국에서는 녹음본조차 들어볼 수 없었다. 게다가 당시 밴드는 유럽 및 북미 투어 중이었기에 녹음실에 다시 갇혀있을 수도 없었다. 그렇기에 밴드는 [[롤링 스톤즈 이동식 스튜디오]]를 타고 다니면서 앨범 작업을 처음부터 다시 하는 수밖에 없었다. 이 때문에 4집 발매일은 기존보다 더 늦춰질 수밖에 없었고, 결국 가을이 되어서야 발매가 될 수 있었다. == 앨범 커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d Zeppelin IV.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d Zeppelin IV (딜럭스).jpg|width=100%]]}}} || || '''리마스터판 커버. 본판 커버와 사실상 차이는 없다.''' || '''2014년 딜럭스판 커버. 커버 색이 반전되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d Zeppelin IV (뒷면).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d Zeppelin IV (딜럭스판 뒷면).jpg|width=100%]]}}} || || '''초판 뒷면.''' || '''2014년 딜럭스판 커버. 사진이 앞면 커버와 같다.''' || 전작의 앨범 커버를 별로 마음에 안 들어했던 지미 페이지는 차기작의 앨범 커버를 직접 고르기로 한다. 지미 페이지는 앨범 커버를 정할 때 [[비틀즈]]의 앨범 커버를 참고하려고 했는데, 그중에서 가장 영향을 받은 앨범은 [[The Beatles]]와 [[Plastic Ono Band]]였다. 화이트 앨범과 플라스틱 오노 밴드의 영향을 받아 차기작의 커버는 제목도 없이 최대한 미니멀리즘하게 가기로 한다. 심지어 지미 페이지는 일련 번호도 빼려고 했으나, 일련 번호가 없으면 앨범 자체를 판매할 수가 없었기에(…) 일련 번호는 새겼으며, 제목은 완전히 없는 무제임을 강조했다. 전체적인 앨범 커버는 런던의 한 폐가에서 고층 건물을 촬영한 모습인데, 벽에는 나무를 한 노인이 지팡이를 짚고 있는 그림이 걸려 있다. 이 그림은 로버트 플랜트가 [[버크셔]]에 있는 한 골동품 가게에서 직접 구매한 것이라고 한다. 어떤 이들은 그림 속 노인이 영국 전설에서 나오는 불로장생의 노인 ‘존 발리콘’이라고 추측하기도 한다. 존 발리콘은 영국에서 보리로 만든 술, 즉 맥주, 위스키의 의인화된 존재이다. == 흥행 == '''문자 그대로 대성공하였다.''' 3집의 상업적 실패[* 사실 3집도 인증 판매고가 726만 장이고 추정 판매고는 1,000만 장 이상이므로 객관적으로 봤을 때는 성공한 앨범이다. 그러나 '''인증 판매고가 1,000만 장이 넘는 1집, 2집'''과 비교하면 사실상의 상업적 실패이다.]로 인해 이를 갈고 차기작 작업에 임했던 밴드는 이 앨범으로 인해 다시 세계 최고의 밴드 반열에 오른다. 전 세계에서 메가히트를 쳤다던 2집보다 반응이 더 뜨거웠다. 미국에서만 무려 2,400만 장이 팔렸는데, 이는 미국 대중음악 역사상 5번째로 많이 팔린 기록이다. 이 외에도 영국에서는 180만 장, 캐나다에서 200만 장, 독일에서 75만 장, 호주에서 63만 장 정도의 인증 판매고를 올렸다. 전 세계적으로 '''무려 3,700만 장 이상'''이 팔린 것으로 집계된다. 이 기록은 [[세계 앨범 판매량 순위]]에서 6위를 기록한 수치이며, [[록 음악]]으로만 한정지을 시 역사상 3번째, [[메탈(음악)|헤비 메탈]]과 [[포크 록]] 장르로만 한정지을 시 각 분야에서 가장 많은 판매량이다. 또한 이 앨범은 약 1,500만 장 이상의 인증 판매고를 가진 [[Led Zeppelin II]]보다 약 2,200만 장 이상의 높은 인증 판매고를 기록함으로써 레드 제플린 커리어에서 가장 높은 인증 판매고 기록을 세웠다. 앨범 차트에서도 대성공을 했다. 전작의 브리티시 포크 록 성향으로 영국 대중들에게도 인기를 얻은 레드 제플린은 이번 앨범에서도 UK 차트 1위에 올랐다. 다만 [[빌보드 200]]에서는 1위가 아닌 2위를 기록했는데, 이는 [[Led Zeppelin(앨범)|1집]]과 더불어 레드 제플린 커리어에서 유일하게 빌보드 200 1위를 놓친 기록이다. 그러나 캐나다와 서독 차트에서는 1위를 기록했으며, 그 외에 프랑스, 호주, 스웨덴, 덴마크 등지에서는 2위를 기록했다. 판매량에 비해 차트 성적은 [[Led Zeppelin II]]보다는 낮은데, 후술하겠지만 이는 이 앨범을 포함해서 1971년 당시 차트 경쟁을 하던 앨범들 대부분이 '''전부 대중음악 역사에 길이 남을 희대의 명반들'''이라는 점이 크다. 한편 밴드 멤버들은 앨범이 워낙 많이 팔려서 그냥 부가 수익을 낼 목적으로 [[Black Dog]]을 제한적으로 싱글 발매했는데, 이게 [[빌보드 핫 100]]에서 15위에 올라버려서(…) 밴드 싱글 중 2번째로 성공한 싱글이 됐다. == 음악적 성향과 평가 == [include(틀:롤링 스톤 앨범 가이드, 점수=★★★★★)] [include(틀:올뮤직, 링크=https://web.archive.org/web/20110906031448/http://allmusic.com/album/led-zeppelin-iv-r1956818, 점수=★★★★★)] [include(틀:RYM, 링크=https://rateyourmusic.com/release/album/led-zeppelin/led-zeppelin-iv-39/, 점수=4.30)]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링크=http://www.acclaimedmusic.net/album/A216.htm, 순위=1971년 2위 / 1970년대 11위 / 올타임 33위)]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음악),album=led-zeppelin-iv-remastered, artist= led-zeppelin, critic=100 ,user=8.5)] 상업적으로 뿐만 아니라 음악적으로도 대성공을 거두었지만, 발매 극초반에는 혹평이 약간 있었다. 일례로 음악평론가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4집은 그렇게 대단한 앨범은 아니라며 평가 절하를 하였으며, ‘더 빌리지 보이스’에서 평가한 ‘1971년 최고의 명반 순위’에서 이 앨범은 고작 30위를 받았다. 그러나 후에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이 앨범을 가르켜 '''[[메탈(음악)|헤비 메탈]]의 눈부신 걸작'''이라며 평가를 바꾸었고, 이 외에 수많은 음악 잡지들과 평론가들은 앨범을 극찬했다. 즉 '''상업적으로나 음악적으로나 헤비 메탈 최고의 앨범'''으로 평가받고 있다. 올뮤직은 ‘레드 제플린의 사운드 뿐만 아니라 1970년대 하드 록의 사운드와 스타일을 정의하는 앨범(defining not only Led Zeppelin but the sound and style of '70s hard rock)’이라고 평가했다. 특히나 이 앨범에 수록된 [[Stairway to Heaven]]은 팬, 아티스트, 평론가 모두에게 레드 제플린 커리어에서 가장 명곡이라고 평가받는 곡이며, 비단 록 음악뿐만 아니라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곡'''을 꼽을 때 반드시 거론되는 곡이다. 해당 곡은 [[어클레임드 뮤직]]에서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곡 30위권 이내로 산정되었다. 또한 어클레임드 뮤직에 따르면 이 앨범은 [[하드 록]] 계열에서 가장 평가가 높은 앨범이며[* 2위는 [[더 후]]의 [[Who's Next]].], 1971년에 발매된 앨범들 중 '''두 번째'''로 평가가 높은 앨범이다.[* 가장 평가가 높은 앨범은 [[마빈 게이]]의 [[What's Going On]]이다.] [[What's Going On|1971년에]] [[Who's Next|수많은]] [[Sticky Fingers|명반]][[Blue(음반)|들이]] [[Imagine|발매]][[Hunky Dory|된]] [[At Fillmore East|것]][[Electric Warrior|을]] [[There's a Riot Goin' On|고려]][[Tapestry|하면]] 어마어마한 것이다.[* 일례로 [[타임(주간지)|타임지]]가 선정한 100대 앨범 목록에는 1971년에 발매된 앨범들이 해당 앨범을 포함하여 '''무려 8개나 있다.'''] 팬들과 평론가들 사이에서는 동년에 나온 앨범이자 똑같이 하드 록 계열에서 사상 최고의 명반이라고 일컬어지는 [[더 후]]의 [[Who's Next]]와 자주 비교된다. 다만 Who’s Next가 현대적이고 세련된 하드 록의 완성이라고 평가받는 것과 달리, Led Zeppelin IV는 고전 헤비 메탈의 최대 역작이라고 평가받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하드 록]], [[메탈(음악)]] 문서에도 서술되어 있듯이 하드 록과 헤비 메탈은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 외에도 헤비 메탈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앨범이라는 사실에 근거하여 하드 록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앨범인 [[AC/DC(밴드)|AC/DC]]의 [[Back in Black]]와도 비교되곤 한다. 가장 히트를 친 [[Stairway to Heaven]] 뿐만 아니라 이 앨범의 모든 곡들이 대중음악 역사에서 길이 남을 명곡이라고 평가받는다. 예로 [[Black Dog]]과 [[Rock and Roll(노래)|Rock and Roll]]은 하드 록, 헤비 메탈 장르의 대표곡으로 일컬어지며 메탈의 불모지인 한국에서도 아주 잘 알려진 곡이다. [[Going to California]]는 1970년대 초반 미국의 포크 정서를 잘 나타낸 곡으로 평가받으며, [[When the Levee Breaks]]는 블루스, 록 음악가 뿐만 아니라 [[에미넴]] 등의 힙합 아티스트들도 좋아할만큼 매우 유명한 곡이다. 한편으로 이 앨범을 기점으로 레드 제플린 커리어에서 [[인도/문화#s-2|인도 음악]] 풍의 노래들이 나오기 시작한다. 앨범 작업 시 로버트 플랜트와 지미 페이지는 [[뭄바이]]를 여행하면서 인도 문화에 흠뻑 빠졌고, 그 결과 이 앨범에 수록된 Four Sticks에서는 [[타블라]]와 [[시타르]]를 연주하였다. 그 이후로 레드 제플린은 이러한 실험을 계속 반복하였고, 그 결과 [[Physical Graffiti|6집]]의 [[Kashmir(노래)|Kashmir]]에서 정점을 찍는다. == 트랙 리스트 == [include(틀:Zoso)] === Side A === ==== [[Black Dog]] ==== ||[anchor(Shadow)]'''Black Dog'''[br]{{{#000 ^^04m 55s^^ }}} ---- {{{#000 ''Hey hey mama said the way you move'' ''Gonna make you sweat, gonna make you groove'' ''Ah, ah, child, way you shake that thing'' ''Gonna make you burn, gonna make you sti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Iiu0JI3I5g,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Wirtten by {{{#000000 '''[[플랜트-페이지]], [[존 폴 존스]]'''}}}}}} ==== [[Rock and Roll(노래)|Rock and Roll]] ==== ||[anchor(Shadow)]'''Rock and Roll'''[br]{{{#000 ^^03m 41s^^ }}} ---- {{{#000 ''It's been a long time since I rock and rolled'' ''It's been a long time since I did the stroll'' ''Ooh, let me get it back, let me get it back'' ''Let me get it back, baby, where I come from''}}}||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RQ7-eSGBWc,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Wirtten by {{{#000000 '''[[플랜트-페이지]], [[존 본햄]], [[존 폴 존스]]'''}}}}}} ==== [[The Battle of Evermore]] ==== ||[anchor(Shadow)]'''The Battle of Evermore'''[br]{{{#000 ^^05m 52s^^ }}} ---- {{{#000 ''I hear the horses' thunder'' ''Down in the valley below'' ''I'm waiting for the angels of Avalon'' ''Waiting for the eastern glow''}}}||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8b0OYxdtyM,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Wirtten by {{{#000000 '''[[플랜트-페이지]]'''}}}}}} ==== [[Stairway to Heaven]] ==== ||[anchor(Shadow)]'''Stairway to Heaven'''[br]{{{#000 ^^08m 02s^^ }}} ---- {{{#000 ''And as we wind on down the road'' ''Our shadows taller than our soul'' ''There walks a lady we all know'' ''Who shines white light and wants to show''}}}||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XQUu5Dti4g,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Wirtten by {{{#000000 '''[[플랜트-페이지]]'''}}}}}} === Side B === ==== [[Misty Mountain Hop]] ==== ||[anchor(Shadow)]'''Misty Mountain Hop'''[br]{{{#000 ^^04m 39s^^ }}} ---- {{{#000 ''I didn't notice but it had got very dark and I was really'' ''Really out of my mind'' ''Just then a policeman stepped up to me and asked us said'' ''Please, hey, would we care to all get in lin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6fBQRaygeo,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Wirtten by {{{#000000 '''[[플랜트-페이지]], [[존 폴 존스]]'''}}}}}} ==== [[Four Sticks]] ==== ||[anchor(Shadow)]'''Four Sticks'''[br]{{{#000 ^^04m 46s^^ }}} ---- {{{#000 ''Craze, baby, the rainbow's end, mmm, baby, it's just a den'' ''For those who hide, who hide their love to depths of life'' ''And ruin dreams that we all knew so, bab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Jp27QMR2KU,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Wirtten by {{{#000000 '''[[플랜트-페이지]]'''}}}}}} ==== [[Going to California]] ==== ||[anchor(Shadow)]'''Going to California'''[br]{{{#000 ^^03m 36s^^ }}} ---- {{{#000 ''Seems that the wrath of the gods got a punch on the nose'' ''And it's startin' to flow, I think I might be sinkin''' ''Throw me a line, if I reach it in time'' ''Meet you up there where the path runs straight and high''}}}||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DIz4talyQk,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Wirtten by {{{#000000 '''[[플랜트-페이지]]'''}}}}}} ==== [[When the Levee Breaks]] ==== ||[anchor(Shadow)]'''When the Levee Breaks'''[br]{{{#000 ^^07m 08s^^ }}} ---- {{{#000 ''If it keeps on rainin', levee's goin' to break'' ''If it keeps on rainin', levee's goin' to break'' ''When the levee breaks, I'll have no place to stay''}}}||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FDYuO53BUk,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Wirtten by {{{#000000 '''[[플랜트-페이지]], [[존 폴 존스]], [[존 본햄]]'''}}}}}} == 차트 성적 == ||<-3> '''[[파일:Zoso.png|width=65]] 의 주간 차트 성적''' || ||<-2> '''차트 (1971 – 1972)''' || '''피크 성적''' || || 영국 ||Official Charts || '''1''' || || 미국 ||Billboard 200 || '''2''' || || 캐나다 ||RPM || '''1''' || || 호주 ||ARIA || '''2''' || || 서독 ||Offizielle Top 100 || '''1''' || || 프랑스 ||SNEP || '''2''' || || 덴마크 ||Hitlisten || '''2''' || || 노르웨이 ||VG-lista || 3 || || 스웨덴 ||Sverigetopplistan || '''2''' || || 오스트리아 ||Ö3 Austria Top 40 || 3 || == 인증 판매고 == ||<-4> '''[[파일:Zoso.png|width=65]] 의 인증 판매량''' || ||<-2> '''국가''' || '''인증''' || '''판매고''' || || 영국 ||BPI || 6×플래티넘 ||1,800,000장^ || || 미국 ||RIAA || 24×플래티넘 ||24,000,000장^ || || 호주 ||AIRA || 9×플래티넘 ||630,000장^ || || 서독(독일) ||BVMI || 3×골드 ||750,000장^ || || 프랑스 ||SNEP || 2×플래티넘 ||600,000장* || || 이탈리아 ||FIMI {{{-2 (2009~)}}} || 플래티넘 ||50,000장‡ || || 네덜란드 ||NVPI || 플래티넘 ||70,000장^ || ||<-4> '''총합''' || || 세계 ||IFPI || - ||37,000,000장^ || ||<-4>{{{-1 * 실물 판매량[br]^ 앨범 주문량[br]‡ 스트리밍 판매량 + 실물 판매량}}} || == 참여자 == * [[지미 페이지]] – 기타, 페달 스틸 기타, 만돌린, 백킹 보컬 * [[로버트 플랜트]] – 보컬, 하모니카 * [[존 폴 존스]] – 베이스, 일렉트릭 피아노, Moog 신디사이저, 리코더, 만돌린 * [[존 본햄]] – 퍼커션, 드럼 * [[지미 페이지]] – 총괄 프로듀서 * 피터 그랜트 – 책임 프로듀서 * 앤디 존스 – 믹싱 엔지니어, 레코딩 엔지니어 * 조지 치키안츠 – 믹싱 엔지니어 * 키스 모리스 – 앨범 커버 제작 == [[Led Zeppelin IV/라이브 투어|라이브 투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ed Zeppelin IV/라이브 투어)] == 여담 == * 멤버들을 상징하는 신비한 로고들이나, [[Stairway to Heaven]]에 관한 여러 떡밥들 때문에 [[음악과 악마주의]] 신봉자들의 주요 타겟이 되어 악마 신봉 앨범으로 지목되는 음반이기도 하다. 물론 [[음악과 악마주의]] 문서에도 적혀있듯이 근거 하나 없는 허무맹랑한 주장이지만, 여전히 이 [[음모론]]을 신봉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고 한다. * [[사운드클라우드]]에서 이 앨범 전체 수록곡들을 무료로 들을 수 있다.[[https://soundcloud.app.goo.gl/9dJ6ofk1mdBNud656|#]] [각주][[분류:Led Zeppelin 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