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youtube(qrxcSXrObu0)] [[Feryquitous]] 작곡. 보컬은 [[Sennzai]]. 동일 작곡가의 [[Dstorv]] 등의 아트코어 악곡과 흡사한 구성을 보인다. 곡 자체는 청아하고 애절한 분위기지만 강렬한 비트와 가사 내용이 대비를 이룬다. Sennzai의 첫 앨범 Arrêter le temps에 롱 버전이 수록되었다. == 가사 == 작곡가 [[Feryquitous]]가 [[https://twitter.com/feryquitous_?lang=ko|트위터]]에 공개한 가사. 전반부는 일본어이며, 후렴은 [[조어]]로 구성되어 있다. {{{#8d8d8d 회색}}}으로 표시된 가사는 [[조어]]의 공식 해석이다. ## 더 나은 번역이 있다면 변경하셔도 좋습니다. || '''離して 落ちてく''' (손을)놓아 떨어져 가 '''窓から 地獄へ''' 창문에서 지옥으로 '''届いて あなたの ''' 도착했어 당신의 '''棺と 花束''' 관과 꽃다발 '''Till mea feece''' {{{#8d8d8d (お願い 呼んで)}}} 부탁이야, 외쳐줘 '''Ah nill fince dee''' {{{#8d8d8d (ああ 嗚咽に似たその声)}}} 아아, 오열같은 그 목소리 '''Ah ckris ill Lifell''' {{{#8d8d8d (ああ 終わりへ向かう)}}} 아아, 죽음을 맞이해 '''Till mea feece''' {{{#8d8d8d (お願い 呼んで)}}} 부탁이야, 외쳐줘 '''Ah nill fince dee''' {{{#8d8d8d (ああ 嗚咽に似たその声)}}} 아아, 오열 같은 그 목소리 '''Ah phas Lifill''' {{{#8d8d8d (ああ 終わらせて)}}} 아아, 끝을 맺어줘 || == [[DEEMO]] == [include(틀:DEEMO/RAC Collection #1)] === 채보 === |||||||| '''Lifill''' ||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Rac01lifill.png|width=240]] || ||<:>작곡||<-3><:> [[Feryquitous]] || ||<:>보컬||<-3><:> [[Sennzai]] || ||<:>BPM||<-3><:> 185 || || ||<:>Easy||<:>Normal||<:>Hard|| ||<:>레벨||<:>3||<:>5||<:>7|| ||<:>노트수||<:>328||<:>498||<:>595|| ||<:><-4> '''SNS 출력 대사 없음''' || RAC Collection #1 메인 일러스트 곡이자 3번째 수록곡이다. ==== Easy ==== ==== Normal ==== ==== Hard ==== [youtube(jdZPdT8H4u4)] AC 영상. 플레이어는 yuta1000gt. 노트가 번갈아 내려오는 부분이 기존 7레벨대 곡들에 비해 조밀하며, 중후반 슬라이드 노트 중간에 일반 노트 하나가 자리하고 있어 살짝 까다롭다. == [[VOEZ]] == === 채보 === ||||||||
'''Lifill''' || |||||||| [[파일:voez_lifill.png|width=300]] || ||<#eee> 작곡가 |||||| Feryquitous || ||<#eee> 보컬 |||||| Sennzai || ||<#eee> BPM ||||||<:> 185|| ||<#eee> ||<#6ce> Easy ||<#f9a> Hard ||<#fe7> Special || ||<#eee> 레벨 ||<:> 6||<:> 8||<:> 14 -> '''13'''[* 2.0 업데이트 후 하향.]|| ||<#eee> 노트 수 ||<:> 162||<:> 267||<:> 587|| 2017년 4월 28일 디모 악곡들 다섯 개를 묶은 신규 뮤직팩에 수록되어 VOEZ에도 등장했다. ==== Easy ==== ==== Hard ==== ==== Special ==== 14레벨을 달고 나온 스페셜 채보가 꽤 인상적인데, 보컬 스타트와 함께 나오는 라인 연출이 '''심히 공포스럽다.''' 노트 자체는 쉽게 나오지만 문제는 라인 색깔. 흰색 바탕에서 한 마디마다 색이 서서히 바뀌는 연출이긴 하다만 최종적으로 나타나는 색깔이 '''아주 핏빛이거나 새까맣다'''는 게 문제(...). 그리고 디모에서는 피아노 음을 구현하느라 약화되었던 클라이맥스 부분, 즉 till me feace부터 시작하는 구간이 '''16비트 폭타'''로 중무장해서 나타난다! == [[Cytus II]] == [include(틀:Cytus II/Graff. J)] === 채보 === ||<-4> '''{{{#fff Lifill}}}''' || ||<-4> [[파일:voez_lifill.png|width=300]] || || 작곡 ||<-3> [[Feryquitous]] || || 보컬 ||<-3> [[Sennzai]] || || BPM ||<-3> 185[* 스크롤 속도 185] || || 연주 시간 ||<-3> 2:22 || ||<|2> {{{#373A3C,#DDDDDD 레벨}}} || '''EASY''' || '''HARD''' || '''CHAOS''' || || 2 || 7 || 12 || || 노트 수 || 180 || 369 || 600 || || 특이사항 ||<-3> - || ||<-2> '''해금 조건''' || || '''EASY''' ||<|3> CAPSO SHOP에서 VOEZ Collection IV 구매 || || '''HARD''' || || '''CHAOS''' || ==== EASY ==== [youtube(SlcVRrRxS_4)] TP100 화면 캡쳐 영상. 플레이어는 Basspirit. ==== HARD ==== [youtube(ipK-t6sQgGI)] MM 화면 캡쳐 영상. 플레이어는 Basspirit. ==== CHAOS ==== [youtube(jVuh2zvwzRI)] TP100 영상. 플레이어는 tiace. == [[DEEMO II]] == [include(틀:DEEMO II/복각03 - 한여름의 별똥별)] === 채보 === ||<-4>
'''Lifill''' || ||<-4> [[파일:DEEMO II Lifill.webp|width=240]] || || 작곡 ||<-3> [[Feryquitous]] || || 보컬 ||<-3> [[Sennzai]] || || BPM ||<-3> 185 || || 난이도 || '''{{{#fff,#333 Easy}}}''' || '''{{{#fff,#333 Normal}}}''' || '''{{{#fff,#333 Hard}}}''' || || 레벨 || 3 || 5 || 8 || || 노트 수 || 321 || 491 || 635 || ||<-2>
'''해금 조건''' || || '''Easy''' ||<|3> [[DEEMO II/상점#곡팩 상점|상점 - 곡팩 상점]]에서 [[DEEMO II/수록곡#복각03 - 한여름의 별똥별|복각03 - 한여름의 별똥별]] 구매 || || '''Normal''' || || '''Hard''' || ==== Easy ==== ==== Normal ==== ==== Hard ==== [youtube(tsv-uYoJJeM)] AC 영상. 플레이어는 himachan. == 기타 == * [[https://www.youtube.com/watch?v=dtknZHV1-cs|RayarkCon 2015 프로모션 영상]]의 배경곡으로 사용되었다. * 가사를 두 사람의 시점으로 나눠서 해석한다면 당신의 관과 꽃다발이 왔다는 구절로 보아 전반부는 죽음을 지켜본 이의 시점이며, 후렴의 [[조어]] 부분은 오열을 듣는 상황으로 보아 죽은 이의 시점으로 볼 수 있다. 또는 당신이 보내준 관과 꽃다발이 지옥에 도착했다는 의미로 해석한다면 가사 전체가 죽은 이의 독백이 된다. * 가사가 꽃, 죽음, 지옥으로의 추락을 다룬다는 점에서 함께 [[DEEMO]]에 수록되어 있는 [[Mili]]의 [[Nine Point Eight]]를 떠올리게 한다는 의견이 있다. [[분류:DEEMO/수록곡]][[분류:VOEZ의 수록곡]][[분류:Cytus II의 수록곡]][[분류:DEEMO II/수록곡]]